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192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중국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용수향(龍水鄕) 용해촌(龍海村) 서쪽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발해정효공주의 무덤.
정효공주(貞孝公主)는 제3대 문왕(文王)의 넷째 딸로서, 757년에 태어나 792년 6월에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 무덤은 1980년과 1981년 두 차례 발굴되었다. 무덤 방향은 남북향이고, 남북 길이 약 15m, 동서 너비 약 7m이다. 벽돌과 판석으로 쌓았으며, 묘도(墓道)·묘문(墓門)·널길〔羨道〕·널방〔墓室〕·탑〔塔〕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묘도는 남쪽에 계단식으로 두 번에 걸쳐 만들었다. 묘문은 벽돌로 쌓아 막았고, 그 뒤에 널길이 있다. 중간에는 판석과 나무로 만든 이중의 문이, 문 뒤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었다.
널방 바닥은 지표에서 약 3.4m 되는 깊이에 있었다. 이는 남북 3.1m, 동서 2.1m이고, 4벽의 높이는 1.4∼1.66m 사이로 일정하지 않다. 널방 가운데에는 남북 2.4m, 동서 1.45m, 높이 약 0.4m의 벽돌로 쌓은 관대(棺臺)가 있었다.
관대의 남쪽 측면에서 사자머리 같은 그림이 확인되었다. 무덤에서 남녀 각 1인의 인골(人骨)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곳에 공주와 남편의 관이 각각 올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벽은 벽돌로 쌓았고, 그 위에 벽돌과 장대석을 쌓아 계단식으로 공간을 줄여나갔다. 그 뒤에 몇 개의 판석을 동서 방향으로 덮은 말각조정 천장을 만들었다. 따라서 벽돌로 무덤 벽을 쌓는 당나라 양식과 돌로 공간을 줄여 나가면서 천장을 쌓는 고구려 양식이 결합되어 있다.
탑은 이미 무너져 기초만 남아 있다. 기초 부분은 널방과 널길 위에 방형에 가깝게 축조했고, 그 안에 있는 방형의 빈 공간에는 점토와 자갈로 채워져 있었다. 제일 아래쪽의 기초 부분은 남북 5.65m, 동서 5.5m이고, 내부 공간은 남북 2.7m, 동서 2.6m이다.
그 위에 점토와 자갈로 쌓은 층이 있고, 다시 탑의 기초를 쌓았다. 두 번째 탑의 기초 부분은 남북 6.8m, 동서 6.7m이고, 내부 공간은 남북 2.8m, 동서 2.7m이다. 이렇게 무덤 위에 탑을 쌓는 방식은 발해 무덤에서만 보인다.
이 무덤은 일찍이 도굴되어 유물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았다. 그러나 발굴 과정에서 벽화와 묘비(墓碑)를 비롯해 도용(陶俑) 조각, 도금한 구리 장식품과 구리못, 쇠못, 칠기 조각, 글씨가 새겨진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벽화와 묘비이다. 널길의 동·서벽과 널방의 동·서, 북벽에 그려진 12명의 인물도(人物圖)는 처음으로 발해인(渤海人)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무사(武士)·시위(侍衛)·내시(內侍)·악사(樂師)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평소에 공주를 시중들던 사람들을 담고 있다. 그러나 공주의 모습은 그려져 있지 않다. 인물들은 대체로 뺨이 둥글고 얼굴이 통통해 당나라 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묘비(墓碑)는 1980년 발굴시에 완전한 모습으로 발견되어, 연변조선족자치주박물관(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무덤 앞에는 무덤을 관리하던 건물터가 남아 있고, 산 아래에는 능사(陵寺)로 보이는 절터도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비문은 앞면에만 모두 18행 728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 중 719자가 판독 가능하다. 비문에서는 『상서(尙書)』·『춘추(春秋)』·『좌전(左傳)』·『시경(詩經)』·『역경(易經)』·『예기(禮記)』·『맹자(孟子)』·『논어(論語)』등과 같은 다양한 중국의 유교 경전과 역사서들을 두루 인용하고 있으며, 변려체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발해 국왕과 공주의 덕을 칭송하는 구절들에 다양한 유교적인 수사를 사용하고 있어 문왕(文王) 이후 발해사회에 유학(儒學)이 널리 보급·확산되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유학의 보급 및 확산은 정효(貞孝)라는 공주명을 비롯해 발해왕들의 이름이나 현재까지 사료상에 전하는 귀족들의 이름에 유교적 덕목인 충(忠)·인(仁)·의(義)·신(信)·효(孝) 등이 포함되어 있음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효공주묘지에 반영된 유가사상 연구」(방학봉, 『한국학연구』2,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0)
「발해의 역사(歷史)와 사상(思想)」(송기호, 『전통(傳統)과 사상(思想)』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韓國精神文化硏究院 人文硏究室), 1988)
『연변문화유물약편』(연변박물관 집필소조, 연변인민출판사, 1989)
「渤海貞孝公主墓發掘淸理簡報」(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 『社會科學戰線』1982年 1期, 1982)
『淺談渤海貞孝公主墓壁畵』(池升元, 延邊文物資料彙編, 1983)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중국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용수향(龍水鄕) 용해촌(龍海村) 서쪽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발해정효공주의 무덤.
