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200720212837973?s=tv_news
위기와 극복의 K-방역 6개월..공공의료 부족 해결은 시급한 과제
이효연 입력 2020.07.20. 21:28 수정 2020.07.20. 22:22
[앵커]
지난 6개월 동안, 마음 졸인 위기의 순간들도 있었습니다.
그 때마다 방역당국은 더 강한 대책을 내놨고, 국민들은 방역 수칙 철저히 지키면서 헤쳐왔습니다.
하지만 한계와 숙제도 여실히 드러났죠.
이효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휴대전화 기지국입니다.
이 통신 설비가 코로나19의 확산을 막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지난 5월이었죠.
이태원 클럽발 감염 확산이 절정일 때,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통통신 3사에 기지국 정보를 요청했고, 이동통신사들은 만 건이 넘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합니다.
서울시 등 지자체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이태원 일대 방문자들에게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경찰은 연락이 닿지 않는 사람들을 추적합니다.
방역당국과 지자체, 수사기관, 민간기관이 합심해서 막아낸 '위기의 순간'이었습니다.
지난 6개월, 이런 위기의 순간 마다 정부는 적절한 대책으로, 또 우리국민들은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로, 코로나19 확산을 막아왔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의 상황을 '방역의 성공'이지, 보건의료의 성과는 아니라고 평가합니다.
여기 10%라는 숫자.
이 숫자는 우리나라 전체 병상 가운데 공공병상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이 10%의 공공병상으로 코로나19 확진자의 80% 가까이를 감당해냈습니다.
감염병 환자가 대거 발생했을 때 정부 정책에 따라 신속하게 병상을 확보할 수 있는 곳은 바로 공공의료기관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공공의료 기관이 전체 의료기관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대구에서는, 신천지발 환자가 급증했을 때, 갈 병원이 없어 4명이 자택에서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최근까지 환자가 늘었던 광주와 대전도 공공의료기관이 1%대에 머물고 있어 일부 환자는 인근 지역에서 치료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선진국은 어떨까요? 영국은 100%가 호주는 70%, 일본은 26%가 공공병상입니다.
코로나19를 경험한 우리 국민의 70% 가까이가 의료 서비스는 공적 자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공의료기관의 시급한 확충, 지난 6개월이 우리에게 남긴 숙제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효연 기자 (belle@kbs.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확진자, 병실 없어 치료센터 옮겼다 악화.. 지역 간 의료 불균형 '민낯' - 한국 (0) | 2020.07.21 |
---|---|
[단독] 재범 못 막는 전자발찌..드러난 감시 허점 - SBS (0) | 2020.07.20 |
[원보가중계] 5·18민주화운동에 "폭동"..일본 넷플릭스 논란 - JTBC (0) | 2020.07.20 |
[팩트체크] 국회 통째로 세종시 이전, 가능한가? - JTBC (0) | 2020.07.20 |
함부로 버리는 마스크 "돌고 돌아 우리 식탁으로" - MBC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