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iskc.d_0009_0030


낭랑산성(娘娘山城)

 

수암현(岫岩縣)에서 동남으로 15km 양가보향(楊家堡鄕) 낭랑둔(娘娘屯) 서쪽 ‘낭랑성산’에 자리잡고 있다. 대양하(大洋河) 유역에 분포한 여러 고구려성들 가운데 중심이 되던 산성이다. 서남쪽으로 산등성이에 의지하고, 동북으로는 대양하를 향하고 있다. 특히 대양하의 연안로는 사철하의 안시성과 연결되는 통로였다. 청(淸)나라 이전에는 황해로부터 대양하를 따라 수암현까지 배를 타고 왕래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로 보아 낭랑산성은 요동 방면에서 천산(千山)산맥을 거쳐 압록강 일대로 들어올 수 있는 주요 길목의 하나를 장악하던 산성이다.


산등성이를 따라 쌓은 석축의 성벽은 둘레 길이가 3.5km에 달한다. 내성과 외성의 구조를 보이는데, 2km 남짓한 외성은 남쪽에서 동쪽으로 가다가 북쪽으로 꺾여 내성의 바깥을 반원형으로 둘러싸고 있다. 성벽의 안팎은 다듬은 성돌로 쌓아올렸고, 벽체의 속을 채운 성돌이 안팎의 성돌과 견고하게 맞물렸다. 남아 있는 성벽은 겉면의 성돌이 빠져나가 속의 성돌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동서남북의 각 방면에 성문터가 남아 있고, 계곡의 입구를 가로막고 서 있는 동벽의 문터가 정문에 해당한다. 동문터에는 성안의 물을 바깥으로 내보내던 수문의 흔적도 남아 있다.


성벽의 동남 모서리에는 3곳에 걸쳐 치를 설치해 두었다. 성 안 남쪽 편에 대형의 돌무지무덤이 발견된 바 있다. 저수지도 한 곳 남아 있다. 외성과 내성 사이의 구간에서는 많은 고구려의 기와와 토기 조각이 나왔다.


이 성의 명칭은 청나라 시절 성 안에 세워진 낭랑묘에서 유래하였다. 일부 중국학자들이 고구려 당시의 적리성(積利城)에 비정하지만, 불확실하다.


낭랑산성의 전경(동→서, 1998)


남벽Ⅰ(1999)


동벽의 북쪽 구간(1999)


낭랑산성 표지판


남벽Ⅱ(1999)


동문터(1999)


봉화대(1999)

 

성벽의 축조방식(1999)



관련글

낭랑산성/낭낭산성  https://tadream.tistory.com/4309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