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db.history.go.kr/item/pdfViewer.do?levelId=hn_019_0070 (문서파일)
* "발해 城址의 조사와 연구 - 송기호" 중
"Ⅱ.성지 조사 현황" 만 가져왔습니다.

발해 성지 조사 현황
지역별 발해  성 목록
1989년 송기호
 
현재까지 조사된 발해의 성을 지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국 吉林城 지역

① 돈화시, 돈화현(敦化市, 敦化縣)
 
오동성(敖東城, 아타리성/俄朶里城), 어둬리성/鄂多哩城, 아커둔성/阿克敦城), 횡도하자고성(横道河子古城), 
성산자산성(城山子山城), 
통구령산성(通溝嶺山城), 
석호고성(石湖古城), 
마권자고성(馬圈子古城, 재량하고성/才浪河古城), 
흑석고성(黑石古城, 흑석둔토성/黑石屯土城, 혁십혁고성/赫什赫古城), 
손가선구고성보(孫家船口古城堡), 
대전자고성보(大甸子古城堡), 
남태자고성보(南台子古城堡)

② 혼춘현(琿春縣)

팔련성(八連城, 고토성/古土城, 반랍성/半拉城, 팔뢰성/八磊城, 팔루성/八壘城, 반랍자성자토성/半拉城子土城),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 온특혁성/特赫城, 고려성/高麗城, 고력성/高力城, 고력성자토성/高力城子土城), 
영경고성(永慶古城), 
성장랍자성(城墻磖子城, 성장랍자성/城墻拉子城, 성장립자성城墻砬子城), 
도원동 북산성(桃源洞 北山城), 
도원동 남산성(桃源洞 南山城), 
사제성(沙齊城, 살기성/薩其城), 
영성자성(營城子城, 고려성/高麗城), 
석두하자성(石頭河子城)

③ 화룡현(和龍縣)

서고성(西古城), 
하남둔고성(河南屯古城, 허래성/虛萊城, 허래성/虛來城, 팔가자토성/八家子土城), 
해란고성(海蘭古城), 
홍성고성(紅星古城), 
용천고성(龍泉古城), 
장항고성(獐項古城), 
장인유지(長仁遺址), 
용해고성(龍海古城, 잠두성/蠶頭城), 
팔가자남산산성(八家子南山山城, 상남산산성/上南山山城)

④ 연길시 용정현(延吉市, 龍井縣, 옛 연길현) 2)

선구산성(船口山城), 
탸양고성(太陽古城), 
하룡고성(河龍古城), 
대회둔고성(大灰屯古城), 
중평고성(仲坪古城), 
동흥고성(東興古城), 
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 
토성둔토성(土城屯土城), 
연길가 북토성(延吉街 北土城)

⑤ 왕청현(汪淸縣)

계관고성(鷄冠古城), 
반성고성(半城古城), 
용천평고성(龍泉坪古城), 
하북고성(河北古城), 
목단천고성(牡丹川古城), 
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고성고성(高城古城), 
석성고성(石城古城)

⑥ 안도현(安圖縣)

앙검산성(仰臉山城), 
보마성(報馬城, 보마성/寶馬城)

⑦ 무송현(撫松縣)

신안고성(新安古城)

⑧ 혼강시(渾江市)

임강진성지(臨江鎭城址)

⑨ 화전현(樺甸縣)

소밀성(蘇密城), 
북토성자(北土城子)

⑩ 동풍현(東豊縣)

북산성자(北山城子, 산성진산성/山城鎭山城)

⑪ 영길현(永吉縣)

대상둔고성(大常屯古城)

⑫ 길림시(吉林市)

남성자고성(南城子古城)

⑬ 정우현(靖宇縣)

유수천고성(楡樹川古城)
 

(2) 중국 흑룡강성(黑龍江省) 지역

① 영안현(寧安縣)

동경성(東京城), 
성장랍자성(城墙磖子城), 
대목단둔성지(大牡丹屯城址), 
토성자고성(土城子古城), 
우장성지(牛場城址), 
승리촌보루(勝利村堡壘)

② 임구현(林口縣)

세린하촌성지(細鱗河村城址), 
오사혼구촌성지(烏斯渾舊村城址), 
오도하자성지(五道河子城址), 
흥농촌성지(興農村城址)

③ 동녕현(東寧縣)

대성자고성(大城子古城)

④ 목릉현(穆棱縣)

소성방산성(小四方山城)
 

(3) 북한지역

① 함경남도

북청(北靑)토성(토성리토성, 청해토성), 
평산성, 
하천산보루

② 함경북도

성상리토성, 
장연산성, 
남증산성, 
지방리산성, 
운두산성, 
인계리토성,
새덕차단성, 
지방리차단성, 
귀암대보루, 팔경대보루, 안교동보루, 강미봉보루, 장승목보루, 노루목보루, 석양대보루
 

(4) 소련 연해주 지역

크라스키노 성지(Kraskino 城址), 
남(南) Usuriysk 성지(城址) (Nikol’sk 성지/城址, 쌍성자성/雙城子城), 
테튜헤 성지(Tyetyukhe 城址), 
크루글리 성지(Krugly 城址), 
콕샤로프카 성지(Koksharovka 城址), 
추구예프카 성지(Chuguyevka 城址)
 
*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그림 1) 발해 주요 성지 분포도

이러한 성 중에는 발해 이전 즉 고구려시대부터 사용하던 것을 이어받아 사용하였던 것이 있는가 하면, 발해시대에 건설되어 사용되다가 뒤에 요, 금 등에 의하여 다시 사용되었던 것들도 있어 발해시대의 성으로 확정하기에 어려운 것들이 많다. 따라서 위의 목록에는 발해시대에 사용되었는지 불분명하여 논란이 있는 것들도 포함되어 있다. 장차 이 성들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식 발굴이 요망된다.

그런데 지표조사된 자료를 토대로위의 성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성의 종류로는 평지에 세워진 평지성이 있는가 하면 산성도 있으며 그 외에 보루, 차단성 등도 있다. 또 축조 재료상으로 보더라도 토성, 석성, 토석혼축성이 있고, 형태상으로 장방형, 방형, 부정형 등이 있다. 

이제 이렇게 많은 성 중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들을 선택하여 도성과 지방성으로 나누어 위치, 조사 경과, 구조, 특징 및 성격 등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하겠다(그림 1).
 

주석

2) 1984년에 연길현이 龍井縣으로 바뀌었으므로 과거의 연길현 소재 유적들도 여
기에 편입하였다.
嚴長錄·楊再林, 延邊地區高句麗渤海時期的紋飾板瓦初探 《博物館研究》 198―2, pp.60∼61
이해승, 《잊어버린 海蘭江》 신명출판사, 1988 p.231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