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11762
관련글 : 학양사 산성 (鶴羊寺 山城) 2 - 세계한민족문화 https://tadream.tistory.com/4243
* 두글이 조금 다르긴 합니다.
학양사 산성 (鶴羊寺 山城)
중문 : 鹤羊寺山城
현 소재지 : 요령성 영구시 개주시 단산진 정둔촌 서쪽 1㎞ 학양산에 위치
정의
요령성 영구시 개주시 정둔촌 서쪽 학양산에 있다는 고구려 산성.
개설
학양사 산성은 과거 성 안에 학양사라는 사원이 있었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영구시 문물지』에서는 조양사 산성이라 명기하고 있는데, 비슷한 지역 방언의 음을 착각하여 조양사로 잘못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위치
학양산 산성의 위치는 요동만에 접해 산을 등지고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대청하 하류와 가깝고 그 남쪽으로 차헌이 사강진 혜둔에서 북쪽으로 산성 동남의 정둔과 동쪽의 흥륭둔을 지나 흥륭둔에서 서북쪽으로 꺾여 서장둔 부근에서 발해요동만으로 들어간다. 이 하천이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학양사 산성까지의 직선 거리는 3㎞이다.
현황
학양산 산성은 산의 동남 산비탈과 산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다보는 형세로 산세를 따라 축조되었다고 한다. 남쪽 골짜기 입구는 산성으로 들어가는 주요 통로가 되며, 이 경로를 따라 산 내부로 들어온 곳에 학양사 도관이 자리 잡고 있다.
산성은 손상이 매우 심한 상태로 평면은 방형에 가깝다고 하나, 그 전모를 살피기는 어렵다. 동서 너비가 약 350m, 남북 길이 350m 정도라고 보고. 면적에 대해서는 12.25만 ㎡ 혹은 200만 ㎡로 엇갈리고 있다. 성문에 대해서도 3곳과 2곳으로 불분명하다. 성벽, 성문, 요망대, 장대, 건물지, 우물, 봉화대 등이 남아 있다고 한다. 성벽은 산등성이를 따라 화강암으로 쌓았고 너비 약 1.2~2m, 잔고 1~2m라고 하였다. 서벽의 가파른 절벽 구간에는 성벽을 쌓지 않았다고 한다. 왕우량 등의 조사 시에 남북 방향 산등성이에서는 성벽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며, 북측의 가장 높은 지점에서 파손된 성벽을 찾았다고 보고되었다.
집필자의 현지 조사시 정둔 마을에서 진입하였는데 학양사는 일대에서 유명한 곳으로 주민들이 잘 알고 있었다. 산 중턱부에 대규모의 도관이 자리 잡고 있고 그 위의 정상부에서 석축의 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기의 망대를 확인하였다. 하나는 손상이 커서 원형을 잃었으나 다른 하나는 잘 남아 있는 편이다. 상부에 안테나 시설이 세워져 있다. 별도의 시설은 볼 수가 없고 축조에 필요한 석재의 분리 면들을 주위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연통산 산성과 하나의 연락망 속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사 시 짙은 황사로 일대의 전경을 관찰할 수 없었지만, 주변에서 가장 높은 고지에 세워진 봉화대 시설일 가능성은 높다고 보인다.
정상부에서 도관의 측면으로 석축 시설을 확인하여 도관으로 들어가 그것이 도관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세운 축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도관에서는 이 사원이 수대에 처음 세워졌다고 주장하고 관련 근거도 있다고 한다. 추후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나 도관의 전면으로 세워진 축대는 옛 것으로 초축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고구려 당시의 석축 시설로도 생각해 볼 가능성도 있을 듯하다. 그러나 중국 측 보고에는 대형의 산성이라고 하였으나 그렇게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의의와 평가
학양산 산성은 연통산 산성과 유사한 성격의 초소[혹은 봉화대] 군사 시설로 보인다.
참고문헌
崔艶茹 외, 『營口市文物志』(哈爾濱出版社, 1996)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西安地圖出版社, 2009)
王禹浪·王文軼, 「營口地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學院學報』 2011-9, 哈尔滨学院, 2011)
'고구려 > 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통산산성 위성사진 대략 (0) | 2020.03.20 |
---|---|
연통산산성 관련 중국 사이트 (0) | 2020.03.20 |
연통산산성 위치와 주변 (0) | 2020.03.19 |
연통산산성 부속시설 - 동북아역사넷 (0) | 2020.03.18 |
연통산산성 위치 및 교통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