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해군 - 나무위키

고조선 2020. 3. 22. 00:36

출처 : https://namu.wiki/w/%EC%B0%BD%ED%95%B4%EA%B5%B0


창해군

滄[1]海郡. 

최근 수정 시각: 2020-02-05 15:24:58


기원전 128년 가을(음력 7~9월)에 전한 무제가 설치하고 기원전 126년 봄(음력 1~3월)에 폐지한 군현이다.


예군 남려가 고조선을 배신하고 28만 명이나 되는 인구[2]를 이끌고 요동군에 귀속하였고, 팽오(彭吳)가 예(濊)와 고조선과 거래하자, 한은 그곳에 창해군을 설치하였다. 당시 한나라는 패수(浿水, 지금의 청천강)를 고조선과의 경계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만번한(滿番汗, 지금의 다롄시 좡허(庄河)현급시 일대, 대양하 근교)부터 마자수(압록강)를 건너 패수에 이르기까지의 공간에는 그곳에 살던 고조선 친화적인 중국계 망명인들로 인하여 한의 실질적인 지배력이 닿지 못하고 있었고, 이는 '진의 옛 빈 땅[秦故空地]'이라는 구절로 나타났다. 무제는 이곳을 영토화하고 패수까지 진출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후 군현의 운영과 유지를 위한 물자 및 인력 징발로 인해 인접한 연(燕)과 제(齊) 지방[3]이 피폐해져 봉기까지 일어났다고 한다. 무제는 요동군에서 창해군에 이르는 길까지 교통로를 정비할 것[4]을 명하였지만, 당시 어사대부였던 공손홍(公孫弘)의 건의로[5] 무산되고 창해군은 폐지된다. 인력과 비용이 너무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고조선의 일부를 영토화하려 했던 무제의 시도는 불과 2년도 안 되어 무산되었다. 그러나 창해군이 폐지됐다고 그 땅을 한이 모조리 상실한 것은 아니고, 압록강 위쪽의 만주 땅에는 무차(武次)현, 서안평(西安平)현, 번한(番汗)현이 살아남아 요동군 동부도위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약 20년 뒤, 동부도위 섭하가 고조선의 기습을 받아 살해당하고, 이후 고조선은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창해군이 있던 자리에는 현도군을 비롯한 한군현이 설치된다.


사기 유후세가에 나오는 창해 역사과 관련이 있지 않는가 하는 설이 있다.



다음은 창해군과 관련된 사료들이다. 작성된 순서대로 정렬하였다.


팽오가 예(濊) 및 조선(朝鮮)과 장사하자, 창해군을 두었는데, 이에 연(燕)과 제(齊)의 사이에서는 봉기가 일어났다. (중략) 이때 한(漢)나라는 서남이(西南夷)로 통하는 길을 만들었는데, 인부[作者]들이 수만 명이었다. 1,000리에 걸쳐 식량을 운송해야[負擔] 했으므로, 대개 10여 종[6]을 보내면 1석만 도착했으니, 공(邛)과 북(僰)들과 거래하여 그것(식량)을 모아야 했다. 수년이 지나도 길은 완성되지 않았는데, 만이(蠻夷)가 이를 노려 수차례 침공하니, 관리들은 군대를 일으켜 그들을 무찔러야 했다. 모든 파촉(巴蜀) 지방의 세금으로 이 비용을 충당하는 데는 부족했으므로, 이에 호민(豪民)들을 모아 남이(南夷)에서 경작하게 하여, 곡식을 지방관[縣官]에게 내게 하고 그 비용은 도내(都內, 중앙)에서 받도록 했다. 동쪽으로는 창해군에 이르렀는데 인부들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남이(南夷)와 비슷했다.


彭吳賈滅[7]朝鮮,置滄海之郡,則燕齊之閒靡然發動。 (중략) 當是時,漢通西南夷道,作者數萬人,千里負擔饋糧,率十餘鐘致一石,散幣於邛僰以集之。數歲道不通,蠻夷因以數攻,吏發兵誅之。悉巴蜀租賦不足以更之,乃募豪民田南夷,入粟縣官,而內受錢於都內。東至滄海之郡,人徒之費擬於南夷。


『사기(史記)』 권30 평준서(平準書) 제8(원문, 번역)



원삭 3년(기원전 126년), 장구(張歐)가 면직되니 공손홍(公孫弘)을 어사대부(御史大夫)로 삼았다. 이때는 서남이(西南夷)와 통교하고 동쪽으로는 창해군을 설치했으며, 북쪽으로는 삭방군(朔方郡)을 축성했었다. 공손홍이 수차례 간언하여 쓸모가 없는 땅을 받드는 일로 중국(中國)을 파폐하게 하니 폐지를 청하였다. 이에 천자가 주매신(朱買臣) 등을 시켜 삭방군을 세워 얻는 편익을 들어 공손홍을 나무랐는데, (주매신 등은) 열 가지를 들었으나 공손홍은 한 가지도 반박하지 못했다. 공손홍이 즉시 사죄하며 "(제가) 산동(山東)의 비루한 사람이라 그러한 이점이 있는지는 몰랐는데, (그렇다면) 서남이와 창해는 폐지하고 삭방군에만 전념하시길 바랍니다."라고 말했다. 임금이 이내 이를 허락했다.


