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577


낙랑토성(樂浪土城)

1997년 소재구


이칭 : 평양토성리토성

소재지 :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면 토성리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면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낙랑군의 토축 성곽.토성.


평양 낙랑군치지 전경

1916년에 촬영한 평양에 위치한 낙랑군치지의 모습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현재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성 안에 건물터·도로·하수구 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성은 대동강 남쪽의 언덕에 있으며, 성 안의 땅은 고르지 않지만 북쪽으로 강줄기가 나고 동쪽으로도 강의 지류가 흐르고 있어 천연적인 참호구실을 하게 되어 있다. 또, 주위에는 넓은 평야가 있어 평지에 성을 쌓는 중국식 터잡음[城基]을 엿볼 수 있다.


토성은 동서 약 709m, 남북 599m의 크지 않은 정방형으로 이루어졌는데, 보루의 붕괴가 심하다. 성 안에서는 집터·관청·도로·하수도 등의 자취가 발굴되었고, 유물로는 막새기와·벽돌·봉니(封泥)·거울·화폐와 화폐를 주조하였던 틀, 구리화살촉·장신구 등이 발굴되었는데, 특히 글자가 새겨진 기와·벽돌·거울·도장 등이 많이 나왔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이 성은 낙랑의 중심지이자 조선현(朝鮮縣) 지역의 땅으로서 낙랑군청과 조선현청이 모두 이 성 안에 있었고, 후기낙랑 시대에는 동부도위(東部都尉)와 남부도위(南部都尉)의 모든 현까지도 관할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토성을 중심으로 동서 20리, 남북 10리 주변에는 약 1,300기의 크고 작은 고분들이 흩어져 있는데, 중국 한대(漢代)의 묘제를 따른 목곽·토곽묘들이 대부분이며, 화려한 장신구들을 포함한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당시의 문화수준을 잘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조선총독부,1915)

「삼국시대성곽연구(三國時代城郭硏究)」(이원근,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1981)

「樂浪土城址の調査」(조선총독부,『고적조사보고서』,1938)



멀티미디어


평양 낙랑토성과 고분 전경

1916년에 촬영한 평양에 위치한 낙랑토성과 고분의 모습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5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7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5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5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5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건물지 유구. 1935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내부 중앙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내부 중앙. 1922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내 우물

평안남도 대동군 낙랑토성 내 우물. 1937년 촬영.   (ⓒ국립중앙박물관)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