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ku.d_0001_0100_0030_0020&viewType=l


영성자산성 부속시설


해성시 영성자산성 평면도1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


해성 영성자산성 - 디지털고구려  https://tadream.tistory.com/2437



1. 서


서문(西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10

 

출토지 : 서벽중앙(西壁中央)

 

서문은 서벽 중간에 있는데, 방향은 270°임. 성의 정문임. 성벽토가 허물어져서, 성문의 원래 너비를 알 수가 없음. 서문 외벽 기단부에는 돌로 쌓은 벽이 있는데, 대부분 허물어져서 돌들이 안팎으로 흩어져 있음. 돌은 쐐기형 혹은 사다리꼴모양으로, 크기는 대체로 30×20×50, 40×25×60㎝임. 1958년 조사때에는 서문 바깥 우측에 높이 20여m의 다져진 흙층이 있었다고 함. 다져진 층의 두께는 3~5㎝임. 바깥은 석벽으로 둘러 싸여 있었는데, 높이는 1.6m이었다고 함. 성문 자체에서는 옹성구조를 발견할 수 없음. 그런데 서문이 위치한 토벽이 골짜기 입구 안쪽에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자연적인 옹성구조라고 할 수 있음. 즉 수구문 남쪽과 서문 북쪽의 산등성이가 토벽 바깥쪽으로 길게 뻗어 있으면서 토벽과 그 양단의 서문․수구문을 감싸는 형세를 이루고 있음. 이는 요하유역 고구려산성에서 흔히 보이는 자연지세를 이용한 함입형(내요식) 옹성구조임(林直樹, 1994; 여호규, 1999). 성 안 임국경(任國卿)의 집에서 서문 문둔테석이 발견되었는데, 장방형이고, 길이는 80㎝, 너비는 50㎝, 두께는 24㎝임. 중간 한 측면에는 16×16㎝의 요형 착갱이 있음.


참고문헌

· 林直樹,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 『靑丘學術論集』 5, 1994

· 余昊奎, 『高句麗 城』 Ⅱ(遼河流域篇), 國防軍史硏究所, 1999


해성 영성자산성 서문 둔테석 평면도, 측면도



수구문(水口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60

 

형태사항 : 현재 너비 약 40m 2 점 

출토지 : 서문 남측(西門 南側)


문의 남쪽에는 틈이 나 있는데, 성 안에 산수가 밖으로 흘러 나가는 주요 수구문임. 방향은 255°이고, 현재 너비는 약 40m임. 수문 남측 성벽은 자연암반을 천연성벽으로 이용하였고, 북측 성벽은 황토를 다져서 축조함. 북측 성벽은 계곡물에 의해 상당 부분 유실됨.



요망대(瞭望臺)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40


출토지 : 성의 서남모서리, 서북모서리, 동북 모서리, 동남 모서리(西南稜, 西北稜, 東北稜, 東南稜)


4개의 요망대 가운데, 동남 모서리의 요망대가 가장 규모가 큼. 동남 모서리의 요망대는 동문에서 남측으로 3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함. 요망대의 서벽은 성벽과 연결되어 있음. 높이는 동벽보다 2.65m 정도 높음. 장체는 인공적으로 축조하였음. 내측 높이는 5.95m이고, 외측은 높이가 17m임. 요망대 정상부는 평평하고, 사다리꼴인데, 외벽은 길이가 26m이고, 내벽은 너비, 길이가 42m이며, 양허리부분은 각각 30m임. 토질은 운모암 풍화토인데, 다져진 층의 밀도는 비교적 작음. 요망대 외측 기저의 길이는 약 40m임. 현재 요망대 정상부는 남북방향의 7층 계단 밭이 개간되어 있음. 주변에 고구려 기와가 흩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적갈색의 복선 연화문와당도 출토되었다고 함. 지역주민들은 이 곳을 점장대라고 부르고 있었음(林直樹, 1994).


