출처 : https://www.nocutnews.co.kr/news/5194667


"일제강점기 때 맞서지 말라던 신문, 지금도 똑같아"

CBS 시사포커스경남  2019-08-07 15:12 


[인터뷰]언론소비자주권행동 김종학 대표


김종학 언론소비자주권행동 대표 (사진=자료사진)


■ 방송 : 경남CBS <시사포커스 경남> (창원 FM 106.9MHz, 진주 94.1MHz)

■ 진행 : 김효영 기자 (경남CBS 보도국장) 

■ 대담 : 김종학 대표 (언론소비자주권행동)


◇김효영> 한국과 일본이 '경제 전쟁'이라 표현할 정도로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최근에 특정 보수언론을 향한 폐간운동과 이 신문에 광고하는 상품 불매운동을 벌이는 단체가 있습니다. 


언론소비자주권행동회 김종학 대표 모셨습니다. 대표님 안녕하십니까.


◆김종학 대표> 네. 반갑습니다. 초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김효영> '언소주'라고 줄여서 부르더군요. 언소주가 시작된 건 언제였습니까? 


◆김종학 대표> 지난 2008 광우병 사태 때 조.중.동 왜곡보도에 분노한 시민들이 '언론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구호를 내걸고 인터넷 카페를 만들어서 조.중.동이 광고하는 기업의 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언론소비자단체입니다. 


◇김효영>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광고한 상품에 대한 불매운동. 그게 법적으로 저촉이 됐죠? 


◆김종학 대표> 그때 카페 운영진 24명 전원이 업무 방해죄로 기소가 되어서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5년 동안 법정투쟁을 통해 일부는 무죄판결을 받았습니다. 


무죄판결을 받은 것은 '언론사에 대한 불매운동은 합당하다. 그러나 기업에 대한 불매 운동은 업무 방해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김효영> 그러니까 조선일보 보지말자. 중앙일보 보지말자. 동아일보 보지말자는 합법인데. 


◆김종학 대표> 소비자운동으로 볼 수 있는데.


◇김효영> 다만 그 신문에 광고를 했다는 이유로 그 기업체에 대한 제품 불매운동을 하는 것은 업무 방해 행위가 된다?


◆김종학 대표> 네네. 정확합니다.


◇김효영> 그 후 10년이 지났습니다. 지금 다시 언소주가 활동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김종학 대표> 조선일보가 단순히 우익을 대변하는 신문, 보수신문이라고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사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조선일보가 뼈 속까지 친일신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효영> 어떤 점에서 그렇게 보십니까?


◆김종학 대표> 조선일보는 일제강점기에 이완용, 송병준 등으로 구성된 친일 상공인 단체인 대정실업친목회, 즉 '다이쇼실업친목단체'라고도 합니다. 


다이쇼는 일본 연호이지요. 이렇게 친일하던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일보가 조선일보의 시초가 되겠습니다. 그 후 조선일보는 일제강점기에 어떻게 했냐면 3.1운동을 부정한 것은 기정사실이고, 그와 더불어 독립불능론을 내세워가지고 조선총독부의 내선일체를 적극적으로 앞장서 실행하였습니다. 


1930년 1월 1일자 1면 머리기사에 있던 신년사에 '우리는 대일본 제국의 신민으로서 천황폐하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거기에 또 사설에는 '일제강점기 30년에 은혜로운 합방 30주년을 맞이하여 쓸데없이 독립이니 뭐니 하는 유언비어에 귀 기울이지 않는지 반성하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단순히 극우, 보수신문이라고 인식하고 적당한 편향된 신문 이렇게만 생각할 수 있는데 조선일보 태생부터 이래 왔다는 것을 우리는 가끔 잊어버리고 있지 않나 싶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제가 조금 더 말씀해도 되겠습니까? 조선일보를 생각하면 정말 답답합니다. 


◇김효영> 하세요. 


◆김종학 대표> 조선일보가 일제강점기 때에는 천황폐하를 외쳤고 또 6.25때는 북한이 잠시 서울을 점령했을 때 김일성 장군을 외쳤습니다. 


다 아시겠지만, 군사정권 때는 민주정부 인사들을 빨갱이 모는데 적극적으로 누구보다도 앞장섰습니다. 

