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217422


알렌은 순수 의료 선교사가 아니었다

[한국의학사 다시쓰기 02] 세브란스 병원의 원조 '알렌' 다시 보기

09.09.15 21:49l최종 업데이트 09.09.15 21:49l강연석(tonkey)


얼마 전 우연한 기회에 '알렌에게 무릎 꿇은 한의학'(2009년 7월 10일)이라는 제목의 연재를 프레시안에서 읽게 되었다. 이 글은 알렌이라는 인물을 부각하기 위해 한의학을 비하하고 왜곡하는 전형적인 서양의학 중심의 의학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대학병원과 연세대학병원 간의 뿌리논쟁


▲ 대한의원 본관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내에 있는 대한의원 건물. 일본인들이 한의사들을 축출하고 양의 위주의 병원으로 만든 대한의원은 경술국치와 함께 조선총독부의원이 되었으며,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된 이후 경성제국대학병원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법령에 의해 서울대학교가 만들어질 때 서울대학교의 재산으로 편입되어 현재까지 서울대학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 문화재청


우리나라 양의사들의 의사학계(醫史學系)에서 지난 20여 년간 치열했던 논쟁 중 하나가 서울의대와 연세의대 간에 있었던 제중원(1885)을 둘러싼 뿌리 논쟁이었다. 다른 이들에게는 수천 년 의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사소한 주제일 수도 있는 문제가 두 대학의 자존심이 개입되면서 역사에는 학문적 논쟁에 앞서는 무엇인가가 있음을 느끼게 한다.


서울대학병원(1946)은 국립병원이므로 대한의원(1907)을 모태로 하며, 대한의원은 내부병원(1899)과 그 이전의 제중원(최초 이름 광혜원, 1885)이 모두 국가 재정으로 운영되었으므로 자신들의 전신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연세대학병원은 제중원이 조선 왕실에서 자금을 댔지만 알렌을 대표로 하는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운영하였으며, 재정의 안정을 위해 선교부가 완전인수(1893)하였고 이후 세브란스의 기증(1904)을 통해 현재의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어져 내려왔다고 주장한다.


결국 우리나라 최초의 양방병의원인 제중원이 어느 대학병원의 모태가 되는가에 대한 논쟁이기 때문에 뿌리논쟁이라 한다.


지난 2007년 3월 <프레시안>을 통해 대한의원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려고 한 서울대학병원의 계획을 연세대학교 측에서 시원시원하게 반박을 하였고, 내심 박수를 쳤던 기억이 있다. 대한의원은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이토오 히로부미의 통감부 체제 하에서 일본인들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 굳이 대한의원을 언급하면서도 대한의원이 경술국치와 함께 조선총독부의원(1910)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경성제국대학의 출현과 함께 경성제국대학병원(1926)으로 흡수되었다가 해방 이후 물자 뿐 아니라 인력까지도 서울대학병원에서 받아들인 역사는 애써 외면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대병원 측의 주장을 반박하였으니 알렌을 세브란스 병원의 원조로 인정하고 박수를 치면 모든 문제가 끝나는 것일까?


이토오 히로부미, 국가 의료시스템에서 한의사들 축출


▲ 중명전(重明殿) 서울시 중구 정동 소재.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된 장소다. 을사늑약이 체결된 이후 이토오 히로부미에 의한 통감부 정치가 시작되었고 한의사들은 국가의료시스템에서 강제 축출되었다. ⓒ 문화재청


혜민서가 없어지게 되면서 백성들에 대한 한의진료 혜택이 없어지자 1899년 대한제국은 한의사들이 근무하여 치료하는 국립 내부병원을 만들었는데 여기에서는 양의진료도 같이 시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내부병원에서 근무하던 한의사들은 1907년 이토오 히로부미에 의한 통감부 통치 아래에서 일본인 양방의사들에게 쫓겨나게 되었고, 내부병원의 이름도 대한의원으로 바뀌게 되었다.


또 개화파 김옥균은 지석영을 일본에 보내어 종두법을 배워 보급하게 하였는데, 이 지석영은 일제에 의해 강제해산된 한의사들의 모임인 전선의회(全鮮醫會, 1915-1916)의 회장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인들 스스로가 한의학과 양의학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연구하여 한국만의 독특한 의료시스템을 정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일제에 의해 기회가 박탈되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지금의 한양방 간의 반목의 역사는 이토오 히로부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나 다름없다.


