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5475
고검지 산성 (高儉地 山城)
양식 : 포곡식
크기 : 성벽 길이 동벽 332m, 남벽 383m, 서벽 267m, 북벽 391m, 둘레 1,373m
건립 시기 : 3세기경
현 소재지 :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목우자진 고검지촌 뒷산
정의
요령성(遼寧省) 본계시(本溪市)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목우자진(木盂子鎭) 고검지촌(高儉地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산성.
개설
고검지 산성은 요하 지류인 태자하·소자하(蘇子河) 유역에서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환인 분지로 향하는 교통로 상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이다. 전체 둘레가 1,373m인 중형급 산성으로 잘 다듬은 쐐기형 성돌로 성벽을 축조하였는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정문이 산중턱에 위치한 산정형(山頂形)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분류된다. 고구려가 군사 방어 체계를 본격적으로 정비하기 시작한 3세기경에 축조하였으며, 평양(平壤) 천도 이후에도 국내성(國內城) 방면의 군사 방어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위치
고검지 산성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목우자진 고검지촌 뒷산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남쪽 7㎞에 목우자진 소재지가 있다. 압록강(鴨綠江) 지류인 혼강(渾江) 유역에서 요하(遼河) 지류인 태자하(太子河) 유역으로 나아가는 교통로상의 요충지이다. 산성의 남쪽 3.3㎞ 거리에 환인-본계 간 도로가 지나가는데, 이 도로를 따라가다가 평정산(平頂山) 일대에서 제2 현도군 치소가 있었던 신빈(新賓) 영릉진(永陵鎭) 일대로 나아갈 수도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고검지 산성에 대해서는 1980년 4월 중국본계시와 환인현의 고고학자들이 성곽의 현황과 실측 조사를 진행하였다. 1990년 4월에도 성벽을 실측하였고, 1994년 5월에는 본계시 박물관과 환인현 문물관리소가 성벽 실측과 함께 정밀 지표 조사를 시행하였다. 2008년~2009년까지 양지룡(梁志龍) 등이 조사를 실시하고 『동북사지(東北史地)』에 결과 보고를 실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고검지 산성의 전체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하는 한편, 다수의 유물을 채집하였다.
형태
고검지 산성은 여러 산봉우리로 첩첩이 둘러싸인 해발 831m의 산 위에 위치해 있는데, 남쪽으로는 사방 1㎞ 정도의 넓은 개활지가 펼쳐져 있다. 동·서·북 3면은 산봉우리로 둘러싸여 말발굽형 분지를 이루고 있다. 잘 다듬은 쐐기형 돌로 산마루를 따라 성벽을 축조하였는데, 일부 구간은 절벽을 천연 성벽으로 삼았다.
성벽의 길이는 동벽 332m, 남벽 383m, 서벽 267m, 북벽 391m로 전체 둘레 1,373m이며, 불규칙한 장방형 모양을 이룬다. 성벽은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인데, 북벽 동단의 경우 밑 너비 4.4m, 윗너비 3.3m, 외벽 높이 3.9m, 내벽 높이 2.1m에 이른다. 성벽 위에는 성가퀴가 잘 남아 있는데, 너비 0.5~1.0m, 높이 0.4~0.7m 전후이다. 서벽 북단의 성가퀴 안쪽에는 기둥 구멍 9개가 1.8~2m 간격으로 남아 있다.
성문은 남벽 1, 북벽 2, 동벽 1 등 4개가 확인되었는데, 많이 허물어졌다. 북문의 동측과 동문의 북측에 방형(方形)의 적대(敵臺)가 남아 있는데, 역시 많이 허물어졌다. 남벽 동단을 비롯한 산봉우리에 장대(將臺)나 망대가 남아 있고, 북벽 부근에는 병사 주둔지로 추정되는 원형 구덩이가 다수 남아 있다. 서남쪽에 물웅덩이가 있고, 중앙으로 개울이 흐르고 있다. 다수의 토기편과 쇠 화살촉, 쇠창 등이 채집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검지 산성은 요하 지류인 태자하나 소자하 유역에서 고구려 초기 중심지로 향하는 교통로상의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다. 정문이 산의 중턱에 위치한 산정형 포곡식 산성인데, 성곽의 입지 조건이나 축성 방식 등으로 보아 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축조한 고구려 산성으로 파악된다. 이에 고검지 산성을 고구려목저성(木底城)이나 창암성(蒼巖城)으로 비정하기도 하지만, 명확한 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고구려가 3세기경부터 도성을 중심의 군사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축조한 성곽으로 파악되며, 평양 천도 이후에도 국내성 방면의 군사 방어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파악된다.
참고문헌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 編纂委員會,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1990)
梁志龍, 「桓仁地區高句麗城址槪述」(『博物館硏究』1992-1, 1992)
王禹浪·王宏北, 「中國遼寧省桓仁縣木盂子鎭高儉地村高句麗山城」(『高句麗 · 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1994)
梁志龍, 「可勿考辨」(『遼海文物學刊』1994-2, 1994)
王綿厚,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1994-2, 1994)
辛占山, 「遼寧境內高句麗城址的考察」(『遼海文物學刊』1994-2, 1994)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1995-3, 1995)
余昊奎, 「桓仁 高儉地山城」(『高句麗 城』I-鴨綠江 中上流篇, 國防軍史硏究所, 1998)
梁志龍, 「遼寧省桓仁縣高儉地高句麗山城調査」(『東北史地』2011-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2011)
樊聖英 외 4인, 「2008-2009年遼寧桓仁縣高儉地高句麗山城發掘簡報」(『東北史地』2012-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2012)
관련글
고구려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성자산성 부속시설 - 동북아역사넷 (0) | 2020.03.04 |
---|---|
환인 고검지산성 - 동북아역사넷 (0) | 2020.03.04 |
환인의 자연환경 - 동북아역사넷 (0) | 2020.03.04 |
대석교 해룡천산성 (大石橋 海龍川 山城) - 세계한민족대전 (0) | 2020.02.29 |
해성 영성자 산성 (海城 英城子 山城) - 세계한민족문화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