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보 취소만으로 지킬 수 없는 내성천
[시사비평-박병상]
2012년 04월 17일 (화) 08:11:37 박병상  brilsymbio@hanmail.net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정리에 위치한 해발 1236미터의 선달산에서 기원해 문경시 영순면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내성천은 109,5킬로미터에 이르는 낙동강 지류다. 선달산 남쪽 계곡에서 봉화읍을 흐르다 영주시 평은면과 문수면을 지나는 내성천은 모래를 품으며 크고 작은 산을 휘감아 돌다, 여기저기 모래톱을 남긴다. 낙동강은 내성천이 있기에 을숙도 인근까지 모래를 넓게 펼쳐놓았고. 우리는 사시사철 맑은 물을 내성천과 낙동강에서 마실 수 있었다. 다른 강도 마찬가지다. 

고생대를 거치며 풍화된 백두대간의 화강암은 계곡을 휘감아 흐르는 강물을 타고 하류로 흘렀다. 어쩌다 퍼붓는 빗물은 거침없는 격류가 되어 상류에 커다란 바위를 이리저리 포개놓았고, 흐름이 멈칫하는 중상류의 편평한 바닥에 호박돌과 자갈을 흩뿌려 놓았다. 지천들이 모이며 속도가 줄어든 강물은 이리저리 감돌며 여기저기 금모래와 은모래를 쌓았는데 내성천이 단연 으뜸으로 아름답다. 모래보다 곱게 풍화된 흙은 완만한 하류를 타고 하구를 빠져나가 드넓은 갯벌로 쌓였고 을숙도에 쓰레기매립장이 생기고 하구언으로 하구가 막히기 전까지 아시아 최대 철새 도래지가 되었다.

▲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해 2011년 3월 26일 "우리에게 '많은 물'이 아니라, '맑은 물'이 필요하고, 인공수로의 강이 아니라, 살아있는 강을 원한다"는 'SOS 퍼포먼스 프로젝트'가 내성천 회룡포 앞 백사장에서 진행됐다.ⓒ 박용훈

약수처럼 마시던 맑은 내성천 물, 모래 때문 
국지성 호우 물풍선처럼 터지면... 다시 돈 버는 토건업자 

내리는 빗물의 3분의2가 여름 한철에 집중되는 우리나라는 국토의 65퍼센트가 경사가 급한 산지다. 따라서 빗물이 집중될 때 강둑까지 넘실거리며 흐르는 강은 갈수기에 바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래도 물길이 끊어지지 않는 건 모래가 있기 때문이다. 석영, 장석, 운모로 구성된 화강암 모래가 강물을 따라 흐르며 닳아 작은 틈을 만들면 거기에 미생물과 식물성 플랑크톤이 서식하며 강물의 유기물을 정화한다. 그런 까닭에 모래톱을 지나는 강물은 언제나 맑다. 그뿐 아니라 모래 사이의 틈에 머금은 강물은 갈수기에도 강을 적셔준다. 

함박눈이 푹신한 어느 겨울. 내성천 모래밭을 덮은 눈밭을 뒹굴던 한 무리의 사람들은 유리 같이 맑은 살얼음을 깨고 무슨 약수나 되는 듯, 차가운 내성천 강물을 벌컥벌컥 마셨다. 흡족해하는 일행에게 안내하던 현지인은 상류에 축산단지가 있다는 걸 나중에 알려주었는데, 아무도 탈이 나지 않은 건 내성천에 흐르는 모래 덕분이었다. 그 모래가 상류에서 더는 보충되지 않는다면? 내성천의 아름다움과 정화능력은 오래지 않아 상실될 것이다. 내성천의 모래가 하류로 내려가지 못한다면? 낙동강을 흐르는 강물의 질은 머지않아 악화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낙동강의 흐름을 8군데에서 거대하게 가로막는 4대강 사업의 대형 보들은 강물의 흐름을 차단한다. 그 만큼 모래의 이동도 멈추게 된다. 모래가 움직이지 않으면 모래 속 깊은 곳의 미생물과 플랑크톤은 산소 공급이 막히므로 죽어 썩는다. 대신 썩은 물이 고인 호수에 녹조가 거대하게 번지면서 급격히 탁해지며 산소를 더욱 잃고 마는 강물은 생물들로 다채로웠던 자신의 오랜 생태계를 단순하게 위축시킬 것이다. 강물이 아직 본격적으로 고이지 않은 낙동강이 벌써부터 그렇다. 내성천이 내려보낸 막대한 모래가 6미터 깊이로 사라졌을 뿐 아니라 일부는 흐름을 멈추고 쌓이면서 낙동강의 강물이 썩는다. 여름엔 끔찍해질 가능성도 있다. 예전에 없었던 일이다. 

