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을 좀 바꿨습니다.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백의종군=대기발령"이라고 합니다.
백의종군의 의의
이순신 백의종군도 - 해군사관학교
백의종군은 조선시대에 중죄를 지은 무관에게 일체의 관직과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참전케 하는 처벌이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발발 4년 전인 1588년에 두만강 북쪽 녹둔도에 침공했던 여진족들을 토벌하기 위한 전투에 백의종군으로 참전했고, 이후 임진왜란 기간 중에 두 번째의 백의종군을 했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조선시대 무관에 대한 처벌이었던 ‘백의종군’의 실체는 과연 어떠했을까?
이전에는 이순신이 두 번 겪었던 백의종군은 ‘장수가 병졸로 신분이 강등되어 복무하는 치욕적 형벌’이라는 설이 다수를 이루었다. 그렇지만 백의종군은 ‘단순한 보직 해임조치로서 장수의 신분을 유지한 채 복무하는 처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는 자료가 있는데, 1588년 1월 함경도 북병사 이일(李鎰)이 지휘한 여진족 토벌전이었던 ‘시전부락 전투’ 상황을 그린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육군박물관 소장)라는 제목의 기록화이다.
이 전투 기록화에는 당시 전투에 참전했던 조선군 장수들 전체의 명단과 직책, 편제를 구체적으로 기록해 놓고 있는데, 이순신을 비롯한 50여 명의 참전 장수가 확인되고 있다.
이순신은 1차 백의종군 처분을 받은 뒤 4개월 뒤에 이 전투에 참가하여 공을 세운 뒤 백의종군의 처벌에서 사면되었다.
당시 조선군은 2,700여 명의 군사를 셋으로 나눠 전투를 수행했는데, 이순신은 해임되어 현직이 없었지만 ‘우위(右衛), 우화열장(右火烈將)’으로서 우위장이었던 온성부사 양대수(楊大樹)의 수하 장수로 참전했던 것이다. 특히 당시 종성부사였던 원균도 ‘우위, 일계원장(一繼援將)’으로서 참전했던 점을 미루어 볼 때 이순신은 원균은 동급의 ‘장수’ 신분으로 편성되어 전투에 참가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백의종군은 중죄를 지었지만 지난 전공을 참작하여 내린 보직 해임조치로서 직책은 없지만 장수의 신분은 유지된 상태에서 재차 전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한 처벌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선 >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유전 한국사 여행 (22) 동래읍성 上 - 경향 (0) | 2019.11.11 |
---|---|
"거북선 '명량'처럼 측면사격하면 뒤집혀" - 서울 (0) | 2019.11.08 |
박종평 이순신 이야기 (45) 명량해전과 전설의 철쇄설 - 일요서울 (0) | 2019.10.17 |
박종평 이순신 이야기 (44) 거북선 창안의 아이디어? - 일요서울 (0) | 2019.10.17 |
[박종평의 해설 난중일기 44] 학익진(鶴翼陣) - 일요서울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