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kr.blog.yahoo.com/shim4ro/2548 (삭제)
http://cafe.daum.net/alju/1OUI/114?docid=tiV51OUI11420080702204351 
* 야후 철수로 원문과 그림도 사라져서 구글 그림검색기능을 이용 적당히 짜집기해서 복원해 봤습니다. 쓸만하네요. 


연개소문의 반정에 대한 재고

현재 연개소문의 반정에 대한 평가는, 결과적으로 고구려의 멸망을 재촉하였다는 부정적 견해와, 고구려의 자긍심과 주체성을 지키기 위한 정당한 것이었다는 긍정적 견해가 있다. 


연개소문의 반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영류왕의 지나친 친당사대정책을 꼽고 있다. 실제 영류왕은 당나라가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봉역도를 받치는가 하면, 당나라의 요구에 굴복하여 수나라와의 전승 기념탑인 경관을 해체한 바 있다. 여기에 진대덕이란 인물의 정찰을 방조하고, 수나라와의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중국포로들을 송환한 것 조차 모두 영류왕의 책임으로 전가시키려는 입장도 있다. 그리고  연개소문이 추진하고 있던 천리장성 축조 중단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반정을 일으킨 것으로 이해되어 온 측면이 많다. 

하지만 영류왕은 그 무엇보다도 수나라와 20년간에 걸친 대립과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국력을 회복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였다. 또한 수나라 멸망이후 빠르게 중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통일왕조를 성립시킨 당나라에 대한 성향과 전력분석이 시급한 과제였다. 따라서 영류왕의 친당정책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으며, 그 자체로 고구려의 주체성에 심각한 훼손을 초래하였다고 보기는 힘들다.

우선 622년에 발생한 포로송환문제는 당나라의 요청에 의해 양국에서 1만명씩 상호 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오히려 영류왕의 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봉역도를 바친부분, 전탑을 허문 부분, 그리고 진대덕이란 인물에게 정탐을 허용한 부분인데 , 특히 돌궐의 가한 힐리가 잡힌 것을 기념하여 봉역도를 바친 부분은, 고구려의 주권을 훼손시키고 나아가 고구려의 군사기밀 정보를 유출시킨 실책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진대덕의 정탐행위에 대해서도 영류왕의 실책임은 분명하지만, 영류왕이 고의적으로 방관하거나 허용한것은 아니었다. 다만 진대덕이 정탐행위를 일삼았을 때, 나라 안 곳곳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주는 등 일선관리들의 무책임하고 무사안일한 행동은 지탄받을만한 것이었다. 비록 전쟁중은 아니었지만 당나라가 고구려를 끝없이 위협하고 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에, 관리들이 신경을 써 세심하게 관찰하였다면 진대덕의 정탐행위를 충분히 감지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 돌궐과 세력을 연합하여, 당나라를 공격하는것이 더 좋은 방법이 아니었겠냐는 관측은 역사감각이 떨어진 주장이라 할 수 있다. 위의 지도는 당나라 건국 초장기 시절 지도인데, 얼핏 세력의 면적만을 보면 마치 돌궐이 당나라와 대등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싶다. 그러나  돌궐은 부족단위의 세력이 곳곳에 흩어져 있는 형태였기 때문에 활동 면적이 넓었을 뿐, 부족과 부족을 하나위 단위로 묶을 만한 국가나 통일세력조차 없었다.

그런 가변적이고 언제 어떻게 변할지도 모르는 유목세력과 연합한다는 것은, 오히려 고구려의 국방에 위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광개토대왕시절 북연과 종족의 예를 나눈일이 있긴 하지만, 그 당시에는 고구려가 주변 유목민족의 힘을 완전히 앞도할 수 있었고, 또 북연과 혈맹관계 성립조건이 충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였다. 더욱이 당시 당나라의 힘은 돌궐과 고구려를 상대로 동시 양방향 전쟁을 수행할 수 있을만큼,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돌궐과의 연합은 고구려로서는 재고할만한 성격의 외교전략이 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는 연개소문 반정을 한 직접적인 이유에 대해, 천리장성 축조를 중단시켰기 때문으로 이해되어 온 축면이 많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영양왕이 연개소문에게 천리장성 축조를 강행시켰기 때문으로 본다. 그 기본적인 이유로는 삼국사기에 영류왕이 천리장성 축조를 중단시켰다는 언급이 전혀 없을뿐 아니라, 장성축조는 매우 힘들고 오랜시간이 걸리는 일이어서 귀족세력사이에 가장 꺼리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이 지도는 현재 공식사용되는 지도로, 개인의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 기록을 보다 자세히 보면, 영류왕은 재위 14년 봄 2월에 동북의 부여성에서 동남의 바다 즉 비사성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16년간의 공사끝에 이미 완공한 것으로 나와 있다. 즉 당나라에대해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지는 못하였지만, 선대왕인 영양왕의 유지를 받들어 꾸준하게 국방강화정책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천리장성의 방향을 동북에서 동남이라 기록함으로써, 당시 고구려 영토가 여전히 요서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게 해 준다. 

