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levelId=hm_014_0080


당나라로 투항한 연개소문의 아들 남생


公姓泉, 諱男生, 字元德. 遼東郡平壤城人也. 原夫遠系, 本出於泉, 旣託神以隤祉. 遂因生以命族. ……(中略)…… 曾祖子遊, 祖太祚, 竝任莫離支. 父蓋金, 任太大對盧. 乃祖乃父, 良冶良弓, 竝執兵鈐, 咸專國柄. ……(中略)…… 年始九歲, 卽授先人, 父任爲郞. 正吐入榛之辯, 天工其代, 方昇結艾之榮. 年十五授中裏小兄, 十八授中裏大兄. 年廿三改任中裏位頭大兄. 廿四兼授將軍, 餘官如故. 廿八任莫離支, 兼授三軍大將軍, 卅二加太莫離支, 摠錄軍國, 阿衡元首. ……(中略)…… 公情思內款, 事乖中執. 方欲出撫邊甿, 外巡荒甸, 按嵎夷之舊壤, 請羲仲之新官. 二弟產⋅建, 一朝兇悖, 能忍無親, 稱兵內拒. 金環幼子, 忽就鯨鯢, 玉膳長筵, 俄辭顧復.


公以共氣星分, 旣飮淚而飛檄. 同盟雨集, 遂銜膽而提戈. 將屠平壤, 用擒元惡. 始達烏骨之郊, 且破瑟堅之壘, 明其爲賊, 鼓行而進. 仍遣大兄弗德等奉表入朝, 陳其事迹, 屬有離叛, 德遂稽留. 公乃反旆遼東, 移軍海北, 馳心丹鳳之闕. 飭躬玄菟之城, 更遣大兄冉有重申誠効. ……(中略)……


乾封元年, 公又遣子獻誠入朝. 帝有嘉焉, 遙拜公特進, 太大兄如故, 平壤道行軍大摠管兼使持節按撫大使, 領本蕃兵, 共大摠管契苾何力等相知經略. 公率國內等六城十餘万戶書籍轅門, 又有木底等三城希風共款, 蕞尒危矣, 日窮月蹙. 二年奉勅追公入朝. 總章元年, 授使特節遼東大都督上柱國玄菟郡開國公, 食邑二千戶, 餘官如故. 小貊未夷, 方傾巢䴏之幕, 大君有命, 還歸蓋馬之營. 其年秋奉勅共司空英國公李勣相知經略, 風驅電激, 直臨平壤之城, 前哥後舞, 遙振崇墉之堞. 公以罰罪吊人, 憫其塗地. 潛機密搆, 濟此膏原, 遂與僧信誠等內外相應, 趙城拔幟. ……(中略)……以儀鳳四年正月廿九日, 遘疾薨於安東府之官舍, 春秋卌有六.


「泉男生墓誌銘」



공(公)의 성(姓)은 천(泉)이고, 휘(諱)는 남생(男生)이며, 자(字)는 원덕(元德)이다. 요동군(遼東郡) 평양성(平壤城) 사람이다. 그 선조는 본래 샘에서 나왔으니, 애초에 영혼이 잉태됨으로써 복을 받은 것이다. 마침내 태어난 유래로써 가계의 이름을 붙였다. ……(중략)…… 증조(曾祖)는 자유(子遊)이고, 조부는 태조(太祚)로 모두 막리지(莫離支)를 역임하였다. 부친은 개금(蓋金)으로 태대대로(太大對盧)를 역임하였으니, 조부나 부친이나 가업을 이어 모두 병권(兵鈐)을 잡고 나라의 권력을 독점하였다. ……(중략)…… 나이 겨우 9세(642)에 이미 선인(先人)을 수여받았고, 부친의 음덕으로 낭(郞)이 되었다. 진예(榛穢)에 입문해 바른말을 하는 것에 조리가 있었으니 하늘의 일을 대신한 것이었고, 정치를 바로잡는 영예에 오를 수 있었다. 나이 15세(648)에 중리소형(中裏小兄)을 수여받았고, 18세(651)에 중리대형(中裏大兄)을 수여받았다. 나이 23세(656)에 중리위두대형(中裏位頭大兄)에 전임되었다. 24세(657)에 장군(將軍)을 겸하여 수여받았는데 다른 관직은 이전과 같았다. 28세(661)에 막리지(莫離支)에 임명되었고, 삼군대장군(三軍大將軍)을 겸하여 수여받았으며, 32세(665)에 태막리지(太莫離支)를 더하여 받아 군사와 나라의 정치를 총괄하였으니, 최고위 재상이었다. ……(중략)…… 공은 일의 어그러짐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이에 변경의 백성에게 나아가 위무하고 변경 지역을 순행하며 우이(嵎夷)의 옛 영토를 안무하고 희중(羲仲)과 같은 새로운 관직을 요청하고자 하였다.1) [그런데] 두 아우 남산(男産)과 남건(男建)은 하루아침에 흉학하고 패악해져 병력을 일으켜 안에서 항거하였다. 금가락지 낀 어린 아들은 무고하게 살해되었으니, 좋은 음식이 차려진 연회의 자리에서 문득 부모가 자식을 보살피는 것이 멈추어졌다.


