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01119.010430755450001


[서지월 시인의 만주 이야기 30] 대조영의 나라 돈화를 가다

입력 2010-11-19   |  발행일 2010-11-19 제43면 | 수정 2010-11-19


대조영이 세운 발해의 도읍지…(성산자산성)

정작 한국인은 들어갈 수 없다니… (육정산고분군)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한 돈화시 동모산 전경.


◇ 신의 계시로 가는 발해의 땅


TV의 대하드라마 '대조영'에서 대조영이 천신만고 끝에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발해를 건국하기 위해 2천리를 행군해서 도착한 후 도읍으로 정한 중국 만주땅 길림성 돈화시 동모산을 향했을 때 필자는 앞서 동모산에 도착했다. '동모산성'이라 말하기도 하는데 698년 대조영(大祚榮)이 동모산 기슭, 지금의 길림성 돈화(敦化)에서 발해를 건국한 것이다. 연길에서 돈화를 가는 데는 2시간 반 정도 소요되는 거리였다. 연변 공산당에서 마련해 준 승용차를 타고 가려했으나 대설이 내려 버스로 가게 되었다. 아침 일찍 일어나 연길시가지로 나서니 마침 간밤 눈이 와서 천지가 새 세상으로 바뀌었다.


하늘은 익히 알고서 백의의 흰눈을 내리는 것이라 생각하고 매서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아침 일찍 일어나 연길역 옆의 시외버스터미널로 향했다. 연변조선족 여류시인 심예란과 신조선족 조민호 시인 등과 시외버스에 몸을 실어 백색의 산고개 하나를 넘었다. 흰눈은 더욱 내렸고 그 풍경은 옛고향에 온 듯한 느낌이었다. 거기 가면 분명 머리채 뒤로 묶어 감아올린 아리따운 조선여인이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은 충동을 느꼈다. 내가 가고 있는 이 길은 2천년이 지난 역사의 뒤안길이 아니라 2천년 후 앞날을 열어가고 있는 느낌이었다. 누가 오라해서 가는 것도 아니며 어느 누가 여비를 선뜻 대어주어서 가는 것도 더더욱 아닌, 한 가난한 한국시인이 이 머나먼 만주땅 대조영의 나라 발해 땅으로 가고 있는 것은 신의 계시가 아니면 불가능한 일로 여겨지기도 했다.


1시간 반 정도 지났을 때 버스는 길가에 멈춰서며 쉬어가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만주땅은 아직 휴게소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길가에 세워놓고 간이음식점을 이용하는 게 고작이며 화장실 시설도 물론 찾아볼 수 없었다. 남녀 할 것 없이 나무판자로 대충 가려놓은 길옆 누추한 집 뒤로 가서 볼일을 보면 되는 것이었다. 구더기가 우글거리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우글거리는 풍경이었다.


◇ 외국인에게 절대 공개 안되는 육정산


산을 넘고 길을 돌아 세 시간 남짓 흰눈 내린 산을 넘고 얼어붙은 강을 끼고 돈화시 시가지에 도착했을 즈음 넓은 강 하나를 만났는데 목단강이었다. 돈화 시가지는 여느 도시와는 달리 조용하고 깨끗한 분위기였으며 돈화 역사가 한눈에 들어왔는데 나도 모르게 가슴이 뛰었다. 돈화(敦化) 라고 써붙여져 있는 대형글씨가 돈화역 역사 풍경과 함께 한눈에 들어왔다. 대고구려가 사라진 지도 어언 1천400년이 되었고 그 후로 발해가 사라진 지도 1천100년이 되었고 보면 역사란 무조건 흘러가서는 돌아오지 않는 것이기에 덧없음이 내 마음을 슬프게 했다.


일행은 돈화역으로 먼저 가서 돌아오는 기차시각을 알아보았다. 역시 시각이 여의치 않아 추위에 몸도 좀 녹일 겸 부근의 식당에 들어가 요기를 먼저 했다. 난감한 것은 택시기사에게 물어봐도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한 동모산을 모른다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버스를 타고 갔는데 그곳은 동모산이 아닌 육정산이었다. 육정산에 버스가 도착했을 때 풍광이 아주 뛰어난 강을 배경으로 날아갈 듯 우람한 사찰이 금박을 두르고 찬란하게 빛나고 있었다. 알고보니 동양에서 제일 크다는 유명 사찰 정각사였다. 봉우리가 6개라서 육정산이라 불리우는 이곳 산기슭 고분군 제1묘구에서 발해시조 대조영의 증손녀이자 제3대 문왕 대흠무의 둘째 딸인 정혜공주 묘가 1949년 발견됨으로써 발해 첫도읍지임이 역사적으로 입증이 되었다. 이 지역이 발해의 첫 도읍지였다는 사실은 동북으로 10㎞ 정도에 있는 발해왕족과 평민들의 고분군이 발견됨으로써 더욱 확실해졌다.


