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79306


7000여 명 학살당한 땅... 대전 산내의 뼈아픈 역사
대전 시민들 유해발굴 나선 이곳... 땅속 '진실' 드러날까
15.02.04 18:21 l 최종 업데이트 15.02.04 18:21 l 심규상(djsim)

▲  산내 골령골 암매장지 현장에서 드러나 나뒹글고 있는 '사람의 뼈' .정부와 관할 자치단체는 유해훼손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 심규상


대전 산내골령골에는 희생자 유해가 어느 정도 매장돼 있을까? 이달 말 예정된 발굴지에서는 유해발굴이 가능할까? 

시민사회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암매장지 중 하나인 대전 산내골령골에 대한 유해발굴 계획을 밝힘에 따라 이곳에 암매장된 희생자 규모 및 발굴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역 18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한국전쟁기 대전 산내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18개 단체, 상임대표 김용우)는 4일 오후 2시 대전시청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3일부터 7일동안 예정된 산내 골령골 유해발굴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뒷짐을 지고 있는 것을 보다 못한 전국 조직인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7개 단체, 공동대표 김수업·박선주·장주영·김형태·이석태·함세웅·신미자·김종현·김용우)이 유해발굴을 자처하자 대전시민단체에서 이를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관련 기사 : 대전시민들, 산내 민간인 학살지 유해발굴 나선다).

군경, 세 차례 걸쳐 민간인 7000여 명 집단 학살

▲  농사와 각종 개발행위로 훼손되고 있는 민간인 희생자로 추정되는 유해. 하지만 정부와 관할자치단체인 대전시와 동구청은 유해훼손도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심규상

대전 산내 골령골은 전쟁이 터진 1950년 6월 말부터 이듬해 초까지 대전형무소 재소자 등과 대전 충남·북 일원의 보도연맹원 등 약 7000여 명이 군경에 의해 집단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정부 기구였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첫 학살은 6월 28일 시작돼 사흘간 자행됐다. 미 CIC(육군 방첩대) 파견대는 전투일지에 희생자 규모를 1400명으로 적어놨다. 주로 보도연맹원 및 요시찰인이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 

"신뢰할 만한 정보통의 1950년 7월 1일 보고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지시에 의해, 대전과 그 인근에서 공산주의 단체 가입 및 활동으로 체포됐던 민간인 1400명이 경찰에 의해 살해됐다. 이들의 시신은 대전에서 약 4km 떨어진 산에 매장됐다."(미 제 25사단 CIC 파견대의 전투일지 활동보고서 중에서)

2차 학살은 같은 해 7월 3일부터 사흘 동안 이뤄졌다. 희생자 규모는 약 1800명에서 200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1950년 9월 23일, 주한미국대사관 소속 육군무관 에드워드 중령은 워싱턴의 미 육군 정보부로 사진 18장과 함께 '한국에서 정치범 처형'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보냈다. 이 보고서는 당시 대전형무소 집단학살 사건에 대해 이렇게 적어놨다. 

"서울이 함락되고 난 뒤, 형무소의 재소자들이 북한군에 의해 석방될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수천 명의 정치범들을 몇 주 동안 처형한 것으로 우리는 믿고 있다. (중략) 이러한 처형 명령은 의심할 여지없이 최고위층에서 내려온 것이다. 대전에서 벌어진 1800여 명의 정치범 집단학살은 3일 간에 걸쳐 이뤄졌으며, 1950년 7월 첫째 주에 자행됐다."

<런던 옵서버> "남한 경찰이 트럭에 겹겹이 싣고 와 숲에서 처형"

▲  지난 2010년 7월. 진실화해위원회가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희생자 유해를 발굴하고 있다. ⓒ 심규상

3차 학살은 같은 해 7월 6일 무렵부터 7월 17일 새벽 사이 벌어졌다. 이 기간은 육군형무소 병력이 대전형무소에 임시 주둔하던 때였다. 

1950년 <런던 옵서버>지 기자로 한국에 왔다가 북한군의 포로가 된 필립 딘은 <나는 한국에서 포로였다>에서 "미군이 대전에서 철수하기 직전 남한 경찰이 1700명의 재소자들을 트럭에 겹겹이 싣고 와 내가 있던 교회 부근 숲에서 처형했다"는 프랑스 신부 카다르(당시 72세)의 증언을 전했다. 

영국 일간신문 <데일리 워커>의 편집자이자 특파원인 위닝턴 기자는 <나는 한국에서 진실을 보았다>에서 "7월 16일 인민군이 미군의 금강 전선을 돌파하자, 남아 있는 정치범들에 대한 학살이 (또다시) 시작됐다, 이날 무수한 여자들을 포함해 적어도 각각 100명씩 트럭 37대, 3700여 명이 죽었다"라고 썼다. 3차 시기에만 1700명 또는 3700이 학살됐다는 증언이 나뉘어지고 있다. 

하지만 3차 학살 희생자를 1700명으로 추정하더라도 1차 1400명(6월 말 삼일), 2차(7월 첫 주 삼일) 희생규모는 20일 동안 4900명에 이른다.

나머지 희생자들은 북한군에 대한 '부역 혐의'를 받은 사람들이었다.1950년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한 군경은 부역자 색출에 나섰다. 대전과 충남 일원에서 9월 28일부터 11월 13일까지 충남경찰국에서 검거한 부역자 수는 1만1992명에 이르렀다(1950년 11월 15일 내무부가 밝힌 내용). 검거된 부역자는 군법회의를 거쳐 대전형무소에 수감됐다.   

대전형무소에서는 열악한 수용시설에 식량과 의약품마저 부족하자 곳곳에서 굶어죽고, 얼어죽고, 병들어 죽는 재소자가 속출했다. 처형된 사람들도 많았다. 기록에 의하면 헌병대 제11사단(사단장 최덕신)은 1951년 1월 17일 하루에만 대전형무소에 수감 중이던 사형수 166명을 대전 산내 골령골로 끌고 가 처형했다. 

민간단체, 유해발굴 자원봉사... 땅속 진실 드러날까

▲  대전 산내골령골 집단학살 희생자 암매장지 ⓒ 심규상

지난 2007년 진실화해위원회가 산내 골령골 일부 유해를 발굴했지만 소규모 매장추정지 외에는 손을 대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민간단체 주도의 유해발굴에서도 어느 정도의 유해가 드러날 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우선 발굴 예정지가 극히 제한적이다.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측은 여러 물리적 조건 상 매장추정지 중 100여 평에 한해 유해발굴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발굴 예정지는 수십 년 동안 농사를 짓고 있는 밭이다. 희생자 유가족들은 "오랫동안 농사와 개발행위로 대부분 유해가 유실됐을 가능성이 크다"라면서 "유해가 남아 있는지 조차 가늠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이들은 유해매장 추정지 전체에 대한 유해발굴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유해발굴과 유해매장지 보존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책을 요구했다. 

"정부는 하루속히 정부 기구를 마련해 체계적인 계획 하에 과학적인 유해발굴 작업에 나서야 합니다. 대전시는 다른 자치단체처럼 희생자의 원혼과 유가족들의 한을 달랠 수 있도록 민간인 희생자 위령제 지원을 위한 조례제정에 나서 주십시오. 관할 동구청은 유해매장지가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조치해 주십시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