공은 형제의 관계가 무너졌다고 여기고, 이윽고 눈물을 흘리며 격문을 급히 보냈다. 동맹(同盟)이 비처럼 모이니 마침내 분연히 창을 들었다. 장차 평양을 무너뜨려 악의 근원을 사로잡고자 하였다. 먼저 오골(烏骨)의 교외에 이르렀고, 또한 크고 견고한 성루(城壘)를 격파하였으며, 그 적을 없애고 북을 치며 행진하였다. 그리고 대형(大兄) 불덕(弗德) 등을 보내 입조하여 표를 올리도록 하고, 그동안의 행적을 아뢰려고 하였는데, 마침 내부에서 이반(離叛)이 있어 불덕은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공은 이에 요동에서 군사를 돌려 군대를 해북(海北)으로 옮겼지만, 마음은 황제의 궁궐로 달려가고 있었다. 현도성(玄菟城)에서 몸을 삼가면서 다시 대형(大兄) 염유(冉有)를 보내 거듭 정성스러움을 알렸다. ……(중략)……


건봉(乾封) 원년(666)에 공은 다시 아들 헌성(獻誠)을 보내어 입조하도록 하였다. 황제는 기뻐하며 멀리서 공에게 특진(特進), 예전과 같은 태대형(太大兄) 평양도행군대총관(平壤道行軍大摠管) 겸 사지절(使持節) 안무대사(按撫大使)를 제수하여 고구려[本蕃]의 군대를 이끌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대총관 계필하력(契苾何力) 등과 경략을 맡아 보도록 하였다. 공은 국내성(國內城) 등 6성(城)과 10여만 호(戶)의 서적(書籍)과 군대를 이끌었으며, 또한 목저성(木底城) 등 3성(城)이 교화를 바라며 정성을 함께하니, [이로써] 적은 위태로워졌으며 나날이 궁박해져 갔다. [건봉] 2년(667)에 조서를 받들어 공이 입조하였다. 총장(總章) 원년(668)에 사지절(使特節) 요동대도독(遼東大都督) 상주국(上柱國) 현도군개국공(玄菟郡開國公)을 제수 받고, 식읍(食邑) 2000호(戶)를 받았으며, 나머지 관직을 이전과 같이하였다. 적이 정차 기울어지려고 하였는데, 천자의 명이 있어 개마(蓋馬)의 군영에서 되돌아왔다. 그해 가을, 조서를 받들어 사공(司空) 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과 경략을 책임지고 바람과 번개처럼 달려가 곧바로 평양성에 임하였으니, 앞뒤로 노래 부르고 춤추며 높은 성채를 요동치도록 하였다. 공은 죄인을 벌하고 백성을 위문하고자 생각하여 그 참혹한 죽음을 불쌍히 여겼다. [그리하여] 은밀히 기회를 보아 이 백성과 땅을 구제하고자 하니, 마침내 신성(信誠) 등이 내외에서 상응하였고, 성에 올라 기를 뽑았다. ……(중략)……


의봉(儀鳳) 4년(679) 정월 29일에 [공이] 병을 얻어 안동부(安東府)의 관사(官舍)에서 돌아가시니, 춘추(春秋) 46세였다.