알렌은 순수한 목적의 의료선교사가 아니었다


과거에는 알렌을 조선 정부에서 인정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최초의 양방의료기관을 설립한 미국인 의사로, 조선의 독립을 일관되게 주장한 친한파 외교관으로 칭송하였다. 하지만 최근 알렌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조선에 들어오게 된 그의 동기가 순수하지 못하였고, 앞으로는 조선을 위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미국의 제국주의 침탈에 앞장선 최초의 인물이라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알렌은 중국에서 의료선교활동을 하려던 중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수익성있는 사업을 벌일 수 있을 거라는 동료 의사의 권고를 받아들여 1884년에 내한하였다. 1885년 4월 제중원이 만들어진 이후 동료 선교사들과 불화를 겪으면서 선교활동에 환멸을 느끼고 미국의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 결과 1895년에는 운산금광채굴권을, 1896년에는 경인철도부설권을 직접 획득하여 미국의 사업가들에게 넘겼다. '노다지(no-touch)'라는 말을 만들어낸 운산금광채굴권은 40년간 총 900만 톤의 금광석을 채굴하여 총 5600만 달러의 수익을 미국에 건네주었다고 하며, 아관파천을 주선하여 친미세력이 대거 등용된 뒤에는 경인철도부설권을 따냈는데 두 달만에 일본에 넘기면서 약 200만 원의 차익을 챙길 수 있었다고 한다.


1907년 일본에 진 나라 빚 1300여만 원을 갚기 위해 국채보상운동이 벌어졌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당시 모았던 돈이 약 200만 원이었다고 하니 알렌에 의해 유출된 국부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인 셈이다.


또한 전임자의 임기가 남았음에도 미국 정치권에 직접 로비를 하여 주한미국공사가 되었을 정도로 정치적 야심이 있었으며, 재직하는 동안 서울의 전기, 전차, 상수도 등의 이권사업이 미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조언한 수완가이기도 하였다.


알렌은 철두철미하게 미국의 권익을 대변한 외교관이었다


▲ 대한제국 고종 황제 어새 고종황제가 을사늑약을 전후로 하여 비밀 외교를 목적으로 발부한 친서에 사용한 것으로, 알렌에게 보낸 문서에도 사용되었다. ⓒ 문화재청


알렌은 주위의 열강에 맞서 조선이 독립을 유지해야 된다고 주장하여 고종황제의 환심을 산 적극적인 친한 인사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친한적 이미지는 조선 사람들에게 비친 모습이었을 뿐 조선의 독립이 미국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철저한 계산에 의해 연출된 모습이었다.


미국의 권익을 위하여 각종 이권 사업에 개입하였을 뿐 아니라 1898년 경부철도부설권이 일본에 돌아가게 하는 데에도 관여를 하는데, 이것이 미국의 이권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친미파 세력들이 결집력을 상실하자 미국의 이권에 호의적이었던 친일파 세력들을 간접적으로 후원하기도 하였고, 일본의 한국지배가 확실시 되었을 때에는 일본에 친미파 인사들의 명단을 넘겨주었고 이들에게 일본에 협력을 권고하였다는 점을 자부한 사람이었다.


알렌은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시각을 갖고 있는 미국 사람이었다


알렌이 한국에 온 지 1년이 되었을 때 '(조선은) 사람이 살아보려고 시도한 나라 중 제일 성질나는 곳'이라고 하였으며, '미국인들이 들여온 전차 덕분에 막노동자들까지도 전차를 탈 수 있다'는 우월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 미국인들이 들여온 전차 덕분에 조선의 국부가 얼마나 유출되었고 미국에 얼마나 많은 이권이 돌아갔는지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덕분에 한국에 도로와 철도, 항만이 놓였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근대 문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논리가 아닌가! 도로와 철도, 항만을 통해 조선을 어떻게 수탈했는지, 지위고하를 막론하지 않고 많은 사람이 이용하게 하여 얼마나 많은 이권을 가져갔는지는 기술하지 않고서 말이다.


약자의 위치에 있었던 조선인들에게 개화기의 한국사는 슬픔의 역사이고 수탈의 역사이며 굴욕의 역사였다. 강자의 위치에 있었던 미국,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들에게 개화기의 한국사는 이권획득이라는 기회의 시기였고, 스스로는 개화할 수 없는 무지몽매한 조선인들을 깨우치는 계몽의 역사였다.


'알렌에게 무릎 꿇은 한의학'은 '미국에게 무릎꿇은 조선'일 수도 있고, '일제에게 무릎꿇은 고종황제'일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인가? 굳이 일제의 침략과 미국의 제국주의 침탈을 함께 한 양의학의 역사를 끌어오면서 한의학을 비하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현재의 양의학계는 한국사회에 크나큰 공헌을 하였고 충분한 지배력을 갖고 있다.


한국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이들 공룡들은 지금도 환자들에게 한의학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강요하고 있으니 우리 사회의 선진화와 역사를 바로 세우는 작업은 아직 요원하다 할 것이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