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levelId=hm_035_0010
일본과의 경제 교류
甲寅, 天皇御中宮, 高齊德等上其王書幷方物. 其詞曰, “[大]武藝啓. ……(中略)…… 謹遣寧遠將軍郞將高仁義 游將軍果毅都尉德周 別將舍航等廿四人 齎狀 幷附貂皮三百張奉送. ……(中略)……”
『續日本紀』卷10, 神龜 5年 春1月
壬午, [高]齊德等八人, 各賜綵帛綾綿有差. 仍賜其王璽書曰, “天皇敬問渤海郡王. 省啓具知. 恢復舊壤, 聿修曩好, 朕以嘉之. ……(中略)…… 便因首領高齊德等還次, 付書幷信物綵帛一十疋, 綾一十疋, 絁廿疋, 絲一百絇, 綿二百屯. ……(中略)……”
『續日本紀』卷10, 神龜 5年 夏4月
廿日己丑, 內藏寮與渤海客, 廻易貨物. 廿一日庚寅, 廳京師人與渤海客交閞. 廿二日辛卯, 聽諸市人與客徒私相市易. 是日, 官錢卌萬賜渤海國使等, 乃喚集市廛人, 賣與客徒此間土物.
『日本三代實錄』卷21, 貞觀 14年 五月
是年, 渤海人及鐵利摠一千一百餘人慕化來朝. 安置出羽國, 給衣糧放還.
『續日本紀』卷16, 天平 18年 12月
갑인(甲寅)에 천황이 중궁(中宮)에 나아갔는데, 고제덕(高齊德) 등이 왕의 서신과 토산품을 바쳤다. 그 교서에 “[대]무예([大]武藝, 재위 719~737)가 아룁니다. ……(중략)…… 삼가 영원 장군(寧遠將軍) 낭장(郞將) 고인의(高仁義), 유장군(游將軍) 과의도위(果毅都尉) 덕주(德周), 별장(別將) 사항(舍航) 등 24명에게 서신을 가지고 가도록 하였고 아울러 담비 가죽 300장을 정중히 보냅니다. ……(중략)……”라고 하였다.
『속일본기』권10, 신구 5년(728) 봄 1월
임오(壬午)에 [고]제덕([高]齊德) 등 8명에게 각각 빛깔이 고운 비단과 무늬 있는 비단, 면을 하사하되 차등이 있었다. 이에 그 왕에게 새서(璽書)를 내려 말하기를, “천황이 삼가 발해 군왕(渤海郡王)에게 [안부를] 묻습니다. 계(啓)를 살펴 두루 알게 되었습니다. 옛 땅을 회복하고 예전의 우호를 이어 받아 닦으니 짐이 기쁘게 여깁니다. ……(중략)…… 수령(首領) 고제덕 등이 돌아가는 편에 서신과 함께 신표로 빛깔이 고운 비단 10필과 무늬 있는 비단 10필, 명주 20필, 실 100구, 면 200둔을 보냅니다. ……(중략)……”라고 하였다.
『속일본기』권10, 신구 5년(728) 여름 4월
20일 기축(己丑)에 내장료[內藏寮]와 발해객(渤海客)이 재화와 물건을 서로 교환하였다. 21일 경인(庚寅)에 도성 사람들과 발해객이 서로 왕래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22일 신묘(辛卯)에 여러 시전의 사람들과 [발해]객들이 사사로이 서로 물건을 거래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날 나랏 돈 40만을 발해국 사신 등에게 주고, 이에 시전의 사람들을 불러 모아 [발해]객들과의 사이에서 토산물을 매매하도록 하였다.
『일본삼대실록』권21, 정관 14년 5월
이 해[746년]에 발해인과 철리[부](鐵利[部]) [사람] 총 1,100여 명이 덕을 사모하여 그 가르침을 좇아 [일본으로] 찾아왔다. 데와국[出羽國]에 머물게 하였다가 옷과 양식을 주어 돌려보냈다.
