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

동부여 [東夫餘]
 
1. 개설 및 명칭 유래

고대 부여족(夫餘族)이 두만강 유역에 세운 국가.

동부여(東夫餘)는 해부루(解夫婁)가 건국한 부여족 국가이며『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는 고구려 건국시조인 주몽(朱蒙)의 출자처로 기록되어 있다.「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에는 고구려 시조인 추모왕(鄒牟王)의 속민(屬民)이었으나 도중에 반(叛)했기에 광개토대왕의 정벌을 받는 존재로 등장한다.

『삼국사기』 등에 의하면, 동부여는 해부루가 왕조를 창업하였고 금와(金蛙)와 대소(帶素)가 뒤를 이어 재위하였다. 특히 국상(國相) 아란불(阿蘭弗)이 “천신(天神)으로부터 지시를 받았다”하여 동해가로 국가를 옮길 것을 주장하자, 이에 해부루는 천도하고 국호를 동부여라 하였다 한다.

2. 형성 및 변천

동부여의 중심지 추정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이 함경도 일대에 있었던 동예(東濊)와 같은 것으로 비정함에 따라 ‘동부여 동예설’이 유력한 설로서 인식돼왔다. 그러나 근자에는『삼국사기』에 비해 신빙성이 높은 「광개토대왕릉비」의 건국설화를 중시해 고구려 시조의 ‘북부여 출자설(北夫餘出自說)’이 힘을 얻으며 동부여 동예설이 부인되기도 한다. 비문이 전하는 북부여 출자설은 고구려 중기까지도 고구려 왕실의 공식적인 건국설화였던 만큼 신빙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삼국사기』초기기사 등이 전하는 동부여의 실체는 후대 전승과정에서의 착오이거나,「광개토대왕릉비」보다는 후대에 어떤 사유로 생성된 설화가 고구려 후기에 있었던『신집(新集)』의 편찬과정에 삽입되면서 오는 혼란이 아닌가 하는 추론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건국세력 출자설화의 변화는 6세기 후반 이래 왕권을 억압하며 등장한 귀족연립정권(貴族聯立政權)의 성립, 즉 연개소문(淵蓋蘇文) 집안의 정권 장악과 관련해 나타난 것이 아닐까 하는 추정이 가해졌다. 그러나 계루부(桂婁部) 왕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국설화의 변화와 같은 조치가 있을 수 있었는지는 숙고해 보아야 한다.
그런데「광개토대왕릉비」를 통해서 적어도 5세기 초에 실재하는 동부여가 확인된다. 이때의 동부여는『삼국지(三國志)』동이전(東夷傳)에 보이는 북옥저(北沃沮) 지역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대체로 두만강 유역에 해당된다. 이것은『삼국지』관구검전(毌丘儉傳)에서 동천왕(東川王)이 위(魏)에게 쫓겨 피난했던 매구루(買溝婁)가 동옥저전(東沃沮傳)에서는 치구루(置溝婁)로 표기되었고, 이것이 바로 두만강 유역의 책성(柵城)이며「광개토대왕릉비」에서 전하는 동부여의 미구루(味仇婁)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3세기경 동부여는 두만강 유역에 있었다고 본다.

또한 3세기 전반까지 부여국은 지금의 길림시(吉林市)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하다가 3세기 말 모용외(慕容廆)의 침공을 받아 지배층을 위시한 주민 다수가 두만강 하류 북옥저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들은 이듬해 다시 길림 지역을 회복해 귀환했는데, 일부가 남아 북옥저 지역에 계속 살았다. 이에 당시 고구려인들은 수도인 길림지역에 사는 이들을 북부여라고 하고, 북옥저 지역에 살던 이들을 동부여로 불렀을 것이라 한다. 4세기 전반 고구려가 북부여 지역을 장악하자, 본국과 차단된 동부여는 자립했다가 410년에 광개토대왕에 의해 병합되고 이에 동부여라는 명칭도 사라졌다고 본다.

그러나 두만강 하류 북옥저 지역에는 동부여의 것이라고 할 만한 유물·유적이 보이지 않고 있어 국가를 이룬 별도의 정치세력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삼국사기』기사에 의하면 두만강 유역은 태조왕 이전부터 고구려의 지배 하에 있었다고 생각되어 문헌사료로도 그를 충분히 입증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오히려 송눈평원 일대의 원부여(북부여)에서 동쪽으로 진출하고 있던 일부 부여족에 대한 명칭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길림 일대를 중심으로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를 조영하면서 발전하던 예맥(濊貊)의 한 지파가 송눈평원 일대로 이주해 와 새로이 성장하게 되자 이를 동부여라고 불렀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지(三國志)』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上)
「부여사(扶餘史) 연구의 쟁점과 자료 해석」(송기호,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35, 2005)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기원과 그 성장과정」(송호정,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부여의 성장과 대외관계」(송호정, 『한국사』4, 국사편찬위원회, 1997)
「주몽(朱蒙)의 출자전승(出自傳承)과 계루부(桂婁部)의 기원(起源)」(노태돈, 『한국고대사논총(韓國古代史論叢)』5, 1993)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의 동부여(東夫餘)에 대한 고찰(考察)」(공석구,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70, 1990)
「부여국(扶餘國)의 경역(境域)과 그 변천(變遷)」(노태돈, 『국사관논총(國史館論叢)』4, 1989)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이병도, 박영사(博英社), 1976)
「고구려(高句麗)의 성장(成長)과 철(鐵)」(이용범, 『백산학보(白山學報)』1, 1966)


부여 관련글
갈사국 - 위키,위키아,북부여기  http://tadream.tistory.com/626
부여 [夫餘] - 민족문화대백과 http://tadream.tistory.com/5445
부여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5449
부여夫餘 : 잃어버린 고대사 2 - 고리아이  http://tadream.tistory.com/5447 
동부여 [東夫餘] - 민족문화대백과  http://tadream.tistory.com/5446
동부여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5451
두막루 (豆莫婁)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5448
고구려와 부여 누가 더 강했을까? - 오마이뉴스  http://tadream.tistory.com/545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