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80531202222684?s=tv_news#none
[단독] 하베스트 인수 "청와대 보고 뒤 결정 지침 전달"
고은상 입력 2018.05.31 20:22 수정 2018.05.31 21:09
[뉴스데스크] ◀ 앵커 ▶
다음 소식입니다.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해외자원 개발 실패 사례로 꼽히죠.
캐나다 하베스트사 인수, 무려 4조 원이 넘는 손실을 보고 있는데요.
당시 청와대, 총리실, 산자부 등 정부 기관은 한국석유공사가 알아서 사들였고 정부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말해 왔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하베스트사 구입을 결정하고 이를 석유공사에 지시했다는 증거를 MBC가 단독으로 입수했습니다.
고은상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이명박 정부 당시인 지난 2009년 한국석유공사가 4조 5천 억 원을 들여 샀다가 4조 원의 누적 적자를 보고 있는 캐나다 하베스트 사.
석유공사의 감독 기관인 당시 지식경제부, 특히 최경환 전 장관은, 하베스트사 인수에 정부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고 일관되게 강조해 왔습니다.
[최경환/전 지식경제부 장관 (2014년 11월 4일 국회본회의 대정부 질의)] "장관의 산하 공기업 관리·감독권은 구체적인 사업에 대해서 하라 마라 하는 것은, 그것은 월권이고요. 그렇게 하면 직권남용이 됩니다."
그러나 MBC가 단독 입수한 산업통상자원부의 내부 보고서의 내용은 정반대입니다.
하베스트 인수는 "우리 측 그러니까 산업자원부를 포함한 정부가 청와대 등에 보고한 뒤 인수를 결정해 석유공사에 지침을 전달했다"고 적시했습니다.
또한, 해외 기업 인수합병 동향과 세부적인 협상 내용, 결과는 청와대에 지속적으로 보고했다고 돼 있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사실을 알아야 할 석유공사 이사회에는 보안을 유지하고 구두로 설명하는 데 그치는 등 비상식적으로 일 처리를 한 과정까지 스스로 털어놓고 있습니다.
결국, 하베스트 인수와 관련해 아주 세세한 사항까지 이명박 대통령의 청와대에 보고되고 있었고, 인수 결정은 석유공사가 아닌 청와대나 총리실, 산업자원부 등 정부 최고위층에서 결정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은 지난 9년 동안 완전히 은폐됐습니다.
MBC가 단독입수한 이 문서에서 청와대 등 정권 핵심이 해외자원 개발에 직접 개입한 사실이 처음 확인됨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과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 등 정권 실세의 연루 의혹을 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자부는 하베스트를 포함한 해외자원 개발 사례 3건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고, 검찰은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에 사건을 배당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MBC뉴스 고은상입니다.
고은상 기자 (gotostorm@mbc.co.kr)
'시사 > 이명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 시절 자원개발 담당 강남훈 에너지공단 이사장 돌연 면직 - 연합 (0) | 2018.06.01 |
---|---|
'MB 자원외교' 다시 파는 검찰..MB·이상득 개입여부 규명 주목 - 뉴스1 (0) | 2018.06.01 |
[단독] 내부에서도 문제제기 있었지만 '네 탓'하다 묵살 - MBC (0) | 2018.05.30 |
[단독] 8년간 부풀려진 수출 통계..의도는? - MBC (0) | 2018.05.30 |
[단독] 국가통계 오류..수출 8년간 '176조' 부풀렸다 - MBC (0) | 201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