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1_0050_0010


길림 동단산산성(吉林 東團山山城 ; 東團山城 ; 團山子山城; 東團山遺址)


구글지도에 문제가 있어 위성사진은 구글어스를 사용.

https://earth.google.com/web/@43.85177823,126.60013453,1490.81547703a,9.96223632d,35y,0h,0t,0r


시대 : 고구려 중기

유형 : 테뫼식(山頂型)〉복곽식

형태사항 : 면적 : 약 3만㎡, 해발 252m / 규모 : 외성 둘레 650m∼680m 1,100건  

출토지 : 吉林市 東郊 江南鄕 永安村 (길림시 동교 강남향 영안촌) 다리 밑 수로

* 東郊=丰满区(풍만구) ?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52년 8월추길태(鄒吉太, 吉林省人民政府敎育局)· 8월 보름 동안 吉林市郊區 문화 유적 가운데 토성자, 동단산, 용담산 등 16곳을 조사함.
1960년 · 1960년 길림지구 문화재 일제조사 결과 吉林市郊區의 용담산성, 삼도령성지, 동단산유적, 영길현의 토성자성지, 漂兀河山城, 교하현의 拉法城址를 고구려 성으로 확정함.
1973년길림시도서관 문물조(吉林市圖書館 文物組)· 吉林市圖書館 文物組가 길림성문물국의 허가를 얻어 동단산 유적을 시굴하여 고구려 시대의 유물을 포함하여 많은 유물을 조사하였음.
1982년동학증(董學增), 길임시교구문화관 문지(吉林市郊區文化館 文志), 길임성박물관 동조권(吉林省博物館 董朝權), 구기(仇起), 김려화(金麗華)· 용담산성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할 때 용담산성 부근의 三道嶺子山城과 東團山山城에 대한 조사도 아울러 진행하여, 과거 잘못 기재한 부분과 누락된 것을 바로 잡고 아울러 새로 발견된 사실을 보고함.
1983년 4월 ~ 1985년 말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吉林市文物管理委員會)· 길림시 문물관리위원회를 주축으로 7개 縣과 區의 문화재 일제조사와 문물지 편찬이 이루어졌음.
· 이 조사에서 정리된 성들은 여러 시기에 걸친 것으로 총 63개가 조사되었는데, 이 때 새로 고구려 성이라고 밝혀진 것들이 많았음. 당시 고구려 성으로 조사된 것은 문물지의 표에 따르면, 용담산성, 동단산산성, 삼도령자산성, 랍법소립자산성, 횡도자남산산성, 육가자동산산성, 성자구패성, 지방구패성의 10개의 성곽이며 표에는 나와있지 않으나 본문 설명에 고구려 성으로 나와있어 표를 만들때 누락된 것으로 보이는 대마종령산성, 표에도 나와있지 않고 본문에도 요금시대의 성이라고 결론짓고 있으나 고구려 시기의 토기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관지고성도 고구려성에 포함시킬 수 있음.
· 1985년에 이 곳에 “서단산 문화 진열실”을 한 곳 건립하였음.
2001년 6월 ~ 10월
2002년 7월 ~ 11월
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길림시박물관(吉林市博物館), 길림시문물관리처(吉林市文物管理處)· 길림성 성내의 동부에 위치한 동단산 유적(동단산유지)을 조사함. 유적은 세 개 부분 즉 동단산 산성(A구역), 동단산 평지성(B구역)과 성 주변 유적(C구역)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200,000㎡임.
① 2001년의 발굴
· 2001년 조사된 1,500㎡는 A구역(동단산 산성)과 B구역(동단산 평지성 ; 남성자고성)의 두 개 구역으로 나누어 발굴이 이루어졌음.
· A구역(동단산 산성)에는 5*5피트 24개를 설치하여 600㎡를 노출시켰음.
· 지층퇴적은 5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3, 4층은 부여(漢·魏시기)문화층이고 5층은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층임.
· 부여(漢·魏) 문화층 정리과정에서 주거지 1기, 재구덩이(灰坑) 7기, 회구 1기를 발견하였음.
② 2002년의 발굴
· 2002년 발굴은 동단산 유적 3개년 발굴계획이 두 번째로, 발굴은 A구역(동단산 산성)과 B구역(동단산 평지성 ; 남성자고성)의 3개 지점에 대해 진행되었음.
· A구역(동단산 산성)의 발굴면적은 500㎡임.
· 유적 층위는 5개 층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 1층은 근현대층, 2·3·4층은 부여(漢·魏) 문화층, 5층은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층임.
· 발견된 유구와 유물은 부여(漢·魏) 시기가 주를 이루며, 청동기시대 문화가 그 다음으로 많음. 이 밖에도 명·청시기 유적이 확인되었음
· 부여(漢·魏) 시기 유구는 총 21기가 발굴되었는데, 주로 주거지와 灰坑(교혈)임.