정효공주(貞孝公主)는 제3대 문왕(文王)의 넷째 딸로서, 757년에 태어나 792년 6월에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 무덤은 1980년과 1981년 두 차례 발굴되었다. 무덤 방향은 남북향이고, 남북 길이 약 15m, 동서 너비 약 7m이다. 벽돌과 판석으로 쌓았으며, 묘도(墓道)·묘문(墓門)·널길〔羨道〕·널방〔墓室〕·탑〔塔〕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묘도는 남쪽에 계단식으로 두 번에 걸쳐 만들었다. 묘문은 벽돌로 쌓아 막았고, 그 뒤에 널길이 있다. 중간에는 판석과 나무로 만든 이중의 문이, 문 뒤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었다.
널방 바닥은 지표에서 약 3.4m 되는 깊이에 있었다. 이는 남북 3.1m, 동서 2.1m이고, 4벽의 높이는 1.4∼1.66m 사이로 일정하지 않다. 널방 가운데에는 남북 2.4m, 동서 1.45m, 높이 약 0.4m의 벽돌로 쌓은 관대(棺臺)가 있었다.
관대의 남쪽 측면에서 사자머리 같은 그림이 확인되었다. 무덤에서 남녀 각 1인의 인골(人骨)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곳에 공주와 남편의 관이 각각 올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벽은 벽돌로 쌓았고, 그 위에 벽돌과 장대석을 쌓아 계단식으로 공간을 줄여나갔다. 그 뒤에 몇 개의 판석을 동서 방향으로 덮은 말각조정 천장을 만들었다. 따라서 벽돌로 무덤 벽을 쌓는 당나라 양식과 돌로 공간을 줄여 나가면서 천장을 쌓는 고구려 양식이 결합되어 있다.
탑은 이미 무너져 기초만 남아 있다. 기초 부분은 널방과 널길 위에 방형에 가깝게 축조했고, 그 안에 있는 방형의 빈 공간에는 점토와 자갈로 채워져 있었다. 제일 아래쪽의 기초 부분은 남북 5.65m, 동서 5.5m이고, 내부 공간은 남북 2.7m, 동서 2.6m이다.
그 위에 점토와 자갈로 쌓은 층이 있고, 다시 탑의 기초를 쌓았다. 두 번째 탑의 기초 부분은 남북 6.8m, 동서 6.7m이고, 내부 공간은 남북 2.8m, 동서 2.7m이다. 이렇게 무덤 위에 탑을 쌓는 방식은 발해 무덤에서만 보인다.
이 무덤은 일찍이 도굴되어 유물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았다. 그러나 발굴 과정에서 벽화와 묘비(墓碑)를 비롯해 도용(陶俑) 조각, 도금한 구리 장식품과 구리못, 쇠못, 칠기 조각, 글씨가 새겨진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벽화와 묘비이다. 널길의 동·서벽과 널방의 동·서, 북벽에 그려진 12명의 인물도(人物圖)는 처음으로 발해인(渤海人)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무사(武士)·시위(侍衛)·내시(內侍)·악사(樂師)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평소에 공주를 시중들던 사람들을 담고 있다. 그러나 공주의 모습은 그려져 있지 않다. 인물들은 대체로 뺨이 둥글고 얼굴이 통통해 당나라 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묘비(墓碑)는 1980년 발굴시에 완전한 모습으로 발견되어, 연변조선족자치주박물관(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무덤 앞에는 무덤을 관리하던 건물터가 남아 있고, 산 아래에는 능사(陵寺)로 보이는 절터도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비문은 앞면에만 모두 18행 728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 중 719자가 판독 가능하다. 비문에서는 『상서(尙書)』·『춘추(春秋)』·『좌전(左傳)』·『시경(詩經)』·『역경(易經)』·『예기(禮記)』·『맹자(孟子)』·『논어(論語)』등과 같은 다양한 중국의 유교 경전과 역사서들을 두루 인용하고 있으며, 변려체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발해 국왕과 공주의 덕을 칭송하는 구절들에 다양한 유교적인 수사를 사용하고 있어 문왕(文王) 이후 발해사회에 유학(儒學)이 널리 보급·확산되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유학의 보급 및 확산은 정효(貞孝)라는 공주명을 비롯해 발해왕들의 이름이나 현재까지 사료상에 전하는 귀족들의 이름에 유교적 덕목인 충(忠)·인(仁)·의(義)·신(信)·효(孝) 등이 포함되어 있음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효공주묘지에 반영된 유가사상 연구」(방학봉, 『한국학연구』2,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0)
「발해의 역사(歷史)와 사상(思想)」(송기호, 『전통(傳統)과 사상(思想)』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韓國精神文化硏究院 人文硏究室), 1988)
『연변문화유물약편』(연변박물관 집필소조, 연변인민출판사, 1989)
「渤海貞孝公主墓發掘淸理簡報」(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 『社會科學戰線』1982年 1期, 1982)
『淺談渤海貞孝公主墓壁畵』(池升元, 延邊文物資料彙編, 1983)
'발해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혜공주 묘지 - 우리역사넷 (0) | 2019.12.29 |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고구려 고분과 아라가야 왕릉의 남두육성…그 깊은 뜻은? - 경향 (0) | 2019.12.20 |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 동북아역사넷 (0) | 2017.09.27 |
2. 발해 이불병좌상 - 법보신문 (0) | 2017.09.27 |
정혜공주묘(貞惠公主墓) - 동북아역사넷 (0) | 2017.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