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ko.jedi.wikia.com/wiki/%ED%8C%90%EC%98%A5%EC%84%A0
판옥선
판옥선[板屋船]은 조선 시대, 배 위의 네 귀에 기둥을 세우고 사면을 가려 마룻대를 얹어 널빤지로 지붕을 덮은 전투선이다. 판옥선은 전투 목적으로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투함입니다.
판옥선을 조선시대 수군의 주력함이라고 하는데 주로 적의 예봉을 꺽거나 적 전술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돌격선의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주력전선은 판옥선이고 판옥선이 거북선 보다 실제 전투에서 더 유용합니다.
우리나라 초기의 싸움배는 '맹선'으로 판옥선과 달리 하나의 1층으로 되어 잇엇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를 주로 침범하던 왜구들은 주로 배에 기어올라 싸움을 벌이는 백병전을 사용햇고, 노잡이와 병사의 분할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의 맹선은 속수 무책으로 당하기 만 햇습니다.
조운(漕運)을 겸하는 주력 군선인 판옥션은 2층구조(1층 창고,휴식공간 2층 노꾼, 전투병)로 16세기 삼포 왜란·사량 왜변· 을묘 왜변 등 변란이 속출하자 1555년(명종 10) 새로 개발해낸 판옥선은 구조와 기능 등 모든 면에서 종래의 군선과는 아주 다른 혁신적인 전투함이다. 그래서 조류를 이용해서 왜선을 묶어서 못 움직이게 한 다음 멀리서 빵야 빵야. 끗
판옥선의 구조
맹선 위에, 한 층을 더 올려 전투원 전용공간을 만들고, 지휘용 함교를 세운 것이 "판옥선 "인 것 같습니다. 판옥선의 재료는 "해송"이었고 쇠못을 쓰지 않습니다. 판옥선은 1555년 '정걸' 장군이 조선의 강력한 뒷받침을 받아 개발햇습니다. 왜구가 뛰어 오를 수 없도록 2층 구조로 1층에는 병사들이 갑판의 밑에는 노잡이들이, 그 밑에는 병참이 잇는 구조로 왜구의 배가 들이 받아도, 화포를 쏠때에도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튼튼햇지요.
판옥선이 만들어진 4년 후에는 왜수의 침입이 자취를 감췃다고 합니다. 거북선은 이 판옥선의 판옥을 없에고 그 위에 철판을 덮은 것이지요. 선체(船體)의 윗면(상면上面)에 방패판(상장上粧)을 가설(판옥을 올렸다고 하여 판옥선)한 3층구조다.
1층 창고,휴식공간
2층 노꾼 방패판으로 노꾼 보호
3층 전투병 높고 넓은 자리에서 노꾼의 방해 없이 효율적 전투
3층구조의 높이로 인하여 적이 접근하여 배에 뛰어들기 어려움-왜군의 단병접전을 어렵게 하였다. 판옥선의 규모는 초기(명조) <명종실록>에는 50명 정도가 승선한 기록이 있다.
임진왜란(선조) 당시 크기는
저판(底板) 길이 50~55척이며
탑승인원:130여명( 노꾼:90명 전투병: 지휘관 포함 54명(포경수:36명, 사수(궁수):18)
포격전과 원거리 공격 중심
임진왜란시 조선의 함포전술은 세계해전사에 기록되는 최초의 함포전술이다.
정조시대 통영상선(統營上船 통제사 기함 )이 저판 길이 90척, 일반 판옥선이 저판 길이 70척 탑승인원 160여명. 정조때 이후 전선(戰船)으로 불린다.
판옥선에 대한 오해
왜군이 판옥선에 널빤지를 걸치고 넘어 왔다??
왜선중에 판옥선과 규모가 같은 배는 안택선(아타케부네)로 지휘선이고 실제 주력전선은 그보다 작은 세끼부네로 조선수군의 주력전선인 판옥선에 등선하려면 사다리나 밧줄을 놓아야 했다. 왜군의 단병접전 전술은 세끼부네를 판옥선에 붙여 밀려나지 않도록 밧줄과 쇠사슬 등으로 붙여 잡고 사다리나 밧줄로 기어 올라가야만 하였다. 마치 성채를 공격하듯이 올라가야 했음으로 전투는 매우 불리 하였다.
판옥선은 왜선에 비하여 속도가 느렸다?
판옥선의 노꾼은 노1개당 4명에 휴식인원1명이 배치 되어 기동성이 좋았다. 기록에도 운항중 판옥선에 발각되어 도주하는 왜선이 붙잡힌 기록이 보인다.
거북선은 이순신의 주력 전선이다?
이순신, 즉 조선 수군의 주력 전선은 판옥선이고 거북선은 이순신의 전술에 필요한 전술 병기였다. 주로 적의 예봉을 꺽어 전술기동를 못하게 하는 돌격선의 역할을 하거나 전투 마무리 시점에 적에게 마지막 카운트 펀치를 날리는 역할을 하였다.
판옥선 관련글
임진왜란 군사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1518
판옥선 관련글
임진왜란 군사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1518
'조선 >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중일기>에 나오는 전투 방식, 당파(撞破) - 오마이뉴스 (0) | 2014.08.08 |
---|---|
거북선,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일등공신 - 남우진 (0) | 2014.08.08 |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좌대에 중대 오류... 서울시 "우린 모르는 일" - 오마이뉴스 (0) | 2014.07.14 |
최민식과 김명민, 누구의 갑옷이 진짜일까 - 오마이뉴스 (0) | 2014.07.09 |
<35>이순신 정론(1) 관점의 전환, 명량해전 철쇄 문제 - 국방 (0) | 201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