흑사병과 콜레라가 돌아 희생자들이 전 유럽에서 감당할 수 없게 발생하였을 때, 화강암 모래가 쌓인 곳에서 강물을 마신 마을은 별 탈이 없었다. 우리나라는 강물을 그대로 떠 마실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다. 화강암 모래 덕분에 받은 복인데, 4대강 사업으로 가로막은 대형 보는 그냥 마실 수 있는 강물을 거액과 과도한 에너지를 들여 아무리 정화해도 마시는 이를 도무지 안심할 수 없게 만들 것이다. 사상 유래가 없는 일이다. 한데, 혹독했던 지지난 겨울에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대형 보는 부실할 수밖에 없다. 얼었던 콘크리트 속의 물이 녹으며 대형 보 안에 무수히 많은 틈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애초 예상한 대로라면, 화학약품으로 긴급 보수하는 대형보마다 1억 톤의 물을 가둘 텐데, 괜찮을까. 

기상대가 미처 예보하지 못한 국지성호우가 요사이 들어 그 정도가 심해지듯, 대형 보 상류에 물 풍선 터지듯 내린다면? 보는 붕괴될 수 있다. 미처 물을 빼내지 못한 보에 갑자기 몰려드는 강물의 압력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일 텐데. 상류의 보를 붕괴시킨 물이 노도와 같이 하류의 보로 몰려들면 그 하류의 보는 훨씬 강력해질 수압을 과연 견딜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도미노처럼 하류의 보들이 붕괴될 수 있다고 예견한다. 그 피해는 누가 입을까. 정부가 근사하게 그린 그림에 현혹돼 대형 보가 만든 호숫가의 땅을 사놓은 땅주인, 그 땅주인에게 땅을 빌려 관광사업이나 농사를 짓는 순진한 사람들이 호되게 당할 것이다. 물론 4대강 사업으로 한몫 챙긴 토건업자들은 얼씨구나! 돈 벌 기회를 다시 얻겠지.

▲ 내성천 회룡포 강가에서 노는 아이들 ⓒ한상봉 기자

영주댐 건설, 4대강 사업은 치수가 아니라 운하가 목적이다 

지난 3월 정부는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높이 2.7미터에 불과(?)한 삼강보 건설을 포기하겠다고 발표했다. 애초 정부와 경상북도는 내성천과 금천이 낙동강 본류와 만나는 삼강주막 일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182미터의 고무로 만든 보를 설치해 회룡포와 연계하는 관광벨트를 조성하려했다. 하지만 수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침수 우려를 이유로 환경청에서 불가 의견을 고수해 결국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거다. 그렇다면 높이가 10미터를 훌쩍 넘고, 고인 물의 깊이가 6미터 이상인 낙동강의 다른 보는 생태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걸까. 그럴 리 없지만, 삼강보 포기가 내성천의 위기를 어느 정도 구한 건 틀림없겠다. 하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다. 회룡포 하류의 성저보 계획은 공식 포기하지 않았다. 

강물이 휘감으며 아름다운 모래톱을 남기는 회룡포는 내성천의 백미다. 그 내성천의 모래는 요사이 시간이 갈수록 생명력을 잃어간다. 내성천에 공급되는 모래의 양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영주댐에 막혀 눈에 띄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거의 완공 단계에 있는 영주댐이 내성천 강물의 흐름을 완전하게 틀어막으면 내성천의 운명은 장차 어떻게 될 것인가. 유네스코 자연유산에 등재해도 될 정도로 빼어난 경관은 이후 종말을 고하고 말 가능성이 높다. 

영주댐은 왜 지어야 하나. 4대강 보에 고인 물을 장마철이나 국지성호우에 대비해 빼낸 뒤 충분한 비가 내리지 못할 경우, 보에 고인 물 깊이를 조절하려 한다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렇다면 4대강 사업은 치수가 아니라 운하가 목적이다. 운하가 아니라면 영주댐은 지을 이유가 전혀 없다. 대형 보의 치명적 문제를 고려할 때 머지않아 해체할 가능성이 높다는데 전문가들은 동의한다. 그렇다면 완공 여부와 관계없이 영주댐도 물을 담으면 안 된다. 낙동강에 기댄 생명은 토건업자뿐이 아니지 않은가. (지금여기, 2012.4.?) 

박병상 (인천 도시생태ㆍ환경연구소 소장)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