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718194913455?s=tv_news
[단독] 日 대체품 찾았다.."국산 불화수소 시험생산 눈앞"
황의준 입력 2019.07.18 19:49 수정 2019.07.18 19:57
[뉴스데스크] ◀ 앵커 ▶
국내 반도체, 전자 기업들이 하나 둘 대체 소재를 찾아서 '탈 일본화'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대기업들 가운데 처음으로 LG 디스플레이가 일본산 불화수소 대신 국내 기업 제품으로 테스트를 마치고 시험 생산을 앞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황의준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소니 등 일본기업의 텔레비전에도 들어가는 화면 부품을 만드는 LG디스플레이.
이 회사는 일본의 3가지 수출 규제 품목 중 '폴리이미드'와 '불화수소' 두 가지를 사용합니다.
폴리이미드는 중국산을 써와 큰 영향이 없지만, 불화수소는 일본 스텔라사의 고순도 제품으로 이번 수출규제의 대상입니다.
LG는 내부 논의 끝에 이 소재를 국산으로 바꾸기로 하고 교체 공정이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 한 업체가 만든 고순도 불화수소로 최종 실험중인데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다음달부터 곧바로 시험 생산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이미 애플과 화웨이 등 주요 고객사에도 이 사실을 알리고 제품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공지한 상태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일본에서 들여오는 소재와 부품 가운데 약 1조원 어치가 수출 규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대체재 찾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국내 기업 제품을 포함해 중국과 대만에서 생산한 불화수소를 테스트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폴더블폰의 재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는 화면을 보호하는 투명 필름인 폴리이미드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SKC를 비롯한 국내 업체들과도 접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99.9999% 이상의 초고순도 소재가 필요한데다, 일정기간 테스트도 필요합니다.
[박재근/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 학회장] "아무래도 품질 평가를 해봐야 하는 거죠. 반도체는 상대적으로 공정시간이 길기 때문에 신뢰성까지 봐야 되기 때문에 2~3개월 이상이 소요가 되고요."
삼성전자는 이와함께, 일본의 수출규제 확대에 대비해 기존 세 가지 규제 품목 외에 다른 일본산 소재와 부품도 90일치 이상 미리 확보해달라고 국내 협력사들에게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MBC뉴스 황의준입니다.
(영상편집 : 배윤섭)
황의준 기자 (hej@mbc.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란드 홀로코스트센터 "'욱일기=전범기' 홍보 반크에 감사" - 연합 (0) | 2019.07.19 |
---|---|
막가는 日 방송.."韓 내놓을 건 문재인 탄핵뿐" - MBC (0) | 2019.07.19 |
日 외상 작년 11월까지도.."개인 청구권 살아있어" - MBC (0) | 2019.07.19 |
“아베 측근들, 외무성 따돌리고 ‘보복’ 주도… 일 지식층도 비판” - 한겨레 (0) | 2019.07.19 |
언론노조 "<조선일보>, 한국 언론이기 포기했나" - 프레시안 (0) | 201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