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4_0010_0010


농안 농안고성(農安 農安古城 ; 農安縣城)


https://earth.google.com/web/@44.42609507,125.17600385,194.79176906a,5013.56505959d,35y,-0h,0t,0r


시대 : 부여, 고구려, 발해

지역 : 농안(農安縣)

 


구조특징


평지성이며 방형임. 둘레는 3,840m이고 성문이 4개, 작은 문이 3개 있으며 성벽의 네 모서리에 각루가 있음. 많은 건물지, 재 구덩이가 발견되었으며 석관묘도 발견되었음.

 


역사적 의미


1) 후기 부여의 왕성 및 고구려와 발해의 부여부설


농안고성은 부여국에서 처음 축조한 것으로 후기(346년) 부여의 왕성임. 고구려와 발해 시기에는 부여부로 불리워졌으며 요나라가 발해를 멸망시킨 후에는 黃龍府(황룡부)로 개칭하였음. 금나라가 요나라를 멸망시킨 후에 황룡부를 濟州(제주)로 개칭하다가 금 世宗 大定(세종 태정) 29년(1189년)에 다시 隆州(륭주)로 개칭하였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7].


2) 후기 부여의 왕도 및 발해 부여부 소재지, 발해 말기의 고성지설


-농안고성은 부여가 쌓은 것으로, 후기에는 부여의 왕도가 있던 곳임. 현재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농안고성은 발해국시기 부여부의 소재지였고, 또한 서쪽으로 거란을 방비하는 중요한 군사시설이었다고 인식함.


만약 학계에서 고증한 발해 부여부가 바로 지금의 농안고성지임이 틀림없다면, 농안 부근에도 발해국의 고성 또는 기타 유적이 존재할 것임. 발해 서부지역의 강역 문제와 그 문화 유적에 관한 고고학적 증거는 매우 불충분하지만 발해의 서쪽이 거란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었고, 아울러 항상 정예군을 주둔시켜서 수비했다는 사실에 근거하면 지금의 길림성 농안, 부여 일대 고성 유적 중에서 치(馬面/마면)가 없는 소형 고성지가 바로 발해의 서쪽에 설치한 방어시설일 것으로 추정됨. 이러한 문제는 차후 고고발굴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므로 지금은 발해말기의 고성지로 잠정 결론을 내림[김진광, 2012]


3) 고구려 천리장성의 시발점설


영류왕은 수나라와의 싸움에서 승리한 기념으로 세운 京觀(경관)을 철폐한 후,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왕14년(631)에 長城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연개소문의 감독하에 16년 만에 마치었다고 하였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천리장성의 시발점을 길림성 농안의 고성으로 보고 있다. 현재 농안현에 있는 농안고성을 비롯한 萬金塔古城(만금탑고성), 廣元店古城(광원점고성) 등 22개의 고성은 요·금대이후까지 활용되어 축성연대 측정이 어려운 편이므로 일대의 출토유물로 그 연대를 추측할 수 밖에 없다. 그 중에서 농안고성은 부여후기의 왕성으로서 고구려를 거쳐 발해·요·금 시대까지 이용되었으며, 출토유물이 한대인장(漢代印鑑)뿐 아니라, 금·원대의 것까지 나타나고 있다. 농안고성은 국내성보다 훨씬 컸으며, 부여후기의 왕성, 고구려·발해사의 夫餘府(부여부), 요의 黃龍府(황룡부)가 된 사실을 고려할 때 천리장성의 출발지로 손색이 없다 하겠다[신형식, 1997].

 


자연환경


농안고성이 자리잡은 곳은 남북 교통의 요충지로서, 강 옆에 성벽을 축조하였고, 높은 곳에 웅거하여 사방의 평야를 감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토지가 비옥하고 수원이 풍부해 고대의 병사를 두고 지킬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에 자리하고 있음.

 


유물정보

 

인장(官印), 동제 거울(銅鏡), 기자동상(銅象棋子), 동전(銅錢), 토기(陶器), 토제 건물 장식물(陶建築飾件), 玉器, 鐵器, 瓷器 등 수백 점이 출토됨(國家文物局, 1993).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7, 『農安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會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李健才, 1991, 「唐代高麗長成和扶餘城」『民族硏究』1991-4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신형식, 1997, 「高句麗千里長成의 硏究」『백산학보』49

· 지승철, 2005, 『고구려의 성곽』, 사회과학출판사

· 김진광, 2012, 『북국 발해 탐험』, 박문사



농안 농안고성 지리위치도1


농안 농안고성 지리위치도2

농안고성 평면도


출토유물



관련글

고구려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부여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6630

발해의 지방과 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4502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