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40109/1/BBSMSTR_000000010227/view.do


신라 발목 잡은 황산벌에 계백장군 ‘충의혼’ 불태우다

기사입력 2014. 01. 08   17:27 


<91>탄현과 황산


계룡시에서 논산으로 들어오는 개태사역 바로 앞의 병목 지형. 이곳은 계룡에서 논산으로 향하는 4차선 국도인 계백로와 호남선 철도, 연산천이 붙어 있어 계백 장군이 길목을 차단하고 신라군을 기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제공


 660년 음력 6월 무더운 여름이었다. 개들이 사비도성의 어느 길가에 떼로 모여 있었다. 개들은 울부짖었고 그 소리가 온 왕궁에 울려 퍼졌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조에 이 장면이 기록으로 남은 것은 복날 보기 어려운 광경이었기 때문만은 아닌 듯하다. 갑자기 닥칠 국가의 불행을 백제인들이 집단적으로 예감하고 있었던 것 같다.


6월 21일 고위 귀족 관리의 가마와 수레가 사비의 왕궁을 향해 내닫기 시작했다. 의자왕이 중대한 결정을 앞두고 어전회의를 소집했다는 소식이 퍼져갔다. 왕궁의 문을 지키는 수졸들은 어찌하여 그렇게 한꺼번에 많은 사람이 왕궁으로 몰려드는지 영문을 알지 못했다. 하지만 국가에 중대한 일이 발생했음을 직감했으리라.


당나라 대규모 함대는 신라와 연합, 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해 다가오고 있었다. 약 2000척가량의 당나라 소정방의 선단이 덕적도에 정박했다. 얼마 후 신라왕의 태자 법민이 이끄는 신라 선단 100척이 그곳에 와서 회합을 했다는 소식이 백제 조정에 전해졌다. 당나라 13만 대군과 신라의 5만 대군이 동과 서에서 몰려올 것이다.


탄현의 위치


국가가 존망의 위기에 놓인 상황이었다. 회의석상의 분위기는 침울했다. 정적을 깨고 의자왕은 떨리는 목소리로 나당연합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신하들에게 물었다. 좌평 의직은 당나라 군대와 먼저 싸울 것을 청했고, 달솔 상영은 신라군과 먼저 전투를 벌일 것을 주장했다. 회의는 길어졌다. 18만 대군이 사비도성을 향해 진군해 오고 있는데 승산 있는 대책이 나올 리 만무했다. 각자 최선의 안을 말했지만 모두가 한 번의 패배로 국가가 멸망해 버리는 위험한 것뿐이었다. 무엇보다 백제가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규모의 군대를 막아내기 위해 갑자기 병력 동원령을 내려야 했다. 시간이 모자라 양쪽 방향에서 오는 양군을 모두 대적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병력을 모으는 것도 불가능에 가까웠다.


회의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당군과 신라군 전력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가에 있었다. 두 군대가 합류하면 백제군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대가 된다. 둘 중 한쪽에 주공을 투입해 싸우고 다른 한쪽은 진격을 최대한 늦추고자 했다. 백제는 신라군의 진군을 지연시키면서 당나라군을 각개 격파하려 했던 것 같다. 백제 조정은 당군이 백강을 거슬러 올라와 상륙하는 것을 저지하는 데 주공을 투입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각 전투는 당사자 모두 반드시 승리를 쟁취해야 하는 결전적(決戰的) 회전(會戰)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백제군의 주력이 금강 하류 부근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신라군이 탄현을 넘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신라군이 진공해 올 코스는 뻔했다. 신라군의 중간 집결지인 상주 금돌성에서 논산으로 가는 길은 두 개가 있었다. 하나는 상주에서 금산을 거쳐 직접 논산으로 가는 길이 있고, 다른 하나는 옥천에서 대전을 경유해 논산으로 들어오는 길이 있다. 금산 코스는 험난하고 계곡 자체가 너무나 길다. 5만의 대군이 그 길로 간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케우찌 히로시(池內宏)의 지적대로 상주 금돌성을 출발한 신라군 주력은 영동을 지나 옥천으로 들어와 탄현을 넘어 대전으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크다. 현 옥천과 대전 사이에는 식장산과 환산이 가로 막고 있다. 그 사이의 마도령(馬道嶺)이라는 고개가 있었다. 옥천읍에서 국도를 따라 대전으로 향하다 보면 계곡이 나타난다. 군북면사무소 부근에서 통로는 좁아진다. 이곳부터 8㎞ 구간은 국도와 경부고속도로 그리고 경부선 철도가 서로 붙어서 대전으로 내달린다. 저항이 거의 없는 가운데 옥천에서 마도령을 넘어 대전으로 들어온 신라군은 현 계룡시를 향해 진군했을 것으로 보인다.


