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mahan.wonkwang.ac.kr/source/Balhea/11.htm

발해국의 주민구성 : 서론 및 결론 - 한규철                        http://tadream.tistory.com/269
발해국의 주민구성 : 1. 종족계통 상에서의 발해인 - 한규철  http://tadream.tistory.com/271
발해국의 주민구성 : 2. 언어계통 상에서의 발해인 - 한규철  http://tadream.tistory.com/270 
발해국의 주민구성 : 3. 문화계통 상에서의 발해인 - 한규철  http://tadream.tistory.com/272


발해국의 주민구성 : 서론 및 결론

발해사를 보는 시각은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러시아 등이 각각 다르다. 잘 알다시피 한국은 발해사를 고구려를 계승한 독립국사로 보면서, 신라와 발해가 양립하였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라 부른다. 그러나, 중국은 발해를 '당의 지방정권'인 '渤海郡'으로 간주하고 그 건국 주체와 주민들에 대해서도 고구려유민과 다른 '말갈'이라고 한다. 이 논리는 결국 발해는 당의 지방사로서 중국사의 일부였다는 것이다. 중국학계의 이와 같은 견해는 한국학계와 대립을 보이고 있다. 한편, 발해땅의 일부에서 현대사를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에서도 발해에 대한 견해는 한국과 다르다. 즉, 발해는 고구려를 일부 계승한 면도 있지만, 대체로 고구려와 다른 계통의 靺鞨人들이 주축이 되어 건국한 독립국 靺鞨史라고 한다. 발해사는 한국사나 중국사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고, 당의 지방정권도 아닌 '독립국가'였다는 것이다.

이렇듯 중국과 러시아가 발해사를 자국사 내지 독립국사로 간주하여 그들의 역사에 기록하려는 것은 일면 타당하다. 즉, 지역사적인 측면에서 그들은 지금 과거 발해땅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지금도 발해의 후손을 자처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다르다. 즉, 민족사적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인들은 발해멸망 이후부터 계속 발해 옛 땅의 일부에서 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에도 발해 후손을 자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자면, 발해사람들이 당시 그들을 어느 나라사람이고 그들의 조상을 누구라고 생각하였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발해 주민들이 스스로를 고구려후손으로 생각하였는가 아니면 '靺鞨' 후손으로 자처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제중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말갈의 실상을 밝히는 것이다.

흔히들 발해의 주민은 지배층이 고구려유민, 피지배층이 고구려계와 다른 말갈인들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이원적 주민구성론은 우리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로서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도 그대로 실려 있다. 그런데 이 견해가 반영하고 있는 종족계통은 肅愼[先秦]→읍루[漢]→勿吉[後魏]→靺鞨[隋·唐]→女眞이라는 말갈의 단일계통설에 입각한다. 이러한 종족계통설이 그대로 문제가 없다면, 이원적 발해주민구성론은 일정하게 설득력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에 의해 발해사는 고구려유민사가 아닌 말갈사 즉, 만주사로 봄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 글에서 발해의 주민구성은 지배층과 피지배층 다수가 고구려유민이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자 한다. 발해 지배층의 고구려유민설은 白鳥庫吉이 '(발해의) 왕조 및 상류사회를 조직한 자가 고구려인'이라는 점을 주장하고부터 였다. 그의 논거는 발해에서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 ?(발해는) 옛 고구려의 땅을 다시 찾아 거하고 있다?는 기록과 ?고구려국왕 대흠무가 말하다?는 것, 그리고 일본에 보낸 85명의 발해 正使 중에서 26명이나 옛 고구려의 姓과 같은 高氏였다는 점, 그리고 당시 일본이 渤海를 高句麗[高麗]라고도 하였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이후 발해 지배층의 고구려인설은 박시형, 三上次男 등에 의해서도 수용되어 오늘날 한국학계의 통설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학계의 주장들도 대부분은 피지배층의 말갈설을 지지한다.

