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100.naver.com/travelworld/themek/Yisunshin/pop_history.html
이순신 연표
이순신 장군 관련글 http://tadream.tistory.com/11513
이순신 연표
연도/연호 |
월일 |
나이 |
내용 |
1545년(인종 1) | 3월 8일 (양4월28일) |
1세 |
서울 건천동에서 덕수 이씨의 12대손으로 태어남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 1가 부근) |
1552년(명종 8) |
8세 |
어머니의 고향인 충청도 아산군으로 이사함 | |
1565년(명종 20) |
21세 |
보성군수 진의 딸 상주 방씨와 결혼함 | |
1567년(명종 22) | 2월 |
23세 |
맏아들 회 출생 |
1571년(선조 4) | 2월 |
27세 |
둘째 아들 울 출생 |
1572년(선조 5) | 8월 |
28세 |
훈련원 별과에 응시하였으나 시험 도중 말에서 떨어져 왼쪽 다리를 다쳐 실격함 훈련원 : 군사들의 인사, 고시, 훈련 등에 관여하는 관청 별과 : 나라의 경사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임시로 보는 시험 |
1576년(선조 9) | 2월 |
32세 |
식년무과에서 병과에 합격함 식년무과: 3년마다 정기적으로 무관을 뽑기위해 실시한 시험 |
12월 |
|
함경도 권관의 직책으로 국경수비대의 임무를 맡음 권관 : 변경의 수비를 맡은 작은 진보에 두었던 종9품의 수장 |
|
1577년(선조 10) | 2월 |
33세 |
셋째 아들 면 출생 |
1579년(선조 12) | 2월 |
35세 |
한성으로 돌아와 훈련원의 봉사가 됨 봉사 : 종8품의 벼슬로 훈련원 내의 최하위직에 속함. 이순신은 인사관계를 주로 담당함 |
10월 | 충청도 병마절도사의 군관이 됨.
병마절도사 : 각 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무관직 |
||
1580년(선조 13) | 7월 |
36세 |
전라좌수영 관내에 있는 발포에서 부대장격인 수군만호됨 발포 : 전라도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 수군만호 : 수군 조직은 수사 밑에 첨사와 만호라는 직책이 있었음. 만호는 종4품 |
1582년(선조 15) | 1월 |
38세 |
군기 경차관(조사관)인 서익이 발포에 와서 군기를 보수하지 않았다고 상부에 보고하여 수군만호에서 파직됨 |
5월 |
|
함경도 훈련원 봉사로 재임용됨 | |
1583년(선조 16) | 7월 |
39세 |
함경도 병마절도사인 이용 휘하의 군관이 됨 |
11월 |
|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훈련원 참군으로 승진함 참군 : 훈련원의 관직으로 정7품 |
|
11월 15일 |
|
아버지 이정의 사망으로 인해 관직을 쉬고 충청도 아산에서 3년상을 치름 | |
1586년(선조 19) | 1월 |
42세 |
사복시 주부에 임명됨 사복시 주부 : 사복시는 궁중의 가마·말·목장 등을 관장한 관청이며, 주부는 사복시에 속한 종6품 벼슬 |
1월 |
|
여진족 침략으로 인해 16일후 함경도 조산보 만호로 천거됨 조산보 : 함경도 경흥군에 있던 보로 국경지대에 위치하여 여진족의 침입이 잦았음 |
|
1587년(선조 20) | 8월 |
43세 |
함경도 두만강 부근에 위치한 녹둔도의 둔전관을 겸임함 녹둔도 둔전관 : 녹둔도의 농장을 관리하고 개척민을 보호하는 일을 하는 벼슬. 녹둔도는 함경도 선봉군 조산리에 있는 섬으로 두만강 부근에 있어 여진족의 침입이 잦았음 |
8월 |
|
여진족의 기습을 받게 되어 격퇴하였으나 이일의 무고로 파직되어 백의종군함 백의종군 : 장졸이 상관의 명령을 어기거나 실수를 했을 경우, 계급을 박탈하고 일개병졸로 강등시킨 다음 평민의 옷인 흰옷을 입고 나라를 위해 싸우게 함 |
|
1588년(선조 21) | 6월 |
44세 |
충청도 아산군 백암리로 낙향 |
1589년(선조 22) | 2월 |
45세 |
전라도 감사 이광 휘하의 조방장이 됨 조방장 : 부관에 해당하는 군관의 직책 |
12월 |
|
전라도 정읍현감이 됨(태인현감을 겸무함) 현감 : 지방행정관청의 장으로 읍장이나 면장 정도의 자리. 지방을 다스리는 수령 중에는 가장 낮은 직책으로 품계는 종5품 |
|
1591년(선조 24) | 2월 |
47세 |
진도 군수로 임명되나 부임전 가리포 수군첨사로 전임 발령. 군수 : 각 군의 우두머리로 종4품에 해당하는 지방 관직 가리포 : 지금의 완도 |
2월 13일 |
|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승진하고 얼마후 전라좌수영에 부임. 수군절도사 : 각 도 수군을 총지휘하기 위하여 두었던 정3품 외관직 무관 |
|
1592년(선조 25) | 4월 13일 |
48세 |
임진왜란 발발 |
5월 7일 |
|
옥포해전 승리 옥포 : 경상도 거제군 이운면 옥포리 |
|
5월 8일 |
|
적진포해전 승리. 가선대부로 승진 가선대부 : 종2품 아래의 직책 |
|
5월 29일 |
|