참고문헌

· 林直樹,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 『靑丘學術論集』 5, 1994



장대(將臺)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50

 

출토지 : 서벽 내측 경사진 면(西壁 內側 傾斜面)

 

장대(將臺) 근처에서 기와편이 출토됨


유물정보

기와편(瓦片) 1점



건물지 1(建物址 1)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00 


형태사항 : 동서 길이 50m, 남북 너비 30m 

출토지 : 수구문에서 서북방향으로 70m 떨어진 지점의 농가 뒤(水口門 西北方向 70m 離隔地點 農家後)


수구문에서 서북방향으로 70m 떨어진 지점의 농가 뒤에 움푹 들어간 구덩이가 있음. 구덩이 안에서 방형의 주춧돌이 발견되었는데, 변의 길이는 0.9m, 두께는 0.28m임. 구덩이의 동서 길이 50m, 남북 너비 30m의 범위 안에 많은 홍색, 회색의 평기와편이 흩어져 있음. 과수원과 경작지를 정리했을 때, 대형의 건축자재가 발견되었다고 소개되었고, 용봉문(龍鳳文)으로 장식된 회색의 용마루 장식부재(房脊構件)가 출토되었다고 함.


유물정보

붉은색평기와편(紅色瓦片) 1점, 회색기와편(灰色瓦片) 1점, 회색용마루장식부재(灰色房脊構件) 1점



건물지 3(建物址 3)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20 


형태사항 : 중앙수구(中央水溝) 옆 건축지 깊이 3m, 직경 20여m 

 

출토지 : 서문 안 좌측, 성내 중앙 수구 옆, 성내 서문 안 도랑 좌측 민가 등에 위치함(西門內左側, 城內中央水溝傍, 城內西門內 溝左側民家 等)


성 안에 돌로 쌓은 원형 건축지 3곳이 있는데, 수뢰(水牢)라고 불리고 있음(李殿福, 1995; 王禹浪·王宏北, 1997; 馮永謙, 1986; 王綿厚, 2002; 國家文物局, 2009). 서문 안 좌측, 성내 중앙 수구 옆, 성내 서문 안 도랑 좌측 민가 등에 위치함. 성내 중앙 수구 옆에 있는 건축지는 돌로 쌓았고, 깊이 3m, 직경 20여m임(王綿厚, 2002).


길림시 용담산산성의 수뢰(水牢), 한뢰(旱牢)와 유사하다는 견해가 있음(李殿福, 1995).



우물(井)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30 


형태사항 : 외구직경 1.2m, 내경 0.7m, 깊이 7m 이하 


출토지 : 수구문에서 동북쪽으로 약 50m 떨어진 지점, 서쪽 수구문에서 약 150m 떨어진 임국원의 주택안(水口門 東北側 50m 離隔地點, 西側水口門 150m 離隔 任國園 住宅內部)

 

구조특징


총 4곳이 있음(富品瑩·吳洪寬, 1994; 魏存成, 2002). 李殿福(1995), 王禹浪·王宏北(1997), 王綿厚(2002), 國家文物局(2009) 등은 1개, 馮永謙(1997)은 10개라고 기록함.


우물 1곳은 수구문에서 동북쪽으로 약 5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함. 우물벽은 쐐기형의 돌을 쌓아 축조함. 외구 직경은 1.2m, 내경은 0.7m, 깊이는 7m 이하임. 현재 우물입구는 지역주민들이 시멘트로 발라 개축하였다고 함.


또 다른 우물 한 곳은 서쪽 수구문에서 약 150m 떨어진 임국원(任國園)의 주택에 있음. 주인에 말에 의하면, 이 곳에 우물이 있는지 모르고, 우물을 팠는데, 지표 1m 정도 팠을 때, 정(井)자 모양으로 층층이 쌓아올린 대형 목재를 발견하였다고 함. 직경은 1.7m임. 이 우물 북쪽으로 같은 형태의 우물이 2곳 있다고 함.




2. 북


북문(北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30

 

출토지 : 북벽 중앙(北壁 中央)


방향은 10°이고, 현재 너비는 7m임. 북문 동쪽 근처에 고구려 기와가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각루(角樓)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여호규, 1999).


참고문헌

余昊奎, 『高句麗 城』 Ⅱ(遼河流域篇), 國防軍史硏究所, 1999




3. 동


동문(東門)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20 


출토지 : 정동쪽이고 가장 높은 지점(正東側及崔高地点)


동문이 있는 지점은 정동쪽이고 가장 높은 지점이기도 함. 뱡향이 90°이고, 문 양끝 사이의 거리는 현재 7m임. 내요식의 옹성구조를 갖추고 있음. 동문지는 큰 석조를 깔아 축조하였는데, 지역 주민에 의해 파괴됨. 축조방법은 고이산성 성문과 유사함.