그러나, 중국학계의 한결같은 논조는 지배층 역시도 고구려와 다른 말갈족이었다고 한다. 이것은 {新唐書}의 '粟末靺鞨附高麗者姓大氏'라는 것에 입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과 일본이 지배층의 고구려계설을 인정하는 것과도 아주 다르다. 잘 알려진 대로 대조영 등의 고구려계설은 {舊唐書}의 '高麗別種' 기록과 앞의 白鳥庫吉 등의 논증에 힘입고 있다. 따라서 발해의 주민구성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과연 '靺鞨'이 어떻게 史書에 기록되었으며, 그들의 실상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필자는 말갈문제와 관련하여 세 편의 글을 통해 이에 대하여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靺鞨'은 唐·宋代인들이 그들의 동북방주민들을 汎稱, 卑稱하였던 종족명이었고, 고구려의 피지배주민들의 卑稱이었다. 그리고, 이 같은 자세 특히, 피지배주민들에 대한 卑稱的 자세는 {三國史記} 등도 받아들여 발해의 주민구성 문제를 혼란스럽게 하였다고 하였다. 요컨대 고구려변방의 만주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불렀던 종족명이 아닌, 고구려와 唐·宋 지배층이 일방으로 불렀던 호칭만을 가지고 이들의 종족계통이나 歷史像을 복원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즉, 한국과 중국의 전근대적 역사서술이 갖고 있던 왕조중심적이고 중국중심적이었던 시각을 극복할 때에만이 발해사의 실상을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및 중국사에서 '靺鞨'족의 존재를 고구려와 따로 구별하여 인정하는 것부터가 문제라는 것이다. 만주지역에서 스스로 왕조를 개창하여 국호를 선포하였던 조선, 부여, 고구려가 그들의 종족명에 더 가깝고, 왕조 개창에 성공하지 못하였던 흑수인들의 경우는 '黑水靺鞨' 등으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여기서 '黑水靺鞨'도 어차피 타칭이지만,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구별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동양사에서 이미 일개 종족명으로 그 시민권을 획득한 '靺鞨'을 존중한다면, '高句麗靺鞨'(속말말갈과 백산말갈 등과 같이 고구려주민이자 고구려계인 말갈)과 '黑水靺鞨'(고구려계가 아닌 말갈)로 나누어 부름이 타당하리라고 본다. 따라서 고구려, 발해사에 있어서 '靺鞨' 기록이 갖는 진실은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력 확립이 어떠했는가 하는 점 등으로 파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 말해, 고구려의 말갈지배 방식에 관한 연구가 갖는 의미는, 중앙의 지방지배 방식이라는 것에 불과할 뿐이지, 이것이 고구려인의 이민족의 말갈지배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입장이 말갈의 종족계통과 고구려와의 정치적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언어와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입증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발해어에 대한 자료가 없는 상황이기에, 발해어의 계통은 오히려, 그들의 종족계통에서 발견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발해어가 고구려어를 계승했다는 사실은 발해가 고구려와 풍속이 같았다는 {新唐書} 기록과 그들의 이름을 통해서도 짐작이 가능하다. 渤海語는 夫餘-高句麗系로써 발해는 고구려말을 주로 쓰는 국가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종족적인 측면에서 발해의 대부분은 고구려땅을 계승하였고, 흑수인의 남하가 고구려 전역을 망라하지 못했다는 사실에서도 설명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발해어의 잔재가 가장 많다고 할 수 있는 滿洲語가 흑수계의 肅愼語보다 예맥계의 夫餘-高句麗語의 잔재가 더 많을 것이며, 이 만주어는 또한 '夫餘韓語系'의 후손인 한국어와도 친연관계에 있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된다고 생각한다. 한편, 문화적인 측면 특히, {舊唐書}에서 고구려인의 주거특징이었다고 전하는 온돌장치가 발해주민의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등은 문화적으로도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였다는 증거들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발해의 이원적 주민구성론을 뒷받침하고 있는 {類聚國史}(日本, 菅原道眞 撰)의 발해백성 관련 기사의 말갈은 피지배층을 汎稱하는 것이고, 士人(土人)은 곧 발해백성 중에서 都督, 刺史 등이 될 수 있는 지배층을 밝히고 있는 것에 불과할 뿐, 이것이 곧 발해의 이원적 주민구성론을 반증하는 결정적 자료도 될 수 없다는 점도 밝히려 한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