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556/3/all/20040510/8060129/1

[고구려를 다시 보자] 고구려사 쟁점들…(6)연개소문
기사입력 2004-05-10 19:03:00 기사수정 2009-10-09 23:01:50


연개소문이 647년 당태종의 고구려 침략에 맞서 직접 농성전을 벌였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중국 랴오닝성의 성산산성 서쪽 문에서 바라본 풍경. 연개소문은 이곳에 서서 밀려오는 당나라군을 바라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사진제공 서길수 서경대 교수

고구려는 4세기 중엽 선비족(鮮卑族) 모용씨(慕容氏)의 침략에 시달리다가 뒤이은 백제의 공격에 고국원왕이 전사하는 위기(371년)를 맞았다. 그러나 곧이어 소수림왕대의 체제 재정비를 통해 발전의 기초를 다지고 광개토대왕과 장수왕대의 번영을 이루었는데 영토와 주민이 전에 비해 3배에 이르렀다고 한다.

○ 평양 천도후 번영은 분열을 잉태하고…

고구려는 평양으로 천도(427년)한 이후 한 세기 이상의 평화와 번영을 누렸다. 중국의 북위(北魏)와 남조(南朝)국가, 그리고 초원지대의 유목제국 유연(柔然)과 더불어 동북아 4강 체제의 한 지주로서 국력을 과시했다. 그런데 평화의 지속은 지배세력의 분열을 가져와 귀족간의 갈등이 심해졌다. 545년에 평원왕이 사망하고 정비(正妃)가 낳은 왕자가 없자 둘째부인과 셋째부인 사이에서 낳은 왕자를 서로 옹립하려던 외척 세력간에 전투가 벌어져 2000여명이 전사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동북아의 긴 평화는, 북위의 분열과 특히 유연을 멸망시킨 강자 돌궐이 등장해 중국 및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깨졌다. 서북 국경에서 돌궐의 강력한 공격을 받은 고구려는 군대의 주력을 그곳으로 돌리면서 한강 유역의 군사력이 약화되었는데 이 틈을 타서 백제와 신라가 한강유역을 차지하게 됐다.

이러한 외적의 침략을 맞은 고구려의 귀족들은 내분을 그치고 공존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마련했다. 이때 고구려의 신하 중 가장 높은 지위는 대대로(大對盧)라는 벼슬이었다. 중국의 ‘주서’나 ‘당서’에 의하면 대대로의 임기는 3년이었고 교대로 취임했는데 만약 이를 거부하고 계속하려는 자가 있으면 병력을 이끌고 싸워서 이겨야 했다고 한다. 이때 국왕은 대대로를 임명하지 못하고 저들이 싸울 때 궁성 문을 닫고 가만히 있었을 뿐이라고 했다. 이는 대대로를 귀족들이 돌아가며 하되 세력이 더 큰 자는 그 직을 장기 독점할 여지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국왕이 대대로를 임명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아 귀족들의 권력이 왕권을 능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정치체제를 흔히 귀족연립정권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대대로職 독점 연개소문家 견제받아

연개소문의 조부인 자유(子遊)와 부친인 태조(太祚)는 고구려 5부(部) 중 동부(혹은 서부)의 우두머리로 고위귀족에 속했다. 특히 태조는 귀족연립정권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대대로를 지냈다. 그런데 그가 죽은 후 귀족들은 연개소문이 부친의 뒤를 잇는 것을 반대했다. 귀족들은 대대로직을 오래 독점해 온 연개소문 가(家)를 견제하면서 본래대로 유력 귀족들이 번갈아 가며 대대로가 되는 체제로 돌리려 했던 듯하다. 연개소문은 머리를 조아리며 만일 자신이 잘못할 경우 파면해도 좋다는 약속을 하고서야 겨우 취임할 수 있었다. 연개소문은 또한 11년 전부터 국가적으로 추진해 온 천리장성을 쌓는 일의 책임자로 임명됐는데 이 자리는 중책이면서도 수도를 자주 비워야 하는 힘든 직이었다. 영류왕과 귀족들은 연개소문을 살해할 것을 모의했다고 하는데 그를 장성 수축의 책임자로 삼은 데서도 그 같은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자신을 살해하기로 한 사실을 안 연개소문은 영류왕 25년(642) 10월 잔치를 베풀어 귀족들을 초대해 100여명을 죽이고 다시 궁궐로 가 왕을 살해한 뒤 왕의 조카를 새 왕(보장왕)으로 세웠다.