동문과 서문과의 거리는 약 1㎞임(馮季·孫進己·馮永謙(1987)과 馮永謙(1997) 등은 2餘里라고 기록함. 그리고 남문을 설정하면서, 남, 북문의 거리를 1餘里로 기록함).



토산추정지(土山推定地)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50 


출토지 : 성 동남모서리 바깥쪽(城東南角外)

 

구조특징


성 동남 모서리 바깥쪽에 사다리꼴의 작은 토산이 있는데, 성벽이 축조된 산등성이와 연접되어 있음. 다만 성벽에서 약 100m 떨어진 지점에 가 보면, 산등성이가 아래로 움푹 들어가 있고 바닥은 낮고 편평함. 높이는 성벽보다 2.65m 높음.


정상부에는 아형평대(牙形平臺)와 건물지가 있고, 홍색 기와가 매우 많이 있음. 토산의 남쪽기슭과 서쪽기슭에는 산수(山水)가 뚫고 나온 깊은 도랑이 있음. 도랑 내에는 수평 토층이 퇴적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퇴적물은 깬돌이 들어간 흙임. 이 같은 현상을 토산이 인공적으로 쌓았음을 증명하는 근거로 보면서(馮季昌·孫進己·馮永謙, 1987; 李殿福, 1994; 王綿厚, 2002), 당(唐)의 이도종(李道宗)이 안시성 동남모서리에 쌓았다는 토산으로 보기도 함(魏存成, 2002; 王禹浪·王宏北, 2007; 魏存成, 2011). 반면, 산등성이 정 가운데가 동벽 기단부라고 하면서, 동벽과 그 위의 건축물이 붕괴된 후에 남은 흙덩이로 보고, 인공적으로 축조한 토산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음(营口市博物館, 2000).

 

유물정보

홍색기와편(紅色瓦片) 1점




4. 남


활구(豁口)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70


형태사항 : 높이 2m, 현재 너비 4.5m 

출토지 : 남벽(南壁)


남벽에 위치하는데, 동남모서리 고대(高臺)와는 69m 떨어져 있음. 과거에 일부 학자는 남문으로 보기도 하였으나(八木奘三郞, 1929), 활구(豁口) 양단 사이의 거리가 서, 북, 동문의 너비와 같지 않은 것으로 볼 때, 남문으로 보기 힘듦(富品瑩·吳洪寬, 1994).


방향은 155°, 기본 너비는 5m, 높이는 2m, 활구의 현재 너비는 4.5m 임.



회곽도(廻郭道)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80 


출토지 : 南壁(南壁)


1994년 4월 조사때 남벽에서 길이 200m의 회곽도(廻郭道)가 발견됨. 현재는 과수원으로 개간됨.




5. 성내


샘(泉)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40 

 

출토지 : 성안(城內)


동쪽에서 서쪽방향으로 흘러, 성 바깥으로 나감.




6. 성벽 주위


건물지 2(建物址 2)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110 

 

출토지 : 성벽 정상부 안쪽 0.4m 지점(城壁 頂部 內側 0.4m 地點)


성벽 정상부 안쪽 0.4m 지점에는 20m 간격으로 직경 3m의 움푹 들어간 구덩이가 있는데, 이러한 구덩이는 산성 대부분에 분포되어 있음. 다만 서벽 성벽 꼭대기는 계단식 밭, 과수원 등으로 개간되었기 때문에 구덩이의 흔적을 볼 수가 없음. 북벽과 동벽에서는 구덩이가 매우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남벽에 있는 구덩이들은 불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일부는 25m, 일부는 30m 간격으로 위치하고 있음. 북벽에서 동쪽으로 꺾이는 동북모서리의 돌출부에 위치한 요망대의 북쪽에도 구덩이가 있음. 고구려 군대의 수병 주거지로 추정됨. 성내 각지에서 5개 이상의 초석들이 발견되었다고 함(林直樹, 1994).


참고문헌

· 林直樹,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 『靑丘學術論集』 5, 1994



치(馬面)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30_0020_0090


도전호(島田好) 등이 조사하였을 때, 성벽 바깥에 치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찾아보기 어려움. 




관련글
영성자산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591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