황산의 위치


의자왕은 달솔 계백을 불러 병력 5000명을 주고 황산(黃山)에 가서 신라군을 막도록 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연산현 조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산은 일명 천호산(天護山)이라고도 하는데 (연산)현 동쪽 5리에 있다.” 천호산은 현 논산시 연산면에 위치하고 있다. 천호산 자락이 북쪽으로 뻗어 향적산의 줄기와 서로 평행해 달리는 계곡이 있다. 현 계룡시에서 개태사역에 이르는 10여 리 구간의 좁은 통로다. 지형적으로 봤을 때 신라군 5만이 대전에서 논산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곳을 꼭 지나야 하고, 백제군도 여기에서 그들을 막아야 한다.


그 통로는 연산면 화악리 홍일점식당 뒷산과 천호리 전원모텔 뒷산 사이에서 목이 좁아지는데 200m 내외로 추산된다. 그 좁은 길목 사이를 계룡에서 논산으로 향하는 4차선 국도인 계백로, 호남선 철도, 연산천이 붙어 달리고 있다. 통로를 막고 있는 백제군 목책이 그 전부터 세워져 있었을 것이고, 계백이 여기서 신라군을 맞아 싸웠을 가능성이 높다. 5000의 병력으로 그 10배인 신라군 5만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급격히 좁아지는 병목 구간이 아니면 불가능하다. 만일 계백의 군대가 평지에 진을 쳤다면 어떻게 됐겠는가. 당군과 병력을 합치기로 한 7월 10일까지 하루밖에 남지 않았을 때 황산에 도착한 신라군이었다. 병력이 우세한 그들은 백제군을 무시하고 지나가거나, 아니면 1만 정도의 병력으로 그들을 포위해 묶어 놓고 나머지 4만이 논산-부여 방향으로 곧장 진군했을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유신 등이 황산벌(黃山原)을 향해 진군하니 백제 장군 계백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먼저 험한 곳을 차지해 세 군데의 진영을 설치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계백은 길목과 양쪽의 산에 3개의 진영을 설치하고, 그 길목의 목책 앞에 여러 겹으로 호를 파서 연산천의 물을 끌어 임시 해자를 만들고 그 앞뒤로 나무로 만든 목익과 녹각(角) 등의 장애물을 세웠으리라. 물론 길목 양쪽 산의 나무는 모두 베어졌고 그 민둥산 경사에도 목책을 둘러 세웠으리라.


 

비극으로 출발한 전투


황산벌 결전 이야기는 처와 자식 살해로 시작되고 있다. ‘삼국사기’ 계백전은 이렇게 전한다. “한 나라가 나당의 대군을 상대해야 하니 국가의 존망을 알 수 없다. 내 처와 자식들이 포로가 돼 노비가 될지 모르겠는데 살아서 욕을 보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낫다. 드디어 가족을 모두 죽였다.” 병사들은 집에서 피를 뒤집어 쓰고 나온 계백 장군의 모습에서 생사를 초월해 싸움에 임하겠다는 비장한 의지를 느꼈다. 가족 살해는 전쟁에 앞서 군심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희생제로 생각될 정도다.


황산에 이르러 3개의 진영을 설치한 계백은 5000명 군사들 앞에서 연설을 했다. “옛날 구천(句踐)은 5000명으로 오나라 70만 군사를 격파했다. 오늘은 마땅히 각자 용기를 다하여 싸워 이겨 국은에 보답하자.” 병사들에 대한 계백의 격려였다. 하지만 비장한 분위기 속에서 그날 살아 돌아갈 수 있다고 희망을 품은 병사들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황산벌 전투는 하나의 비극이었다. 피할 수 없는 운명과의 갈등으로 생기는 인간의 고통과 불행이 보인다. 삼국시대의 끊임없이 지속된 전쟁은 사회 지도층의 희생정신을 낳았고, 병사들이 그러한 상관을 위해 목숨을 기꺼이 던지는 문화를 배태시켰다. 계백과 병사들은 모두가 다 죽는 시간까지 그곳에서 신라군을 묶어 백제에 시간을 벌어 주기로 했던 것 같다. 그곳이 뚫리면 신라군은 논산의 평야로 들어가게 되고 부여까지 그들을 막을 수 있는 자연 장애물은 거의 없다.


<서영교 중원대 한국학과 교수 >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