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youtube.com/watch?v=pjrztnwkNr4 
* 무상에 대해서는 아래 외에도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거북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 1 : 거북선의 인원 구성
제14회 이순신학술세미나 [이순신 正論 4 : 정진술 1] 
정진술 2012.04.25 

    [이순신 正論 4] 거북선에 대한 이해 1 : 거북선의 인원 구성  http://tadream.tistory.com/12476 
    [이순신 正論 4] 거북선에 대한 이해 2 : 임란기 거북선의 포 설치 위치  http://tadream.tistory.com/12477 
    [이순신 正論 4] 거북선에 대한 이해 3 : 이충무공전서 거북선도의 이해  http://tadream.tistory.com/12486
    [이순신 正論 4] 거북선에 대한 이해 4 : 거북선의 철갑문제  http://tadream.tistory.com/12494



거북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 목차

1. 거북선의 인원 구성
2. 임란기 거북선의 포 설치 위치
3. '이충무공전서' 거북선도의 올바른 이해
4. 거북선의 철갑 문제

서론

ㄱ. 인란기 혹은 조선후기 거북선에 대한 연구는 당시 거북선 승조원의 직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함.
ㄴ. 연구결과가 이 전제와 합치되지 않고 모슨이 발생되면 거북선에 대한 연구가 올바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음.
ㄷ.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은 이순신과 나대용의 장계에 의해서 125-130명.
 

1) 임란기 전선의 인원 구성 : 이순신 장계에서

구분 사공 전투원 노군 진무 훈도 기타
판옥선 선장(船將) 사공(沙工) 무상(無上) 사부(射夫) 방포장(放砲匠) 격군(格軍),
격괄군(格括軍)
사부진무(射夫鎭撫),
방포진무(放砲鎭撫)
도훈도(都訓導), 훈도(訓導) 分軍色,
箭匠?
거북선       사부(射夫) 방포장(放砲匠) 격군(格軍),
격괄군(格括軍)
     

ㄱ. <표>에서 임란기 거북선의 승조원 직무에는 확울 쏘는 사부(射夫)와 노를 젓는 격군(格軍)이 나타나며, 또한 거북선에서 포를 쏘았던 것도 분명한 사실이므로 판옥선과 같이 방포장(放砲匠)이 있었던 것도 명백함.

ㄴ. 이순신의 장계에는 이 세 직무 외의 직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후대의 기록으로 전체적인 직무 구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
 

2) 조선후기 전선의 인원 구성 : 비변사 등록, 숙종42년(1716) 10월 기사

구분  사공 전투원 노군 좌우포도장 합계
선직 무상 타공 요수 정수 사부 화포장 포수
귀선(龜船) 2 2 2 2 2 14 8 24 90 2 148
통영귀선(統營龜船) "" "" "" "" "" "" "" "" 100 "" 158

선직(船直) : 창고관리
무상(無上) : (아래 설명)
타공(舵工) : 키를 잡은 사람
요수(繞手) : 돛을 조작하는 사람
정수(碇手) : 선수에서 닻을 전담하는 사람.
사부(射夫) : 활을 쏘는 사람
화포장(火砲匠) : 포를 쏘는 사람
포수(砲手) : 조총을 쏘는 사람 (조선후기) 
노군 (櫓軍) : 노젓는 사람
좌우포도장 (左右捕盜將)

ㄱ. 방포장이 화포장으로 변경, 조총의 도입에 따라 포수(砲手) 추가 편성, 진무나 훈도 등 감독관들이 포도장으로 단일화.

ㄴ. 특히 포수를 제외하면 그 인원이 앞서 125-130명과 비슷함. 이로 미루어 보아 포수를 제외한 거북선의 직무와 인원은 임란 때와 비슷한 것으로 판단됨.

ㄷ. 선체 구조 해석과 밀접히 연관된 시대별 거북선 직무
     - 임란기 거북선 : 사부, 화포장, 노군
     - 조선 후기 거북선 : 사부, 화포장, 노군, 포수

*  조선후기에는 포수가 추가 


3) 무상(無上,舞上)

ㄱ. 무상(無上,舞上)의 임무에 대해서 지금까지 여러가지 추정이 있었음.

ㄴ. 범주(帆柱) 위에서 작업하는사람, 물긷는 사람, 돛대를 조작하는 요원, 물을 퍼내는 사람.

ㄷ. 무상의 용례로, 난중일기 정유년 기사에 "무상 김돌손을 시켜 요구(要鉤, 갈고리)로 낚아 선두(船頭)로 올렸다"라고 하여 무상이 선수에서 갈고리로 작업하는 사람을 나타냄.

ㄹ. 1979년 통영 발견 조선 후기 수군 문서에 의하면 선원의 직무가 船頭舞上, 繞手, 船尾沙工으로 구분되어 있어, 무상이 선수에서 일하는 선원, 즉 선수의 닻과 닻물레를 다루는 사람임.

ㅁ 1711년 통신사 임수간(任守幹)의 동사일기(東槎日記)에는 통사사선들의 선원 명칭에 沙工, 舞上繞手, 舞上碇手 각 1명이 포함.
- 통신사선은 매우 큰 배임에도 불구하고 요수가 1명이며 그 명칭이 무상요수라고 한 것을 볼때, 돛을 올리고 내일 때 물레를 이용하였음이 추정됨. 물론 무상정수는 선수에서 닻과 닻물레(碇輪)를 동시에 다루는 사람을 말함.


ㅂ. 이와 같은 검토 결과로서 '무상'의 우리말은 '물레를 작동하는 선원'의 명칭이며, 조선시대의 군선에는 대개 닻만을 다루는 정수(碇手)와는 별로도 선수에서 닻물레를 다루는 선원을 일컬음. 

 
거북선 관련글
임진왜란 군사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1518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