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글 : 1월20일(월)-26일(일) 윤석열 탄핵 촛불집회 전국 일정  https://tadream.tistory.com/38004
 
"남 탓 대통령 부끄러워"‥이 시각 촛불문화제
입력 2025-01-21 20:37 | 수정 2025-01-21 20:41 류현준 기자 
 

 
앵커
 
오늘 헌법재판소 근처에서도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는데요.
 
탄핵 심판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의혹을 전면 부인하자 시민들의 분노가 쏟아졌습니다.
 
집회 현장 연결합니다.
 
류현준 기자, 오늘 헌재 주변에서 집회가 계속 이어졌죠?
 
기자
 
네, 이곳 헌법재판소 근처에서 오후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가 열리면서 온종일 삼엄한 경비 속에 긴장감이 감돌았는데요.
 
저녁 7시부터는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계엄 포고령도 형식적인 것이고, 정치인 체포 지시도 없었다는 등 계엄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하자 집회 참가자들은 분노를 쏟아냈습니다.
 
시민들 목소리, 들어보시죠.
 
[원희정]
"다 모른 척하고 불리한 건 다 대답도 안 하고, 다 거부하고 부하들한테 다 떠넘기고. 그런 것들 보면서 정말 부끄럽고 대통령으로서 너무 자격이 없었던 사람을 뽑았던 게 아닌가."
 
[김차환]
"윤석열 씨가 평소에 법 위에 살아왔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법의 제재를 받는 걸 굉장히 힘들어하고 부정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시민의견서를 모으는 작업도 시작됐습니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2024년 12월 3일을 기억하는 의미로, 2만 4천1백23명의 의견서를 받아 헌재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국민의힘 당사 앞에선 한 시민단체가 이번 서부지법 폭동의 책임을 묻는 출정식을 가진 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의 지역사무실을 찾아가기도 했습니다.
 
[문지현]
"견제나 탄핵의 수단이 미약한 국회의원이라는 직위와 신분을 이용해 내란 세력에 대한 조직적 비호에 앞장서고 있는 내란 동조 세력일 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집회는 설 연휴 전까지 계속 이어질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 근처 광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우 임지환 / 영상편집 : 김현수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