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청와대, 국정원서 회의록 2차례 보고받아”
박영환 기자 yhpark@kyunghyang.com 입력 : 2013-06-27 22:22:33ㅣ수정 : 2013-06-27 22:22:33
여 관계자 “전문·발췌본 건네”
발췌본은 정치적 의도 의심도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두 차례에 걸쳐 청와대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27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2009년은 회의록 전문을, 2010년에는 회의록 발췌본을 각각 국정원으로부터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정원이 자료를 가져와서 보고를 했고 청와대가 회의록을 보관하지는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국정원이 이명박 정부 시절 정상회담 회의록을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증언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전 정권 청와대 관계자는 물론 이 전 대통령까지 회의록 전문 내용을 알고 있었다는 의미다. 이 전 대통령이 회의록에 나온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관련 언급 등을 보고 크게 화를 냈다는 전언도 들린다.
당시 청와대에 보고된 회의록 전문은 지난 24일 국정원이 기밀해제 후 공개한 전문과 내용이 일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국정원의 회의록 보고 배경에 대해 “당시에는 남북정상회담을 할 생각이 있었고 실제 준비도 하고 있었다”면서 “청와대 입장에서는 뭐가 어떻게 됐는지 알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 임태희 당시 대통령실장이 2009년 10월 싱가포르에서 김양건 북한 통일전선부장을 만나는 등 남북은 정상회담 문턱까지 갔었다. 하지만 사전 협상 과정에서 의견차로 회담은 성사되지 못했고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사건,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이 터지면서 남북관계는 파국으로 치달았다.
이 때문에 국정원의 2009년 회의록 전문 보고는 정상회담 준비용일 수 있지만, 2010년 보고는 다른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정상회담 준비용이라면 발췌본으로 보고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의 한 부분이다.
청와대가 이미 2009년부터 노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 발언 등 정상회담 회의록 내용을 알고 있었 정황이 확인된 만큼 대선을 준비하던 새누리당 관계자들에게 그 내용이 전해졌는지도 향후 논란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들에게 "복종의무" 강요하는 홍준표 - 노컷 (0) | 2013.06.28 |
---|---|
김을동, '盧 NLL 포기' 주장 듣고 "부인이 빨갱이라.." - 뉴시스 (0) | 2013.06.28 |
4대강 곡선 복원, 둠벙부터 살리자 - 한겨레 (0) | 2013.06.27 |
진선미 "국정원 정치개입 댓글 1000쪽 분량…원세훈시절 내내" - 시사인 (0) | 2013.06.27 |
'권영세 녹취록' 추가공개, "김무성 발언과 일치" - 뷰스앤뉴스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