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725213426492?s=tv_news


한국전의 참혹한 목격자..전쟁포로 교환 당시 영상도

정해성 입력 2019.07.25 21:34 수정 2019.07.25 23:00 


[앵커]


정전협정 과정에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던 건 포로교환 협상이었습니다. 저희가 입수한 영상 속에서도 당시 참혹했던 포로들의 모습들이 많이 담겨 있습니다.


상처밖에 남지 않는 전쟁의 실체, 정해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제가 지금 나와 있는 이곳, 거제시 수월동은 6.25전쟁 당시 다친 포로들을 치료한 64야전병원이 있던 곳입니다.


지금은 논으로 바뀌어 그 흔적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입수한 영상 속에는 66년 전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


비닐하우스처럼 생긴 막사가 빼곡하게 들어서 있습니다.


막사엔 전쟁 포로를 뜻하는 약자인 'PW'가 새겨져 있습니다.


전쟁으로 부상을 입은 포로들이 머물렀던 수용소입니다.


내부 현실은 영상보다 더 열악했습니다.


[이재철/당시 반공포로 : 포로 병원에 있을 때 밥이 적지. 더 배가 고픈 거야. 물을 넣어가지고서 죽을 만들어 먹었어.]


부상 포로들을 치료할 인력도, 시설도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이재철/당시 반공포로 : 난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빨리 낫는 거야. 그런데 다른 사람들은 거의 다 그냥 (다리를) 잘랐어. 추우니까 동상 걸려서…]


정전협상이 늘어지던 53년 4월.


포로들이 수용소에서 건강검진을 받습니다.


머리를 깎은 북한군이 미군에게 검사도 받았습니다.


결국 유엔군과 공산군이 부상 포로부터 먼저 교환하기로 한 겁니다.


다친 포로들을 북으로 돌려보낸 길도 험난했습니다.


포로들이 판문점을 가기 위해 부산역에 도착했습니다.


목발을 짚은 북한군이 절뚝거리며 기차에 탑니다.


미군이 들것에 실어 옮기기도 합니다.


여성 포로들도 비좁은 기차에 다 같이 탔습니다.


병원에서도, 돌아가는 기차에서도 포로 생활은 고단했습니다.


포로 교환 장소엔 건물도 없이 책상 한 개만 놓였습니다.


서명 외에는 다른 절차도 없었습니다.


당시 우리가 보낸 부상 포로는 5800명, 북한은 600명.


부상 포로들을 교환한 후에도 전쟁은 석 달 동안 더 이어졌습니다.


마침내 1953년 7월 27일 밤 10시, 정전 협정이 발효됐습니다.


전쟁 3년 동안, 파악된 사망자만 137만여 명에 달합니다.


(화면제공 :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포로수용소유적공원)


◆ 관련 리포트

6·25 정전협상 당시 기록…미 육군통신대 미공개 영상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343/NB11856343.html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