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8129.html  
* "현대인보다 뜨거웠던 사랑 - 한겨레21"에서 "기다림과 이별, 배려하는 사랑 아사달과 아사녀" 내용만 가져왔습니다.

기다림과 이별, 배려하는 사랑 아사달과 아사녀
현대인보다 뜨거웠던 사랑
[한가위별책-백제 깨어나다] - 동아시아의 디오게네스,백제인
국경을 초월하고 목숨마저 내던진 백제의 연인들
[2010.09.17 제828호]  백순화 백석대 교수·정보통신학부  

국경을 초월하고 목숨마저 내던진 백제의 연인들

오늘날 대중문화에서 사랑은 압도적인 소재다. 대중문화가 재현하는 사랑은 차고 넘치는 스펙터클이다. 스펙터클한 대중문화에 휩싸여 사는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이런 우문을 던질지도 모른다. 고대인도 사랑을 했을까? 빤한 대답이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사랑을 했다. 다만 사랑도 시대와 문화의 특성을 일정하게 반영한다는 점에서 고대의 사랑이 오늘날의 사랑과 똑같은 모습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스펙터클해야만 사랑은 아니다. 고대인은 지금보다 훨씬 지독한 사랑을 하지 않았을까?

신라인의 사랑 유형에는 지략과 화해의 사랑, 감응과 승화의 사랑, 경계를 초월하는 사랑이 있었다고 한다(최정선, <신라인들의 사랑>, 프로네시스, 2006). 그렇다면 백제인의 사랑은 어땠을까? 백제 설화로 전해오는 대표적인 사랑 이야기로는 잘 알려진 ‘무왕과 선화 공주’를 비롯해 안장왕과 한씨 미녀’ ‘도미 부인과 개로왕’ ‘아사달과 아사녀’ 등이 있다. 이 사랑 이야기들은 국경을 초월한 사랑, 신의와 정절의 사랑, 기다림과 이별·배려하는 사랑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한마디로 기꺼이 목숨을 거는 사랑이다.

기다림과 이별, 배려하는 사랑
아사달과 아사녀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의 소재가 되었다.석가탑을 창건할 때 김대성은 당시 가장 뛰어난 석공이라 알려진 백제의 후손 아사달을 불렀다. 아사달이 탑에 온 정성을 기울이는 동안 한해 두해가 흘렀다. 아사녀는 기다리다 못해 불국사로 찾아갔다. 그러나 탑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여자를 들일 수 없다는 금기 때문에 남편을 만나지 못했다. 아사녀는 날마다 불국사 문 앞을 서성거리며 먼발치로나마 남편을 보고 싶어했다.

이를 보다 못한 스님이 꾀를 내었다. “여기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자그마한 못이 있소. 지성으로 빈다면 탑 공사가 끝나는 대로 탑의 그림자가 못에 비칠 것이오. 그러면 남편도 볼 수 있을 것이오.” 그 이튿날부터 아사녀는 온종일 못을 들여다보며 탑의 그림자가 비치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무심한 수면에는 탑의 그림자가 떠오를 줄 몰랐다. 상심한 아사녀는 고향으로 되돌아갈 기력조차 잃고 남편의 이름을 부르며 못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탑을 완성한 아사달이 아내를 그리워하며 못 주변을 방황하고 있는데, 아내의 모습이 홀연히 앞산 바위에 겹쳐지는게 아닌가. 웃는 듯하다가 사라지고, 또 웃는 모습은 인자한 부처님의 모습이 되기도 했다. 아사달은 그 바위에 아내의 모습을 새기기 시작했다. 조각을 마친 아사달은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하나 뒷일은 전해진 바 없다. 후대의 사람들은 이 못을 ‘영지’라 부르고 끝내 그림자를 비추지 않은 석가 탑을 ‘무영탑’이라 했다.

백순화 백석대 교수·정보통신학부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