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40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50800080001


서옥제 


서옥[婿屋]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40

고구려시대 딸이 시집으로 옮겨갈 때까지 사위가 머무는 집.

서옥이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서이다.

동이전의 고구려조에 “처음 말로써 혼인을 정하고 다음에 여자의 집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지어 서옥이라 부르며, 저녁에 사위가 여자집에 와서 문밖에서 자기의 이름을 알리고 무릎 꿇고 절하면서 여자와 같이 잘 것을 세 번 원하면 여자의 부모는 이것을 듣고 소옥에서 같이 잘 것을 허가한다. 남자는 다음날 떠날 때 전백(錢帛)을 놓고 간다. 여자는 자녀를 낳고 자녀가 성장해야 비로소 남자의 집에 살러 간다.”라고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고구려의 서옥제라 하며 이에 관해 여러 가지 해석이 있는데, 장승두(張承斗)는 이를 데릴사위제도로 보았으며, 손진태(孫晉泰)는 봉사혼(奉仕婚)으로 보았다. 그러나 고구려의 서옥제가 여자집에 세워진 서옥에 남자가 와서 자고 가며, 여자가 자녀를 낳아 자녀가 성장한 뒤 남자의 집에 살러 가기 때문에 데릴사위제는 아닌 게 분명하다.

또한, 봉사혼이란 남자가 여자집에서 일정기간 머무르면서 노력봉사하는 것이지만, 고구려의 서옥제는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고구려의 서옥은 최근까지 구식 혼인식에서 볼 수 있었던 해묵이풍속의 원형이라 생각된다.

해묵이란 혼인식을 올린 여자가 자기 집에 머물러 있고 남자가 몇 번이고 재행(再行)걸음을 한 뒤 해를 지나 별도로 날을 잡아 남자집에 살러 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고구려의 서옥과 가장 유사한 혼인풍속이 해묵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가족(韓國家族)의 구조분석(構造分析)』(이광규, 일지사, 1975)
『조선민족문화(朝鮮民族文化)의 연구(硏究)』(손진태, 을유문화사, 1948)
「조선원시제종족(朝鮮原始諸種族)의 혼인(婚姻)」(장승두, 『조선』281·282, 1938)




고구려의 서류부가 - 문화콘텐츠닷컴 
출처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50800080001

고구려의 혼인풍속 가운데 독특한 것은 서류부가(婿留婦家)의 혼속이다. 고구려에서는 혼인을 정하면 여자의 집에서 큰 집 뒤에 서옥(婿屋)이라는 작은집을 지어 사위가 우선 처가에 머물러 살았으며, 사위가 처가에 산다는 뜻에서 ‘서류부가의 혼속’이라 하였다. 따라서 혼인한 여자가 낯선 시댁으로 즉시 가지 않고 익숙한 친가에서 아기의 출생기와 육아기를 거쳤으므로 여자의 한 생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친가에서 생활하였고, 남자도 처가에서 오랜 기간을 함께 생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인(丈人)의 집으로 간다는 뜻의 ‘장가(丈家)든다’, ‘장가(丈家)간다’는 말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고구려 혼속 가운데 폐백과 잔치음식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삼국지 위지 동이전(三國志 魏志 東夷傳)'고구려 편에는 “혼인 풍속은 혼인의 연을 맺은 사위가 여자 집 뒤에 서옥이라는 작은 집을 짓고 여자의 집 문 밖에서 꿇어 여자를 부인으로 맞이할 것을 청한다. 이렇게 세 번 청하면 여자의 부모는 그 청을 들어 서옥에 거하는 것을 허락한다. 신랑은 조아려 돈과 비단을 내 놓는다. 아기가 태어나 자라면 남지는 부인과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다. 基俗作婚姻, 言語已定, 女家作小屋於大屋后, 名婿屋, 壻暮室女家戶外, 自名 婿拜, 乞得就女宿, 如是者再三, 女父母 乃聽使就小屋中宿, 傍頓錢帛, 至生子已長大, 乃將婦歸家”는 기록이 있고, '수서(隋書)'에는 “고구려의 서옥에서 남녀가 서로 상열(相悅)한 다음, 남자의 집에 돼지와 술을 보낸다. 이 외의 재물을 받으면 수치로 안다” 고 하였다. 

위의 기록에서 혼례를 위한 폐백이나 의례음식의 성격은 부부결연 징표의 의미, 남자 집안과 여자집안의 집단결연의 의미, 양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남자 집에서 여자 집으로 돼지와 술을 보내는 것은 집단결연의 징표이며, 동시에 사위가 처가로 합체하는데 대한 통과의례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부부결연을 공인받기 위한 잔치 음식을 남자 집에서 여자 집으로 보냈다는 사실은 혼인이 서류 부가의 관행이면서도 가족의 형태가 부계우위(父系優位)였음을 뜻한다. 즉, 생활은 당분가 처가에서 하지만 결혼을 하면 가족체계로서는 부가의 일원이 된다는 것에 감사의 뜻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부(婦)의 생산력에 대한 원시종교적인 존중의 의미도 생각할 수 있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