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00_0010_0100


낭낭성산성(娘娘城山城)



https://bit.ly/3rUUAbI   https://bit.ly/399Y6Xi


형태사항


전체 둘레 : 3,500m

王綿厚/왕미앤호우/왕면후,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압록강우안고구려산성연구)『遼海文物學刊』1994-2: 3,500m; 

王禹浪/왕위랑/왕우랑·王宏北/왕홍베이/왕굉북,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고구려,발해고성지 연구회편)哈爾濱出版社: 4㎞;


내성 둘레 : 약 2,835m

劉兆田리/우자오티안/류조전·楊光/양광·董玉芹/동위친/동옥근, 1994,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수암낭낭성산성흥폐연대초탐)『遼海文物學刊』1994-2: 약 2.8㎞ 

6점 



출토지 


요녕성 안산시 수암현성 양가보향 낭낭성촌(와룡촌)(遼寧省 鞍山市 岫岩縣城 楊家堡鄕 娘娘城村(臥龍村))



조사내용


1962  안동시 시급(市級) 문물보호단위

1965  단동시 시급(市級) 문물보호단위

1982  단동지구 문물조사 때, 수암 경내에서 조기, 말기로 구분되는 대소 20여기의 고구려산성을 발견하였음, 동시에 고구려 시기의 묘장과 유물도 발견하였음. 이에 수암 만족자치현은 일찍이 고구려 민족의 주요 활동 구역의 하나임을 실증하였음(劉兆田·楊光·董玉芹, 1994,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遼海文物學刊』1994-2)

1988  성급(省級) 문물보호단위



구조특징


총 면적 약 8만여㎡. 성벽은 산능선을 따라서 축조하였고, 지세는 서북 양측이 높고, 남쪽이 약간 낮으며, 동쪽이 입구(山口)로 지세가 가장 낮음. 비스듬하게 경사진 모양을 띠며 안쪽이 낮고 바깥쪽이 높음.


성벽은 높이 3~5m, 아랫너비 4~5m, 윗너비 2.5~3m(國家文物局 主編, 2009,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 下/중국문물지도집, 요녕분책 하)라는 보고와 높이 4m, 아랫너비 5m, 윗너비 3m(劉兆田·/왕미앤호우/왕면후·楊光/왕광·董玉芹/동위친/동옥근, 1994,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수암낭낭성산성흥폐연대초탐) 『遼海文物學刊』1994-2), 잔고 3-5m, 평균 아랫너비 5m, 윗너비 약 3m(王禹浪/왕위랑/왕우랑·王文軼/왕웬이/왕문일, 2008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요동반도지구의 고구려산성)哈爾濱出版社)라는 보고가 있음.


외벽의 높이 약 3m로 외벽은 모두 크기가 50×30×20㎝ 내외(劉兆田·楊光·董玉芹, 1994,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 『遼海文物學刊』1994-2; 50×35×20㎝ 내외)인 쐐기형돌(楔形石)로 축조하였음. 성돌의 평평한 면을 밖으로 향하도록 하고, 입면(立面)은 가지런하며, 촘촘히 쌓아올렸는데 가로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며 빈틈이 없음. 안쪽은 북꼴돌(菱形石)을 맞물리게 끼워넣고 잔돌(碎石)로 채웠음.


성벽의 주요 재료는 방형의 청석(靑石)덩어리를 인공적으로 다듬어 축조하였음(王禹浪·王文軼, 2008,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出版社).


산능선의 기복에 따라 성벽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으며, 산능선이 오목한 곳에는 성벽을 축조하여 높이를 더하였음.


평면은 고리 모양(環形)(王禹浪/왕위랑/왕우랑·王宏北/왕굉북/왕홍베이,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회편 상; 불규칙한 형태). 내성과 외성, 즉 2개의 성으로 나누어짐.


성곽 시설로는 성문(5개), 성가퀴(여장), 치(馬面), 배수구(泄洪口;排洪口)와 저수지, 요망대. 기타설치물 등이 있음.


성문은 동문, 남문, 서문, 북문, 서남문의 5개가 설치되어 있다는 보고(王綿厚/왕미엔호우/왕면후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 (압록강우안고구려산성연구)『遼海文物學刊』1994-2)와 동, 남, 서, 북에 성문 4개라는 연구가 있음(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각 성문의 문 너비는 평균 약 3m이고, 동부 골짜기 입구가 정문임. 양측 문 기초의 대석조(大石條)는 지금까지 보존상태가 좋음. 동문의 벽체 기초 폭은 약 10m, 꼭대기 폭 6m, 잔고 8m임.


성가퀴(여장)의 위치는 남쪽 성문 동측 성벽에 축조되어 있음.


치(馬面)는 산성의 동남쪽에 3개 있음. 형태는 방형으로(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平臺式) 축조방식은 모두 쐐기형돌(楔形石)을 사용하여 쌓아 축조하였고 규모는 바닥 너비 5m, 길이 8m, 잔고 4m임.