그런 조선일보가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경제 침탈에 대해서 하는 행위는 매국 이상이지요. 


◇김효영> 매국 이상이다? 


◆김종학 대표> 그렇지요. 최근에는. 조선일보 헤드라인을 딱 보면 참 교묘합니다. 


펙트를 적당하게 섞어가지고 어떻게 보도하냐면 일본에 맞서는 것은 쓸데없는 반일감정을 부축인다. 결론은 그런 겁니다. 정부를 비판하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기업의 핵심부품에 대해서 대일의존도가 있는 것에 대해서, 물론 핵심부품에 대해 의존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요. 그 외에 것까지 부풀려서 국민들에게 우리가 일본제품을 쓰지 않으면, 외교적으로 하지 않으면 경제가 안 그래도 힘든데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교묘하게 보도를 하는 것이지요. 


일제강점기 일본의 군국주의에 기반한 일, 식민사관에 있는 그대로를 조선일보가 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때 '일본에 맞서지 마라'와 지금의 경제 침탈에 대해서 '맞서지 마라' 똑같습니다. 단지 그때의 어떤 시대의 문맥상의 그것만 다를 뿐이지 그 형태는 똑같다고 봅니다. 


◇김효영> 언소주의 주장으로 듣겠습니다. 


그러나 언론사마다 다양한 시각들이 있지요. 보수 또는 극우, 진보 또는 극좌적인 성향의 언론사들 까지. 민주국가에서 언론의 자유가 보장이 된 이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게 당연한 것 아니겠습니까? 선택은 소비자들이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특정 신문 폐간운동으로까지 가는 것은 좀 과하지 않나? 어떻게 생각하세요? 


◆김종학 대표> 우리가 제품을 사면 하자가 생기면 반품을 한다든지 교환수리를 한다든지 할 수 있듯이, 언론 또한 우리가 물건을 직접 사고 반품하고 소비자 개념으로 보면 우리가 안보면 그만이지만 우리가 소비자 개념으로 접근해보자는 겁니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당한 소비자 운동입니다.


◇김효영> 이 운동의 결과가 어떻게 이어지길 바랍니까? 


◆김종학 대표> 저희들은 폐간을 외치지만, 제대로 된 언론이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관심을 가져야하지 않을까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효영> 일본 제품 안 사고 일본 여행 안가기 운동이 범국민적으로 일어나고 있는데, 조선일보를 보지 않는 것도 그 중 하나의 운동이 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김종학 대표> 당연하지요. 조선일보는 아직도 지난 역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일본에 맞서면 안 된다고 하는 데, 그것이 바뀌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김효영> 조선일보에 광고한 제품 불매운동까지 하시는건 아니죠? 


◆김종학 대표> 이런 기업들이 조선일보에 광고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라는 것을 안내를 하는 것이지요. 그 자체는 불법이 아니까요. 


◇김효영> 알려주는 것? 


◆김종학 대표> 선택은 소비자가 하는 것이니까. 


◇김효영> 이런 제품들이 조선일보에 광고를 많이 합니다. 알아서 판단하세요. 그정도로. 


◆김종학 대표> 알려주는 것이지요. 그것을 불매운동이라고 용어를 쓰고 있는 겁니다. 


◇김효영>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언론소비자주권행동 김종학 대표와 만나봤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김종학 대표> 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김효영> 조선일보의 반박이 있다면 전해드리겠습니다. 


김종학 언론소비자주권행동 대표는 7일 CBS 시사포커스경남 인터뷰에서 "(조선일보) 1930년 1월 1일자 1면 머리기사에 있던 신년사에 '우리는 대일본 제국의 신민으로서 천황폐하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되어있습니다. 거기에 또 사설에는 '일제강점기 30년에 은혜로운 합방 30주년을 맞이하여 쓸데없이 독립이니 뭐니 하는 유언비어에 귀 기울이지 않는지 반성하라'고 했습니다"라고 발언했습니다. 하지만 조선일보 1930년 1월 1일자 지면 기사 제목이나 본문 어디에도 김 대표가 언급한 내용은 들어 있지 않습니다.


hykim@cbs.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