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80528205407863?s=tv_news
'보안·이동' 편리..대화 최전선으로 거듭난 판문점
김용태 기자 입력 2018.05.28 20:54 수정 2018.05.28 21:48
<앵커>
지난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한과 미국의 만남까지 이뤄진 판문점은 이제 대결의 최전선이 아니라 대화의 최전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분단 지점에서 대화를 한다는 상징성에 비밀리에 만날 수 있다는 보안성, 또 여기에 이동이 간편하다는 편리함까지 두루 갖췄기 때문입니다.
김용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27일 남북 정상은 판문점에서 처음 두 손을 맞잡았습니다.
불과 29일 뒤 문재인 대통령은 다시 판문점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고 바로 다음 날에는 미국 측 성김 대사와 북한 측 최선희 부상이 같은 곳에서 마주 앉았습니다.
대결의 최전선이던 판문점은 이렇게 대화의 최전선으로 거듭났습니다.
분단 시작점에서 만나고 대화하는 것 자체가 큰 상징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서울에서는 1시간여, 평양에서도 3시간이면 다다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지난달 27일) : 평양냉면을 가져왔습니다. 가져왔는데. 멀리서 온, 멀다고 하면 안 되겠구나.]
또 일반인 접근이 원천 차단돼 보안 걱정도 없습니다.
비밀리에 만나기에도 최적지라는 점에서 북미 역시 판문점을 접촉 장소로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더 나아가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수시 회담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판문점 남측 북측을) 번갈아 오가며 실무적인 회담을 수시로 할 수 있다면 남북관계의 빠른 발전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유사시 대통령 직무대행이나 군 통수권 등 공백을 막을 사전준비 등 수시 정상 회담에 대비한 시스템 마련도 지시했습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오영택)
김용태 기자tai@sbs.co.kr
'시사 > 통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팩트체크] 남북 2차회담 2시간 동안 '군 통수권' 방치됐다? - JTBC (0) | 2018.05.30 |
---|---|
중 "우린 단역배우 아니다" 역할론..'차이나 패싱' 경계 - JTBC (0) | 2018.05.30 |
장사꾼식 거래의 기술…트럼프가 얻은 것과 잃은 것 - 한겨레 (0) | 2018.05.30 |
남북정상, '통일각'에서 '종전선언' 논의했다 - 노컷 (0) | 2018.05.28 |
외신들 "문 대통령, 중재 또 돋보여..그물에 낀 공 빼냈다" - 뉴시스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