 

역사적 의미


(1) 용담산산성의 위성설


동단산 산기슭 농토로 이용중인 곳에 고구려 건축 유물이 흩어져 있는데, 이에 근거해 이 곳 동단산산성은 당시 고구려인이 일찍이 거주한 곳임을 알 수 있음. 동단산산성의 구조는 용담산성과 기본적으로 같으며, 두 성의 거리 또한 매우 가까우므로 동단산산성은 용담산성의 위성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음[董學增, 1982]. 동단산산성은, 송화강의 우안을 통제하고, 길림시 九站(구참), 삼도령자산성, 대립자산성은 송화강의 좌안을 통제하여 동담산산성과 삼도령자산성은 용담산산성과 犄角(기각)의 세를 띰. 동단산산성과 삼도령자산성 2성은 성의 위치와 규모로 볼 때 당시 용담산성의 위성이었을 것임[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동단산산성은 송화강 우안을 통제하고 삼도령자산성은 그 좌안을 방어하여 용담산산성과 犄角之勢(기각지세)를 이루고 있음. 동단산산성의 위치와 규모로 보면, 용담산산성의 위성에 해당함. 이 성은 평상시에 주둔하지 않다가, 전쟁이 있을 때만 주둔하였으므로 성안에서는 건축물이 거의 보이지 않음.


(2) 물길 방어용 산성설


동단산산성과 용담산산성, 삼도령자산성은 고구려가 물길을 방어하기 위해서 축조한 것으로 생각됨. 고구려가 언제 이곳까지 진출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음. 고고학자 이문신은 “고구려가 이곳(길림시교 일대)을 다스린 것은 아마도 광개토왕·장수왕 시기로 국력이 팽창하여 부여를 복속시킨 이후일 것”이라고 하였음. 고구려의 군사력이 언제 제2송화강 유역까지 미쳤는가에 대해서 『길림통지』에서는 대체로 남북조 北魏 孝文帝 延興(북위 효문제 연흥)년간일 것으로 기록하였음[김진광, 2012].

 


자연환경


동단산의 동남면은 비탈이 가파르고, 서쪽으로는 남에서 북으로 흘러가는 송화강이 있고, 산의 서북쪽은 비탈이 점차 완만함.

 


유물정보


성안에서 청동기 시대의 토기편과 고구려 시대의 기와편이 발견되었음. 성내 지면에서 일찍이 고구려 적색 승문 암키와(板瓦)와 격자문 암키와(板瓦) 잔편을 발견.

 


참고문헌


· 董學增, 1982, 「吉林東團山原始,漢,高句麗,渤海諸文化遺址調査略報」『博物館硏究』 (創刊)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3, 『吉林市文物志』, 吉林文史出版社

· 董學增, 1986, 「吉林市龍潭山高句麗山城及其附近衛城調査報告」『北方文物』1986-4

· 馬德謙, 1987, 「談談吉林龍潭山,東團山一帶的漢代遺物」『北方文物』1987-4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李健才, 1991, 「唐代高麗長成和扶餘城」『民族硏究』1991-4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吉林市地方志編纂委員會, 1994, 『吉林市志文物志』, 吉林文史出版社

· 魏存成, 1994,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 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蹟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李健才, 2000, 「再論唐代高麗的扶余城和千里長城」『北方文物』2000-1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迹』, 文物出版社

· 唐音·翟敬源·張寒冰 2003, 「吉林市東團山漢魏時期及明代遺址」『中國考古年鑑』, 文物出版社

· 이종수, 2003, 「扶餘城郭의 特徵과 關防體系硏究」『白山學報』67

· 唐音·丁宏毅·劉利 2004, 「吉林市東團山漢魏時期遺址」『中國考古年鑑』, 文物出版社

· 李新全, 2004, 「關于高句麗兩座土城的一点思考」『東北史地』2004-3

· 李鍾洙, 2004, 『夫余文化硏究』, 吉林大學 박사학위논문

· 지승철, 2005, 『고구려의 성곽』, 사회과학출판사

· 동북아역사재단, 2006, 『高句麗城 사진자료집』中國 遼寧城·吉林省 西部

· 唐音, 2008, 「東團山遺址」『田野考古集粹』文物出版社

· 이성제, 2008, 「부여와 고구려의 관계사에서 보이는 몇 가지 쟁점」『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 干麗群·賈素娟·韓安生, 2010, 「以東團山遺址出土爲例試析漢文化對夫餘文化的影向」『東北史地』4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정원철, 2010, 『高句麗山城硏究』, 吉林大學 박사학위논문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김진광, 2012, 『북국 발해 탐험』, 박문사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 현황- 『중국고고학연감』(2000-2010)을 중심으로」[길림성·흑룡강성편]

· 양시은, 2013, 『고구려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길림 동단산산성 지리위치도2

길림 동단산산성 지리위치도1

길림 동단산산성 평면도

길림 동단산산성(동단산유적) 지리위치도3



관련글

동단산산성, 남성자고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3219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