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eskang&folder=31&list_id=11273683

가야가 살아온다 <19> 철산지를 찾아라 ② 철산지를 찾아라 
가야 철 연구가 손명조씨
국제신문

가야사 연구자 중 드물게 ‘가야의 철’을 집중 연구해온 손명조(41·사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이 지난 6일 본사 주최 ‘가야사 시민강좌’의 강사로 참여, ‘가야의 철’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강연 후 그를 인터뷰했다.

-가야사 연구자 중 철기연구가는 얼마나 되나.

▲가야사를 푸는 열쇠가 ‘철’인데도 연구가는 2, 3명이다. 그만큼 접근이 어렵다는 말도 된다. 철은 시간이 가면 녹이 슬고 햇빛을 보면 부식된다. 다루기가 까다롭다.

-철이 왜 중요한가.

▲고대사회의 철은 오늘날 석유나 핵무기에 비유된다. 그 자체가 사회변동 요인이기도 하다. 철을 가진 자, 강철을 만드는 자가 사회를 지배했다.

-고대 철생산은 어떻게 이뤄졌나.

▲철이 생산되려면 원료(철광석), 연료(나무와 숯), 구조물(제련로), 노동력, 기술력이 모두 구비되어야 한다. 그렇잖으면 수입해야 한다. 구조물인 노(爐)는 하이테크다. 그래서 제작이 끝나고 나면 모두 뜯어낸다. 기술보안 때문인 것 같다. 조사해보면 대부분 바닥뿐이다.

-고대인들은 철광석을 어떻게 찾아냈나.

▲아직도 의문이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철광석은 전국에 두루 분포한다. 문제는 철의 함유량이며 경제성이다. 20~30%의 쇠가 함유돼 있는 철광석은 경제성이 없다. 70% 이상은 돼야 철을 뽑을 수 있다. 탄소함유량을 잘 맞춰야 강철이 된다. 그런 원료를 어떻게 찾아내 제련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김해의 생림, 생철에는 철산지가 있을 법한데.

▲10여차례 현장을 조사했으나 찾지 못했다. 김해지역 고분에서 쏟아진 엄청난 철기를 볼 때 어딘가에 분명히 있을 것이다. 찾아야 한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