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6/09/06/200609060500018/200609060500018_9.html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6/09/06/200609060500018/200609060500018_11.html


‘오녀산성 = 졸본성’에 꿰어 맞추는 중국
[이정훈 기자의 ‘딥 인사이드’]
3년 전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 최초 폭로한 ‘신동아’의 현장 취재
광개토태왕비 앞에는 發福 비는 잔돈만 수북이…
2006.09.01 통권 564 호 (p328 ~ 353)



환용호에서 본 오녀산. 고구려의 첫 수도는 환용호에 수몰되었는지도 모른다. 견치석으로 쌓아올린 오녀산성 유적(작은 사진).


‘오녀산성 = 졸본성’에 꿰어 맞추는 중국

이 성벽 때문에 한국과 중국 일본 학자들은 오녀산성이 졸본에 도읍을 정한 고구려와 관련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과연 고구려가 이곳을 첫 도읍지로 삼았느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고구려를 포함한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두 개의 성을 쌓았다. 하나는 평상시 생활공간인 평지에 쌓는 ‘평원성(平原城)’이고, 다른 하나는 유사시 들어가 항전하는 ‘산성(山城)’이다.

이 원칙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한양에는 평시의 정치·생활 무대인 도성(都城)을 짓고, 유사시를 대비해서는 임금과 주민이 대피해 항전하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등을 지었다. 우리나라 학자들은 오녀산성을 적군이 쳐들어왔을 때 올라가 항전하는 산성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과거 일본 학자들은 이 성을 고구려의 왕실이 있던 도성으로 보았다.

중국이 오랫동안 만주 일대의 고구려 유적 공개를 거부해온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2004년 고구려 유적을 유네스코에 등록하고 난 다음부터는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유네스코에 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조건 중 하나가 유적을 발굴한 다음에는 일반인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구려 유적을 유네스코에 등록함으로써 중국은 만주에 있던 고구려는 중국 역사의 일부라는 것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셈이 되었다. 그리고 이곳을 공개해 한국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1석2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 지역에 있던 고구려가 중국사의 일부이면 이곳에서 살아온 중국 국적의 조선족도 중국인이 되어야 한다. 중국은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고, 털 뽑아 부채질까지 하고 있다.

한국인을 끌어들여 돈을 벌겠다는 중국의 의욕이 새로운 역사 왜곡을 낳고 있다. 즉 오녀산성 안에서 발굴된 모든 건물터를 고구려의 궁전터로 해석하는 오류를 낳은 것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건물터는 왕궁 유적으로 보기엔 턱없이 작다. 왕궁터가 아니라 도교를 믿는 사람들이 기도하기 위해 지은 건물터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한데 중국은 일일이 고구려 왕실의 건물터라는 설명을 붙여놓았다.

이 산성이 유사시 대피하는 곳이었다면 고구려는 이곳에 왕궁을 지을 이유가 없다. 왕궁은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평지에 건설했을 터인데 유감스럽게도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오녀산성 바로 곁에는 일제가 혼강을 막은 댐으로 생겨난 저수지 환용호(桓龍湖)가 있다. 오녀산 주위엔 고구려 시대의 무덤이 즐비한데, 환용호에 담수할 때 많은 무덤이 수몰됐다고 한다.

환용호에서는 유람선을 타고 나가 오녀산성을 바라보는 또 다른 관광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다. 어쩌면 평지에 지었던 고구려 최초의 도성은 환용호 아래로 가라앉았는지도 모른다.

중국은 목적을 정해놓고 유적을 발굴했다. 오녀산성이 고구려의 도성이라는 전제 아래 이곳을 발굴했기에 오녀산에서 나온 건물터 대부분에 고구려 왕궁터라는 설명을 붙여놓았다. 이러한 무리수는 도처에서 발견됐다.


오녀산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559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