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95293&PAGE_CD=N0120 

고구려 성, 포천 반월성을 가다
고구려는 남진 기지로, 신라는 북진 기지로 삼았다
12.02.08 17:18 ㅣ최종 업데이트 12.02.08 17:18 하주성 (tradition)


▲ 반월성 서쪽에 쌓은 치성의 모습 ⓒ 하주성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청군로 3290번길 19, 옛 구읍리에는 사적 제403호인 반월성이 있다. 반월산성은 총 길이 1,080m. 현재 성의 옛 자취를 엿볼 수 있는 시설물로는 남쪽과 북쪽의 문터, 성벽 바깥쪽에 사각형 모양으로 덧붙여 만든 치성 4개소, 건물터 6곳, 배수시설이었던 수구터, 장수의 지휘대였던 장대터, 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해 세웠던 망대터 등이 있다.
 
이 반월산성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쌓았다고 전해지나 조사결과 고구려 때 쌓은 성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여러 책에 고성(古城), 산성, 반월산성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대동지지>를 통하여 광해군 10년(1618)에 고쳐 쌓고, 인조 1년(1623)부터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 에도 돌로 쌓았다는 기록과 함께, 여러 가지 당시 성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눈길 밟으며 반월성에 오르다
 

▲ 반월성 고구려 때 쌓은 석측산성으로 고구려의 남진을 하기 위한 기지였다 ⓒ 하주성

 
▲ 문지 문지인 듯하다. 협소한 것으로 보아서 암문이었을 것 ⓒ 하주성

2월 5일 아직 산에는 눈이 그대로 남아있다. 고모리 산성을 돌아보고 난 뒤, 이어서 찾아간 반원성. 하루에 두 곳의 산성을 돌아본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더구나 눈길에 오른 산행이라 다리도 아프지만, 인근에 있으니 돌아보리라 다부지게 마음을 먹었다.
 
여름에는 차가 성지까지 올라간다고 하는데, 눈길에 위험할까 봐 그런지 입구를 막아 놓았다. 할 수 없이 걸어 오르는 수밖에. 길에는 아직도 눈이 쌓여 미끄럽다. 언덕길을 올라 반원성의 남쪽 성곽 쪽으로 다가갔다. 수령 400년이 지난 보호수인 느티나무가 서 있는 곳에서부터 천천히 성을 한 바퀴 돌아본다.
 

▲ 반월성 반월성의 여러 형태 ⓒ 하주성


▲ 반월성 고구려성인 반월성의 형태 ⓒ 하주성

일부는 아직 복원되지 않아 그대로 방치가 되어있다. 반월성은 성벽을 높게 쌓고, 일부 구간은 안과 밖을 함께 성벽을 쌓아두기도 했다. 서쪽에는 문지인 듯한 곳 옆에 치성을 쌓았다. 이곳의 치성은 그 크기가 상당하다. 성 위에서 바라보니 건너편에 왕방산이 보이고, 그 밑으로는 포천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북에서 내려오는 길목, 고구려의 전진기지
 
성 위에서 보면 성 밑으로 난 길이 훤히 보인다. 철원으로 가는 길에는 차들이 줄을 잇는다. 이런 지리적 위치로 보아, 반월성은 고구려가 남쪽으로 내려가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서쪽에서 성벽 위를 따라 동쪽으로 가다가 보니 좁은 문루가 있었던 곳이 보인다. 암문이 있었던 곳일까?
 

▲ 왕방산 반월성에서 바라다 본 왕방산과 포천 시가지 ⓒ 하주성


▲ 건물터 건물터에는 주춧돌이 남아있다. 눈속이 파묻혀 식별이 되지 않는다 ⓒ 하주성

조금 더 가니 건물터가 보이고 동편으로 난 문지가 있다. 반월성은 문을 그냥 바닥에 놓은 것이 아니라 돌을 쌓고 그 위에 문을 내었다. 1m가 넘는 축대 위에 문을 낸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 것일까? 문지 안으로는 건물터가 있고, 조금 더 가니 삐죽 내민 치성이 보인다. 반월성은 상당히 견고한 성곽이었을 것이다.  
 
해발 283.5m 청성산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축성한 테뫼식 석축산성인 반월산성. 고구려는 이곳을 남진하기 위한 기지로, 신라는 북진을 하기 위한 기지로 삼았다고 한다. 이 성은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포천지역의 주성(主城)으로 역할을 했다. 이곳을 발굴 당시 '마흘수해공구단'이란 명문이 적힌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구려의 '마흘군'이 바로 포천지역임을 입증하고 있다.
 

▲ 문지 위에 문루가 서 있었을 듯 ⓒ 하주성


▲ 옛 성 아직 복원이 되지 않은 곳에 성곽이었을 듯, 돌들이 쌓인 것이 보인다 ⓒ 하주성

반월성이란 마치 성이 반월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옛 성 중에서는 상당히 큰 규모의 성이었다는 반월성. 고구려가 쌓은 이 성은 통일신라 시기까지 사용을 하다가 고려 때는 폐성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조 광해군 10년인 1618년에 후금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다시 쌓았다고 한다. 
 
아직은 일부분이 복원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반월성. 한 바퀴 돌아본 반월성은 상당히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으면서 매우 견고하게 쌓은 성임을 알 수 있다. 눈길에 돌아본 반월성. 아마도 완전히 복원을 마친다면, 이 지역의 또 다른 명소가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수원인터넷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반월성 관련글
고구려 성, 포천 반월성을 가다 - 오마이뉴스  http://tadream.tistory.com/3101 
포천반월성지 [抱川半月城址] - 민족문화대백과  http://tadream.tistory.com/4468
반월산성 - 디지털고구려  http://tadream.tistory.com/6934
포천 반월성(抱川 半月城)에 대한 고찰 - 고려신문  http://tadream.tistory.com/7777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