元朔三年,張歐免,以弘為御史大夫。是時通西南夷,東置滄海,北筑朔方之郡。弘數諫,以為罷敝中國以奉無用之地,願罷之。於是天子乃使朱買臣等難弘置朔方之便。發十策,弘不得一。弘乃謝曰:「山東鄙人,不知其便若是,願罷西南夷、滄海而專奉朔方。」上乃許之。


『사기(史記)』 권112 평준후 주부 열전(平津侯主父列傳) 제52, 공손홍(원문, 번역)



원삭 원년(BCE 128) 가을, 동이 예군(薉君) 남려(南閭) 등이[원주] 구 28만인을 이끌고 항복하므로, 창해군으로 삼았다. (중략) 원삭 3년(BCE 126) 봄에 창해군을 없앴다.


(元朔元年)秋, (중략) 東夷薉君南閭等口二十八萬人降, 為蒼海郡. (중략) 三年春,罷蒼海郡。


『한서(漢書)』 권6 무제기 제6##



팽오가 예와 조선을 뚫자 창해군을 두었는데, 이에 연(燕)과 제(齊)의 사이에서는 봉기가 일어났다. (중략) (흉노를 치고 삭방을 쌓던) 때에 또한 서남이(西南夷)로 통하는 길을 만들었는데, 인부[作者]들이 수만 명이었다. (이하 해석 상동)


彭吳穿穢貊、朝鮮,置滄海郡,則燕齊之間靡然發動。 (중략) 時又通西南夷道,作者數萬人,千里負擔餽饟,率十餘鍾致一石,散幣於邛僰以輯之。數歲而道不通,蠻夷因以數攻吏,吏發兵誅之。悉巴蜀租賦不足以更之,乃募豪民田南夷,入粟縣官,而內受錢於都內。東置滄海郡,人徒之費疑於南夷。


『한서』 권24 식화지(食貨志) 제4##



원삭(元朔) 원년(기원전 128년)에 예군(濊君) 남려(南閭) 등이 우거(右渠)를 배반하고 28만 구(口)를 이끌고 요동(遼東)에 귀속하였으므로, 무제(武帝)는 그 지역으로 창해군(蒼海郡)을 만들었으나, 수년 후에 곧 폐지하였다.


元朔元年武帝年也., 濊君南閭等【集解】 惠棟曰, 顏籀云, 南閭者, 薉君之名.畔右渠, 率二十八萬口詣遼東內屬, 武帝以其地爲蒼海郡, 數年乃罷.


『후한서(後漢書)』 권85 동이(東夷)열전 제75, 예(濊)##




[1] 蒼이라고도 쓴다.

[2] 한서 지리지에는 요동군의 인구가 272,539명이라고 제시되어 있는데, 이를 능가하는 인구가 한꺼번에 투항했다기보다는 창해군 설치 예정지에 살던 인구수를 추산한 것이라고 보아야 합당할 것이다.

[3] 이는 나라가 아니라 지금의 허베이 성, 랴오닝 성, 산둥 성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4] 한무제가 서남이(西南夷) 정벌에서 그랬던 것처럼 한반도나 만주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이다.

[5] 『사기』 권112 평준후주부열전(平津侯主父列傳) 제52 공손홍(公孫弘) 조

[6] 약 64석

[7] 문맥상 '멸하다'가 나올 자리가 결코 아니며, 보통 예(濊)의 오기로 본다(참고).

[원주] 복건이 말하길, "예맥은 진한의 북쪽, 고구려와 옥저의 남쪽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대해에 이른다."라고 했다. 진작이 말하길, "예(薉, 본문의 글자)는 예(穢)의 옛 글자이다."라고 했다. 안사고가 말하길, "남려는 예의 군주 이름이다."라고 했다.

服虔曰: 「穢貊在辰韓之北, 高句麗·沃沮之南, 東窮于大海.」 晉灼曰: 「薉, 古穢字.」 師古曰: 「南閭者, 薉君之名.」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