그러나 발해의 무덤들이 있는 육정산 전체를 중국에서는 고구려에 이어 발해까지를 포함시킨 동북공정으로 철제 울타리로 둘러싸 막아 놓아서 들어 갈 수가 없었다. 특히 외국인에게는 개방이 안된다고 했는데 외국인은 한국인을 두고 일컫는 말이었다. 육정산 아래에서 씁쓸한 입맛을 씻을 길 없어 버스기사에게 물어 다시 택시 한 대를 잡아 미끄러운 눈길을 가고 있었는데 바로 성산자마을이었다. 멀리서 보니 꼭 봉긋 솟은 봉우리가 누이의 젖가슴 같았다. 우리 일행은 '아, 저기다! 저게 동모산이다'라며 택시 안에서 소리를 질러대었다. 큰길에서 멀지 않은 곳에 동모산의 모습이 보였다.


◇ 동모산 산성이 있는 마을인 성산자


우리 일행을 태운 택시는 큰길로 달리다가 마을 어귀 앞에서 우측 마을길로 접어들었는데 아치형 철구조물의 높다란 안내판에는 '성산자촌'이라고 써붙여 놓았다. 즉 동모산 산성이 있는 마을이 성산자인 것이다. 마을로 접어든 택시는 마을 한가운데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접어들었는데 바로 마을 끝나는 부분에 이르러 동모산 전경이 한눈에 들어왔다. 좌우 집들은 나무판자로 울타리를 쳐 붉은 벽돌로 쌓았는데 전형적인 만주땅 서민들 가옥이었다. 이색적인 것은 푸른 색깔로 칠한 건물이 마을 뒤쪽 맨위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성산자소학교였다. 이곳 학생들은 대조영을 모르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잠시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그애들은 세종대왕과 이순신이 아니라 모택동과 등소평을 배웠을 테니까 말이다.


동모산 동쪽 4㎞ 지점에는 목단강 상류가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있다. 또 동모산의 북쪽을 끼고는 대석하(大石河)가 서에서 동으로 흐르고 있는데 목단강과 합류해 흘러간다. 목단강은 '홀한하'로, 대석하는 '오루하'로 불리는데 넓은 벌판과 강이 비옥한 땅을 형성하고 있었다.


동모산을 정점으로 대조영이 이곳에 정착해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에 의해 영주(營州) 부근으로 강제 이민당했던 고구려 유민과 말갈 유민을 이끌고 30년만에 돌아와 성을 쌓고 수도로 삼은 59년간 발해의 첫도읍지였던 것이다. 대조영이 데리고 온 병사와 유민의 수가 40만명에 이르렀다 한다. 북쪽으로 러시아 연해주 및 중국 흑룡강성, 길림성 등을 포함하고 서쪽으로는 요녕성, 남쪽으로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이르는 드넓은 영역을 229년간 지배했던 거대제국이었던 것이다.


발해가 이곳에서 수도를 상경용천부로 옮긴 시기는 대개 제3대 문왕 19년인 755년경으로 보고 있는데, 동모산을 중심으로 한 수도 시기는 약 59년으로 추정된다.


동모산으로 불리는 성산자산성은 어쩌면 홀로 외로이 앉아있는 모습이었다. 고구려 유민이 당나라에 의해 요하 서쪽인 영주(지금의 요녕성 조양시 인근)로 강제 이주된 뒤 천신만고 끝에 30년만에 돌아와 나라를 세운 곳이라는 생각을 해보니 감회가 새롭기만 했다. 산성 입구에 1980년 4월20일 중국 길림성 인민정부가 길림성 문물보호단위(우리의 지정 문화유적에 해당)로 공포하고 돈화시 인민정부가 세운 비석이 2개 서 있었는데 하나는 중국어로, 다른 하나는 조선어로 적혀 있었다. 비석 내용은 '성산자산성은 당나라 발해국 초기 성지로 발해 제1대 왕 대조영이 자리를 잡았다고 한 동모산으로 고증되었다…'로 씌어져 있었다.


저녁햇살은 동모산의 이마를 비추이며 뉘엿뉘엿 서녘 벌판 너머로 붉은 홍당무가 되어 무작정 지고 있었는데 '서산에 지는 해는 지고 싶어 지나'라는 구절이 있는 우리 고유민요 아리랑이 생각났다. <계속>


돈화로 가는 길. 봇나무(자작나무) 설경과 겨울 만주 시골 집 풍경이 인상적이다.


돈화로 가는 길에서 만난 상점. '북방식품상점'이라는 조선어 간판이 눈길을 끈다.



동모산, 성산자산성 관련글

동모산, 성산자산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20411

발해의 지방과 성곽 목록  http://tadream.tistory.com/450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