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10_0030_0030_0010_0010



(1) 발해유민과 발해유예

신편 한국사 > 고대 > 10권 발해 > Ⅱ. 발해의 변천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遺民(유민)의 사전적 의미는 “없어진 나라의 남아 있는 주민”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발해유민이란 발해국이 멸망한 후 남아 있었던 그 주민이다. 그런데 이들 발해유민은 그들의 처신과 행방에 따라서 다섯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거란 침략자를 피해 거란의 통치력이 약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거나 인접국에 投化(투화)164)하였던 무리들이다. 이들은 大光顯(대광현) 등과 같이 대부분 고려로 이동하였는데 대다수가 ‘발해’사람이었으나, 발해가 멸망한 뒤 어느 시점부터는 ‘발해’가 아닌 ‘契丹(거란)’이나 ‘女眞(여진)’사람으로≪高麗史(고려사)≫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둘째, 발해가 멸망한 후에 거란에 협조하였던 지배층 유민들이다. 이들은 거란의 힘에 굴복하여 거란의 협조자가 되었으며, 고려·거란과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고, 두 나라 사이의 전쟁에서는 거란군의 장군으로서 피지배 발해유민들을 통솔하기도 하였다. 셋째, 거란에 지배를 당할 수밖에 없었던 피지배층 유민들이다. 발해시대에 이들은 발해 왕실에 납세의 의무를 지고 있던 피지배층들이었다. 그들은 생활의 근거지를 박차고 과감히 고향을 떠나지도 못하던 무리들로서 이들은 분명 두번째 유민들과는 구별된다. 이들은 기록에서 주로 ‘거란’이나 ‘熟女眞(생여진)’ 등으로 등장한다. 넷째, 거란과의 관계에서는 반독립적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들의 생존과 관련된 실리를 추구하며 대처했던 유민들이다. 주로 고려와 관계가 깊었던 ‘生女眞’(생여진) 부락들이 여기에 속한다. 여진은 흑수말갈과 발해유민의 통칭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165) 다섯째, 발해국의 옛 강토 안에서 발해 부흥을 위하여 거란과 맞서거나 대항해 싸웠던 유민들이 있었다. 이들은 後渤海(후발해)와 定安國(정안국)을 건설하기도 하였고, 발해 멸망 후 100년이 지나서도 興遼國(흥요국)과 大渤海國(대발해국)을 세우기도 하였다.


발해유민에는 발해시대의 지배층이나 피지배층 모두가 그 범주에 포함되지만, 발해국 멸망 후 발해유민의 의미라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위에서 분류된 두번째 이후의 유민들 중에는 이민족인 거란의 지배 밑에 들어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발해사람임을 포기하고 ‘거란’사람이 된 자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비록 거란이나 여진사람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발해의 문화를 계승하고 있었다. 따라서 발해유민의 실상 파악문제는 그렇게 쉽지가 않다. 발해가 멸망한 직후 발해인으로서 국가 의식이 비교적 강했다고 할 수 있는 사람들과, 발해에 대한 의식이 사라졌거나 약화되었던 후대의 발해계 ‘거란’사람 등은 일단 구별해야 할 것이다. 즉 전자는 좁은 의미의 발해유민이고 후자는 渤海遺裔(발해유예) 또는 발해계 거란인이나 발해계 여진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발해유민이나 발해유예는 모두 넓은 의미의 발해유민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164) ≪高麗史(고려사)≫등에는 발해인들이 ‘來投’(내투) 즉 와서 투화하였다고 전한다. 이 용어는 현대적 의미로 ‘投降’(투항) 내지 ‘歸化’(귀화)이며, 정치적 ‘亡命’(망명)의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65) 金渭顯,<完顔部의 女眞統合策>(≪靑坡盧道陽博士古稀紀念論文集≫, 1979, 4쪽 ;≪遼金史硏究≫, 裕豊出版社, 1985).

韓圭哲,<高麗 來投·來住 女眞人-渤海遺民과 관련하여->(≪釜山史學≫25·26, 1994).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