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1120213814081?s=tv_news
요동쳤던 근현대사의 주요 순간들..소리로 듣다
권근영 기자 입력 2019.11.20 21:38
[앵커]
50년 전에도 소녀팬들의 환호는 지금과 다를게 없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초등학교 교정에선 이런 외침도 이어졌습니다.
[반공웅변대회/1969년 : 이 어린 가슴 속으로 생각할 때 너무나도 기가 막히고 치가 떨리는 울분을 어찌할 길 없어…]
이렇게 소리에는 시대의 초상이 새겨졌습니다.
우리 근현대사의 주요 순간들을 스쳐간 소리들, 권근영 기자가 그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혹 뗀 이야기'/조선어독본 (1930년대) : 사방은 점점 어두워가고 산길은 험하여 방향을 잡을 수가 없어서…]
말과 글을 빼앗겼던 일제 강점기, 낭랑한 목소리로 녹음한 동화는 용케 남아 1930년대의 표준어가 어땠는지 들려줍니다.
일흔 살 독립운동가는 해방된 나라에서 목청껏 만세를 불렀습니다.
[김구/광복 1주년 연설 (1946년) : 대한독립 만세, 우리 대한, 우리 대한!]
< 드라마 '눈이 부시게' >
그러나 한밤 통행금지 사이렌은 1982년까지 이어져 귀갓길을 서둘러야 했고.
< 영화 '국제시장' >
국기하강식은 1989년까지 온국민의 하루를 지배했습니다.
언론 통폐합을 앞둔 1980년 말의 고별방송은 여전히 아쉬움의 소리로 남았습니다.
[황인용/TBC '밤을 잊은 그대에게' (1980년) : 남은 5분이, 남은 5분이 너무 야속합니다. 10분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외환위기로 희망퇴직을 앞둔 은행원들이 남긴 눈물의 메시지는 지금도 절절합니다.
['내일을 준비하며'/제일은행 (1998년) : 제가 15년 동안 근무하면서 정말 열심히 일했고요.]
요동쳤던 우리 역사를 채운 상징적인 소리들, 이젠 추억으로 남았지만 우리는 더 잘 살게 됐는지, 또 잊고 사는 건 없는지 전시장에 남겨진 소리들이 묻습니다.
(영상그래픽 : 김지혜)
'근현대사 > 한국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와역사 전쟁과기상 <80>날씨는 공공의 적, 펀치볼 전투 - 국방 (0) | 2019.11.23 |
---|---|
기후와역사 전쟁과기상 <52>후퇴하고도 승리한 장진호 전투 - 국방 (0) | 2019.11.23 |
[정용욱의 편지 현대사 23] “조선을 방공지대로 구상”…미국 ‘동아시아 전략’ 간파한 시대의 지성 - 한겨레 (0) | 2019.11.18 |
[전두환 프로젝트] ⑫ 전두환 일가 재산은 얼마일까?...뉴스타파 추적 내역 공개 - 뉴스타파 (0) | 2019.11.18 |
[전두환 프로젝트] ⑪전두환의 비자금 세탁처, 전재국 자금조달 창구 역할 - 뉴스타파 (0) | 2019.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