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98722

[민족의 혼,고구려는 지금 (10·끝)] “北―中에 있는 유물 심각”
| 기사입력 2005-03-22 15:14 | 최종수정 2005-03-22 15:14

고구려사 전문가들은 국내에 산재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연구나 고구려사 전반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중국 및 북한과의 공동작업의 필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동북공정 문제 때문에 우리 학자들의 접근에 비협조적이고,북한 역시 남북 공동 발굴이나 연구에 소극적이어서 고구려 연구가 제자리걸음하고 있다는 지적이 9일 좌담회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고려대 최종택 교수는 “고구려 유적들이 사실상 북한과 중국에 집중돼 있지만 양쪽 모두 국내 사정이 여의치않아 유적이 방치되면서 훼손이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우 1960년대 지린성(吉林省) 지역 개발과 함께 발굴이 대대적으로 이뤄진 뒤 최근에는 동북공정에 따라 정부차원의 유적 정비가 진행중이다. 하지만 최 교수는 중국의 발굴 유적에 대한 이해나 관리 수준이 전체적으로 낮고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더욱이 중국측은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 이후 우리 학자들에 대한 벽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북한과의 공동 연구가 유력한 대안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대북 접촉을 추진 중인 고구려연구재단 김현숙 연구위원은 “통일 후 체계적 고구려 연구에 대비해 지금부터라도 열악한 북한 유적조사를 지원하고 공동조사를 추진해야한다”며 “그러나 북한은 경제·정치사정 때문인지 공동조사에 선뜻 응하지 않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최 교수도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고대사 전반에 대한 남북 공동연구가 필요하다”며 “그러나 북한 발굴 현장에서 쓰이는 도구는 우리가 1970년대 쓰던 삽이 대부분일 정도로 열악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분단 직후 고구려 유적을 대대적으로 발굴했다. 지난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서대묘와 동명왕릉 등도 1970년대 이전 발굴된 것이다. 하지만 당시 발굴은 정권의 정통성 확보라는 정치적 색채가 강했으며,경제 상황이 나빠진 1980년대 이후에는 고구려 관련 논문 수가 현저히 줄고 있고 문화재 훼손과 도굴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토지박물관 심광주 학예실장은 설명했다.

강주화기자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