「천남생묘지명」



이 사료는 연개소문(淵蓋蘇文, ?~665?)의 장남 연남생(淵男生, 634~679)의 묘지명 중 일부다. 묘지명에서는 당 고조(高祖) 이연(李淵, 565~635)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연남생을 ‘천남생(泉男生)’이라고 하였다. 이 묘지명은 당 고종(高宗) 의봉(儀鳳) 4년(679)에 만들어졌으며, 왕덕진(王德眞)이 찬하고 구양통(歐陽通)이 썼다. 1922년 1월 20일 중국 하남성 낙양시의 북쪽 교외(郊外)인 맹진현 동산 영두촌에서 출토되었는데 비문은 해서체로 47행(行)이며 각 행마다 47자가 있다. 현재 중국 하남성 정주시(鄭州市) 하남박물원(河南博物院)에 소장되어 있다. 이 묘지명은 연개소문 가문의 내력과 고구려 말기의 정치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자료로 주목된다.


먼저 연개소문 가문이 천(泉), 즉 연(淵)을 성(姓)으로 삼은 이유가 흥미롭다. 『신당서(新唐書)』 「고려전(高麗傳)」을 보면, 연개소문이 “스스로 물에서 태어났다”라고 말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사료를 보면 그 이유가 그의 출생 때문이 아니라 가문의 시조 설화 때문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물과 관련한 설화는 고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찾아볼 수 있는데, 왕실과의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 점은 연개소문 가문이 신흥 귀족이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예컨대 모두루(牟頭婁, ?~?)나 고자(高慈, 665~697)의 묘지명을 보더라도, 비교적 유서가 깊은 귀족 가문은 자신들의 시조가 고구려의 건국과 발전에 기여한 사실을 강조한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사료에서 연개소문 가문은 남생을 기준으로 증조부터 나오는데, 증조와 조부는 막리지(莫離支)를 역임했다고 밝혔다. 막리지는 고구려 제2관등인 태대형(太大兄)이다. 이 점에서 연개소문 가문은 적어도 6세기 후반 무렵에는 고급 귀족 가문으로 정착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남생의 조부가 역임한 관직이 막리지로 나오는 점은 논쟁의 대상이다. 『신당서』를 비롯한 문헌 기록에 따르면 남생의 조부, 즉 연개소문의 부친은 대대로(大對盧)를 역임했다고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묘지명에 연개소문의 관직이 태대대로(太大對盧)로 나오는 점도 논란거리이다. 각종 문헌 기록에는 연개소문이 정변을 통해 집권하고 막리지를 역임한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이렇듯 「천남생묘지명(泉男生墓誌銘)」은 기존의 문헌 자료와 내용상 차이가 적지 않은데, 이를 통해 고구려 말기의 최고위 관직 내지 관등으로 알려진 대대로와 막리지의 성격과 관계를 해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 사료는 고구려의 멸망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주목할 점이 많다. 사료에 따르면 남생이 변경 지대로 순행을 나가기 전부터 대내외적으로 여러 문제에 봉착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으며, 남건(男建, ?~?)과 남산(男産, 639~702)을 진압하기 위해 봉기한 과정도 여러 문헌 기록에는 보이지 않는 정황이 비교적 자세히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평양성 함락에서 승려 신성(信誠)과의 내응을 남생이 주도하였다고 한 사실도 눈길을 끄는데, 이는 최근 신성과 함께 내응한 고요묘(高饒苗, ?~673)의 묘지가 발견되며 향후 구체적인 비교⋅검토가 요청되고 있다.


이처럼 「천남생묘지명」은 고구려 말기 정치사 연구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로 지금까지 논의의 중심에 있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사료를 읽을 때는 「천남생묘지명」이 어디까지나 남생의 입장에서 기록된 자료임을 유념해야 한다. 이 사료에서는 남생의 모든 행위가 도덕적이고 필연적이었음을 강조하는데, 이는 역사적 사실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고구려 유민 고요묘 묘지 검토」,『한국고대사연구』56,김영관,한국고대사학회,2009.

「고구려 붕괴 후 그 유민의 거취 문제」,『한국고대사연구』33,김현숙,한국고대사학회,2004.

「묘지로 본 재당 고구려 유민의 조선(祖先)의식 변화」,『대구사학』100,이문기,대구사학회,2010.

『고구려사 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고구려 정치사 연구』, 임기환, 한나래, 2004.


관련 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gskh_006_0010_0010_002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