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814202104674?s=tv_news


"기록·근거 있나" 뼈 아픈 공격..역사 전쟁 손 놨다

이호찬 입력 2019.08.14 20:21 수정 2019.08.14 21:17 


[뉴스데스크] ◀ 앵커 ▶


저희는 오늘부터 '기억 책임 미래'라는 타이틀 아래 한일 관계의 건강한 재정립을 고민해 보는 기획을 시작합니다.


이번 한-일 간의 경제 전쟁을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일본이 침략의 역사를 부정하고 책임을 회피한 역사 전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경제 전쟁에 맞서는 만큼 우리는 역사 전쟁도 제대로 준비하고 있을까요?


부끄럽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먼저 이호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일본 나가사키에 있는 무인도 군함도.


태평양전쟁 말기 한국인 수백 명이 강제노동에 시달려 지옥섬이라고도 합니다.


2015년 일본은 메이지 시대 근대화를 상징하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했습니다.


한국이 반대했지만, 유네스코는 일본이 강제노동을 시인하는 선에서 결국 등재를 승인했습니다.


[사토 구니/유네스코 일본 대사(2015년)] "수많은 한국인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동>(forced to work)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곧바로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당시 일본 외무상]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은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유네스코는 강제노동의 역사도 함께 기록하라고 권고했지만, 일본은 4년째 무시하고 있습니다.


바로 그 2015년.


박근혜 정부는 아베 정부와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고 합의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 조사위원회는 해산됐습니다.


조사 대상 304건 가운데 57건만 조사가 끝났고, 그나마 조사된 기록도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김민철/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전체 자료들을 계속 연구를 해야되는 거죠. 그래야 지금 이 역사전쟁이 벌어졌을때 거기서 무기가 나올 것 아닙니까."


위원회의 기능은 민간재단과 행정안전부로 흩어졌습니다.


11년 동안 이어지던 국가 차원의 진상규명이 중단된 겁니다.


[이희자/태평양전쟁 피해자협의회 공동대표] "일본이 그랬을 거 아니에요. 너희 나라가 피해자 문제라든가 그런 거에 그렇게 관심을 안 갖는데, 자국민의 피해자를 보호하지 않는데…"


1937년 난징 대학살,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학살을 겪은 중국과 이스라엘은 지금도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호찬입니다.


(영상취재: 최경순, 김신영 / 영상편집: 장동준)


[연관기사]


이호찬 기자 (dangdang@mbc.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