그런데 영류왕은 재위 말년인 25년에 돌연 연개소문에게 장성 감독을 명령하게 된다.  천리장성은 도읍 평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일뿐 아니라, 세부적인 공사나 수시로 해야되는 보강공사 정도는 남아있었겠지만 연개소문과 같은 대 귀족에게 맡겨질 공사는 아니었다. 이것은 사실상 연개소문을 중앙정권에서 밀어내려 하였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가뜩이나 영류왕의 온건정책으로 인해 강경파들의 입지가 좁아지는 상황에서, 강경파의 대표주자인 연개소문이 중앙권력에서부터 축출되자 무력대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또 삼국사기 열전을 보면 영류왕 측에서 먼저 연개소문을 제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보더라도 영류왕이 연개소문을 중앙권력에서 축출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천리장성 역사감독을 명령하였다는 예측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연개소문의 반정은 고구려의 주체성회복 차원에서보다는, 오히려  권력쟁탈전 측면에서 벌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물론 당태종 이세민이 내린 신하의 예 요구를 거부한점이나, 당의 사신 장엄이 조서를 받들라는 요구에 대해서도 강경하게 거부하여 고구려의 주체성을 드러냈다는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조차 순수한 의도로 한 것인지, 아니면 과격하고 위압적인 개인권력의 위세를 지키기 위해서였는지 의문이 들게 한다. 당의 무리한 요구를 거부한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당의 사신 장엄을 억류 구금한 행위는 다소 무리한 행위라고 비춰지기 때문이다.

만약 연개소문이 순수한 주체성과 자긍심 회복을 위해 혁명을 일으켰다면, 왜 무너뜨렸던 경관을 다시 복원하려 하지 않았는가? 또 당의 사신을 구금한 만큼 국제분쟁이 촉발될 것은 당연한 수순인데, 전력을 신라공략에 대거 투입시키는 등  일관성이 떨어지는 정책을 펼쳤다. 여기에, 고연수 고혜진등 뛰어나지 못한 왕족세력들을 군사지휘관으로 임명하는 등 인사권자로서의 역량 역시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그가 1인 독제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실력위주 보다는 세력위주로 인사를 고용하고 배치시켰다는 증거이다. 그가 살아있을 때 당나라의 침략을 모두 막아냈다고 선전하지만, 이것역시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 않다. 왜냐하면 당나라 군은 여러차례 평양성까지 육박하여 전쟁을 치뤘으며, 이는  사실상 전방의 전선이 붕괴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아무리 청야전술이니 유인책이니 하여도, 중앙에서 이 같은 전쟁이 벌어진다는 것 자체가 고구려로서는 매우 안 좋은 것이다.

비록 추측이긴 하지만, 연개소문은 자신의 안전을 지키고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전방의 주요병력을 사병화 시키거나, 중앙의 방어태세 강화를 위해 대거 이동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여파로 중앙에서 벌어진 전투에서는 훌륭한 승리를 할 수 있었지만, 전방에서 벌어진 전투에선 안시성을 제외하면 패전과 고전을 면치 못하였던 것이다. 비록 후대이긴 하지만 고려 무신정권이 성립하였을 때도 이같은 현상이 초래되었다.

그의 혁명이 순수한 것었다면 모든 권력은 보장왕에게 일임하고 자신은 최전방에 남아서 당나라의 대공세를 직접 막았어야 할 것이다. 결국 그의 정권장악은 최전방에  군사공백을 초래하였으며, 당나라의 침공이 충분히 예측되는 상황속에서도 신라공격을 단행하여 전력을 분산시켰다. 그리고 이것은 신라의 군사원조 요청에 결정적인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통일전쟁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국제정세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력을 분산시켜 전방에서의 전력약화를 초래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고구려 멸망의 가장 큰 원인은, 당나라의 일방적인 침공에 있는 것이지 연개소문의 반정이나 신라공격 자체에 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럼에도 연개소문의 반정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은, 반정자체의 정당성 문제가 아니라 이후 전개되는 미숙한 국제정세파악 능력과 안일한 인사정책및 권력계승 과정 때문이다.


연개소문 관련글
연개소문 관련글 목록 http://tadream.tistory.com/7852


고구려 27대왕 영류왕 관련글
영류왕(榮留王) - 한국역대인물,한국사DB,위키  
http://tadream.tistory.com/430
영류왕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429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73>제27대 영류왕(1)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2926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74>제27대 영류왕(2)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2927 
영류왕과 연개소문에 대한 평가는 달라져야 한다 - lucgodard  http://tadream.tistory.com/7011
연개소문과 영류왕의 정책 비교 - 이문규  http://tadream.tistory.com/7026
연개소문의 반정에 대한 재고 - 히스토리어  http://tadream.tistory.com/7300
살수대첩의 영웅 고건무 - 작은물고기  http://tadream.tistory.com/7330
<11>가련한 고구려 국왕 건무 - 국방일보  http://tadream.tistory.com/7854
고구려왕 일대기 (27대 영류왕) - jo29694631
  http://tadream.tistory.com/216  (비공개)
                                                             http://blog.naver.com/jo29694631/10109203941 (원문)  
 

고구려의 왕 목록 : http://tadream.tistory.com/218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