거북선의 활약으로 사천해전 승리. 왼쪽 어깨에 적의 탄환을 맞아 부상당함 |
|
6월 2일 |
|
당포해전 승리. 자헌대부로 승진 당포 : 경상도 통영군 산양면 삼덕리 자헌대부 : 정2품의 벼슬 |
|
6월 5일 |
|
당항포해전 승리. 기밀문서인 일본수군편성표를 노획함 당항포 : 경상도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
|
6월 7일 |
|
율포해전 승리 율포 : 경상도 거제군 장목면. 밤개라고도 함 |
|
7월 8일 |
|
한산도해전에서 적선 59척을 격파하였으나 조선군은 4척만 불타는 대승을 거둠. 정헌대부로 승진 정헌대부 : 문 ·무관에게 주던 직책으로 정2품 위의 직책 |
|
7월 12일 |
|
안골포해전에서 이억기와 수륙작전을 펼쳐 승리함 안골포 : 경상도 창원군 웅천면 안골리 |
|
8월 24일 |
|
여수를 출발해 전장으로 나감 | |
9월 1일 |
|
부산포해전 승리 | |
1593년(선조 26) | 7월 15일 |
49세 |
본영을 여수에서 한산도로 이동함 |
8월 15일 |
|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됨 삼도수군통제사 : 경상, 전라, 충청 3도의 수군을 지휘하고 통솔하는 삼남지방의 수군 총사령관 |
|
1594년(선조 27) | 3월 4일~5일 |
50세 |
당항포해전에서 적선 31척을 격파함 |
9월 29일~1일 |
|
장문포해전에서 적선 2척을 격파함 장문포 : 경상도 거제군 장목면 장목리 |
|
10월 1일 |
|
영등포해전에서 육군과 연계하여 바다와 육지에서 합동 작전을 실시함 영등포 : 경상도 거제군 장목면 |
|
1597년(선조 30) | 1월 |
53세 |
정유재란 발발 |
1월 21일 |
|
왜군이 거짓으로 꾸민 밀서를 그대로 믿은 조정에서 출동 명령을 내리나 이를 어기고 출동하지 않음 | |
1월 27일 |
|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됨 | |
2월 24일 |
|
한성으로 압송됨 | |
3월 4일 |
|
모진 고문을 받고 옥에 투옥됨 | |
4월 1일 |
|
투옥된 지 28일만에 출옥하여 권율휘하에서 백의종군함 | |
4월 11일 |
|
어머니의 사망 | |
7월 15일~16일 |
|
원균이 이끈 삼도수군이 칠전량해전에서 대패하고 원균 전사함 | |
8월 3일 |
|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 군사 120명과 전선 12척으로 전열을 정비함 | |
8월 29일 |
|
진도의 벽파진으로 진을 옮김 벽파진 : 전라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 |
|
9월 16일 |
|
명량해전에서 대승을 거둠. 당사도로 진을 옮김. 셋째 아들 면이 충청도 아산에서 왜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함 당사도 : 전라도 부안군 암태면 |
|
1598년(선조 31) | 2월 |
54세 |
통제영을 해남 우수영에서 고금도로 이동함 고금도 : 전라도 완도군 고금도 |
7월 16일 | 명나라의 수군도독 진린이 이끄는 수군 5천명과 합세함 | ||
11월 17일 |
|
노량해협에 왜군의 함대가 출몰함 | |
11월 19일 |
|
노량해전에서 대승을 거두나 유탄을 맞고 선상에서 전사. 우의정 관직을 받음. 맏아들 회도 선상에서 전사함 | |
11월 26일 |
|
일본군 부산포에서 완전 철수함. 전쟁 종결 | |
1599년(선조 31) | 2월 11일 |
|
충청남도 아산 금성산 아래 안장함 |
1604년(선조 37) | 10월 |
|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되고, 덕풍부원군으로 추봉되었으며, 좌의정에 추증됨 녹훈 : 훈공을 장부에 기록함. 추증 : 공이 많은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나라에서 그의 관위를 높여 주던 일 |
1614년(광해군 6) |
|
충청남도 아산시 음보면 어라산 아래로 이장함 | |
1643년(인조 21) |
|
충무라는 시호를 받음 | |
1706년(숙종 32) |
|
충청남도 아산에 현충사 건립 | |
1793년(정조 17) | 7월 1일 |
|
영의정에 추증됨 |
1795년(정조 19) |
|
《이충무공전서》완성. 규장각 문신 윤행임에 의해 편찬, 간행 됨. |
이순신 장군 관련글 http://tadream.tistory.com/11513
'조선 > 이순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순신은 일본에게도 군신 - 한겨레21 (0) | 2013.07.10 |
---|---|
[이순신2] 울돌목에서 불가능의 목을 치다 - 한겨레21 (0) | 2013.07.10 |
[이순신1] 이순신, 내부의 적과 싸우다 - 한겨레21 (0) | 2013.07.10 |
이순신 - 네이버 (0) | 2013.07.03 |
임진왜란 해전사 - 조선에는 이순신이 있었다. - Pgr21 (0) | 201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