배수구와 저수지는 정문 벽체의 기초 북측에, 바닥 부분에 돌을 쌓아 축조한 배수구와 저수지가 있음.


요망대는 북문 동측 성벽의 가장 높은 공제 지점에 위치하고, 원주형에 직경 6m, 높이 약 5m임. 축조방식을 보면 바깥 부분은 인공적으로 다듬은 쐐기형돌(楔形石)으로 축조하였고 내부는 잔돌(碎石)을 끼워 넣어 맞물리도록 채워 넣었음.


기타 시설물들로는 북문 서벽의 높은 언덕에 할석으로 쌓은 방형의 둘레 10m, 잔고 2m의 석축시설이 있음. 꼭대기 부분에 방형으로 쌓아올니 오목한 웅덩이가 몇 개 있는데 유사시 군사시설 장소로 추정됨.


성내시설과 유적으로는 건물지, 점장대, 초소, 수원, 적석묘가 있음.


골짜기(溝谷) 동남측 몇 군데에 대지가 있는데, 1987년 진흑과 돌(泥石)이 흘러 충돌했을 때 건물지의 일부가 드러났음.


점장대는 성안 서북쪽 산 정상부에 건물지가 있는데, 인공적으로 다듬은 석괴를 쌓아 축조하였는데 고구려 점장대일 가능성이 매우 큼.


초소는 외성의 산비탈아래 높은 대지상에 위치함. 인공적으로 쌓아올린 토석혼축의 건물 유적인데, 초소와 유사함.


골짜기(溝谷)쪽에 자연수원이 하나 있는데, 돌로 축조한 옛날 우물이 있음.


산성의 남부에 적석묘가 있음(國家文物局 主編, 2009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下)).


성내에서 비교적 다량의 붉은색 승문 암키와와 연화문 와당, 단지(陶罐), 철제 고리(鐵環), 鐵輨, 철제 화살촉(鐵箭镞)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음. 산성의 내성과 외성 사이의 산지가운데서 다량의 붉은색 연화문와당, 홍갈색 토기편 등 고구려 시기의 유물이 출토되었음(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역사적 의미


고구려 적리성(積利城)설이 있음(王綿厚,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1994-2).



자연환경


요녕성 안산시 수암현성(遼寧省 鞍山市 岫岩縣城) 남쪽 약 15㎞의 양가보향 낭낭성촌(와룡촌)(楊家堡鄕 娘娘城村(臥龍村)) 뒷산 위에 위치.


안산시 양가보진 양가보촌(鞍山市 楊家堡鎭 楊家堡村) 서쪽 400m에 위치(國家文物局 主編, 2009,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 (下)).


안산시 수암현 양가보진 낭낭성촌(鞍山市 岫岩縣 楊家堡鎭 娘娘城村) 뒷산의 산정상에 위치(요동반도 169쪽).


수암현 남쪽 12㎞ 양가보진 낭낭성촌(楊家堡鎭 娘娘城村)의 의형산(椅形山)의 산정에 위치(王禹浪·王宏北, 1994, 『高句麗·渤海古城址 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산성의 산세는 서북쪽이 험준하며 동남쪽이 낮고 완만한 의자모양(椅形)을 띰. 내성, 외성의 남측 산 아래에서 와룡하(臥龍河)가 대양하(大洋河)로 유입됨.


 

유물정보

 


붉은색승문암키와(紅色繩文板瓦) 1점, 붉은색연화문와당(紅色蓮花紋瓦當) 1점, 단지(陶罐) 1점, 철관(鐵輨) 1점, 철제화살촉(鐵箭镞) 1점, 홍갈색토기편(紅褐色土器片) 1점


 

참고문헌


· 陳大爲, 「遼寧境內高句麗遺跡」『遼海文物學刊』 1989-2, 1989

· 楊永芳·楊光, 「岫岩境內五座高句麗山城調査簡報」『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劉兆田·楊光·董玉芹,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劉兆田·楊光·董玉芹, 「岫岩娘娘城山城興廢年代初探」『中國考古集成』 東北卷 兩晉至隨唐(二), 北京出版社, 1996

· 王綿厚,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辛占山, 「遼寧境內高句麗城址的考察」『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哈爾濱出版社, 1994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 1995-3, 1995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高句麗渤海硏究集成』 高句麗 卷(三), 哈爾濱出版社, 1997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王禹浪·王文軼,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 哈爾濱出版社, 2008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下), 西安地圖出版社, 2009

· 王禹浪·王文軼·王宏北, 「遼東半島高句麗山城槪述」『黑龍江民族叢刊』 2010-2, 2010

· 王禹浪·王文軼, 「鞍山地區山城研究」『黑龍江民族叢刊』 2012-2, 2012

· 王禹浪·王文軼, 「丹東市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學院學報』 2012-3, 2012




수암 낭낭성산성 지형도


수암 낭낭성산성 평면도



관련글
낭랑산성/낭낭산성  https://tadream.tistory.com/4309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