○ 부친 親唐정책 주역… 장자도 唐투항

642년 연개소문의 정변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다소 의견이 엇갈렸다.

연개소문이 당 태종의 침략을 물리쳤고 당과 우호관계를 모색했던 영류왕과 고구려 조정을 친당(親唐)적이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정변을 사대파를 제거한 자주파의 쾌거로 보는 시각이 있었다.

그런데 영류왕대의 외교정책 결정에는 연개소문의 부친이 대대로 혹은 고위귀족으로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다. 또한 영류왕대 당과의 화해책은 당이 적대적 자세를 보이자 곧 천리장성 수축으로 나아간 점으로 미루어 보아도 친당적이라기보다 국가 안위를 위한 자구책이며 적극적 외교책이었다. 더구나 연개소문은 당 태종의 침략을 막기 위해 당의 침략 직전인 644년 50인의 관리를 당에 보내 태종을 섬기고자 했고 많은 양의 백금을 보내기도 했다.

그가 자주적이며 영웅적 기풍을 지닌 것은 분명하지만 그의 가문이나 그를 근본적 자주파라고 보기에는 설득력이 약하다. 더구나 연개소문의 사후 장자 남생이 동생들의 배반에 곧 당에 투항해 당군의 고구려 침략의 길잡이가 된 사실을 보면 연개소문 가문의 자주성을 특별하게 평가할 수는 없을 듯하다. 결국 642년 연개소문의 정변은 자신과 자신의 집안이 갖고 있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지극히 방어적 쿠데타의 성격이 강해 보인다.


김기흥 교수 건국대·한국고대사

○ 연개소문-唐태종-김춘추-의자왕 ‘영웅시대’

연개소문이 정권을 장악한 642년은 동아시아에서 대격변의 풍랑이 막 일기 시작한 시기였다. 당 태종은 국내의 급한 문제들을 대강 해결하고 주위의 오랑캐 세력을 굴복시킨 후 정관(貞觀)의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그는, 수(隋)나라를 멸망케 한 뒤 당에 굴복하지 않아 중국의 자부심에 상처를 준 고구려에 대해 정벌의 칼을 갈고 있었다. 백제에서는 바로 1년 전 야심만만한 의자왕이 왕위에 올라 신라의 40여개 성을 정복하고 최강의 방어기지인 대야성마저 빼앗으며 신라를 향해 위세를 드높이고 있었다. 신라의 선덕여왕은 국가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걸출한 외교가 김춘추를 고구려와 당으로 급파해 도움의 손길을 애타게 구했다. 바로 이때 대당 강경책을 이끄는 연개소문이 고구려에서 집권하게 되었으니 실로 이 시기는 동아시아 영웅들이 동반 등장한 흥미롭고 의미심장한 시점이었다.

결국 연개소문과 의자왕, 그리고 김춘추와 당 태종이 각각 연합해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 및 신라통일의 대역사를 낳았다.

연개소문은 반발하는 상당수 국내 귀족의 존립을 인정해 주고, 왕실의 일원을 왕으로 세움으로써 자신의 권력기반을 확대 개편한다. 그러나 자신의 국왕 시해를 문제 삼는 당 태종과의 외교적 대립을 해결하지 못하고, 국내적으로도 권력을 세습 강화하는 등 개혁정책과는 거리가 먼 행보를 보였다. 이는 기득권 세력으로서의 한계였다. 비록 사후의 일이지만 고구려 멸망에서 그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연개소문 관련글
연개소문 관련글 목록 http://tadream.tistory.com/785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