『속일본기』권16, 천평 18년 12월
이 사료는 발해와 일본 사이에 전개된 경제 교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아쉽게도 발해는 자신들의 손으로 남겨 놓은 사료가 없기 때문에 발해와 일본 사이의 교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일본 측의 사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다행히도 『속일본기(續日本紀)』 등에는 발해와 일본 사이의 교류 관계를 보여 주는 사료가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발해에서 일본에 사신을 처음으로 파견한 내용은 『속일본기』 신구 5년조에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728년(발해 무왕 10) 고제덕(高齊德) 일행은 대무예(大武藝), 즉 무왕(武王, 재위 719~737)의 서신과 함께 교역품으로 담비 가죽 300장을 가져왔으며, 일본에서는 답례품으로 비단과 명주, 실, 면 등을 보냈다고 한다.. 이 일을 계기로 발해와 일본의 교류 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는데,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에서 일본까지 이어지는 교통로인 일본도(日本道)가 『신당서(新唐書)』에 기록될 정도로 양국 간의 교류는 활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727년 발해와 일본 사이에 처음으로 사신이 오가면서 양국의 물품을 주고받는 장면을 통해 볼 때, 사신을 파견한 목적이 단지 정치⋅외교적 측면에만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 바로 『일본 삼대 실록(日本三代實錄)』 권21, 정관(貞觀) 14년 5월 20~22일조 기사이다. 이에 따르면 872년(정관 14) 5월 20일에 발해객(渤海客)은 일본 천황가의 재산을 관리하는 관부인 내장료와 교역을 진행하였다고 한다. 이때 발해객이란 사신을 포함한 발해의 사절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5월 20일에 이루어진 내장료와의 교역은 공무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5월 21일에는 도성 사람들과, 5월 22일에는 시전 사람들과 교역을 각각 진행하였는데, 이는 사무역에 해당한다. 이렇듯 공무역이 이루어진 다음에 사무역이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무역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일본 귀족 층에서 가신을 파견하여 사절단과 사무역을 행한 사례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발해 사신 가운데는 자신이 상인이 되어 일본 측의 관리나 상인들을 상대로 직접 교역에 나섰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 아울러 사신이 개인 명의로 일본 측의 관리 등과 선물을 주고받는 것 역시 양국 간에 이루어진 교역의 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발해의 상인이 직접 일본에 가서 사무역을 행한 사례도 확인된다. 『속일본기』 권16의 천평 18년조(746)에 의하면 발해인과 철리국 사람(鐵利國人) 1,100명이 일본 데와국[出羽國]에 상륙하여 머물렀다고 한다. 이때 일본으로 건너 온 사람의 숫자가 무려 1,100명에 달하였다는 점이나 옷과 양식을 주어 돌려보냈다는 점으로 미루어 일정한 교역 활동이 전개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그 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발해는 담비 가죽, 호랑이 가죽, 곰 가죽, 인삼, 꿀 등을 일본에 수출하였고, 비단, 명주, 실, 면, 수은, 금칠, 수정 염주 등을 수입하였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발해가 일본으로부터 비단과 명주 등 섬유 제품의 원료를 수입하는 대신 짐승의 가죽을 일본에 수출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이는 양국 간의 기후 차이에 따른 동식물의 생장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8~9세기 발해와 일본의 경제외교와 대재부」,『고구려연구』22,박진숙,고구려연구회,2006.
「발해의 대일본외교 연구」,,박진숙,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1.
「8세기 후반 발해의 대일본외교와 교역」,『사학연구』81,조이옥,한국사학회,2006.
『발해정치외교사』, 김종복, 일지사, 2009.
『발해 문왕대의 지배체제 연구』, 김진광, 박문사, 2012.
『발해정치사연구』, 송기호, 일조각, 1995.
『한국 고대무역사 연구』, 윤재운, 경인문화사, 2006.
『발해의 대외관계사』, 한규철, 신서원, 1994.
「발해와 일본의 관계」, 구난희, 동북아역사재단, 2007.
「발해의 무역」, 윤재운, 동북아역사재단, 2007.
「사회⋅경제구조」, 임상선, 국사편찬위원회, 1996.
「일본과의 관계」, 한규철, 국사편찬위원회, 1996.
관련 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jm_002r_0110_0050
'발해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란도(契丹道) - 민족문화대백과 (0) | 2020.04.30 |
---|---|
영주도(營州道) - 민족문화대백과 (0) | 2020.04.30 |
발해의 교통로(5도)와 신라도 - 우리역사넷 (0) | 2019.12.20 |
발해의 주민은 누구였을까? - 법률저널 (0) | 2014.12.09 |
발해인의 생활 - 김동우 (0) | 201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