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iskc.d_0003 
* 원래 제목 "자안산성(自安山城)[附적백송고성(赤柏松古城)], 나통산성(羅通山城)"를 지역명으로 바꿨습니다.

통화~휘발하 일대 고구려성


자안산성(自安山城) - [附적백송고성(赤柏松古城)]
나통산성(羅通山城)


통화~휘발하 일대 고구려성 위치도


통화(通化)지역은 혼강(渾江) 상류유역의 중심지이자, 부이강(富爾江) 상류에서 나고하(喇咕河)를 거쳐 집안(集安)지역으로 들어가고자 할 때 거쳐야 하는 요충지이다. 이 일대에는 고구려 초기의 것으로 여겨지는 돌무지무덤떼도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어, 일찍부터 고구려인들의 터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통화지역에는 교통로를 방어하기 위한 군사시설뿐 아니라 지역 지배와 관련이 깊은 통치거점이 세워졌다. 이와 관련하여 통화시 혼강변에 세워진 자안산성(自安山城)과 인근의 적백송고성(赤柏松古城)이 이 일대의 지방거점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이 일대에는 소형의 고구려성도 여럿 축조되었다. 부이강의 지류 삼과유수하(三棵楡樹河)의 의목수고성(依木樹古城)·남대고성(南臺古城)·태평구문고성(太平溝門古城)이나 나고하 유역의 영액포산성(英頟布山城) 등이 혼강 유역으로의 접근로를 봉쇄했던 것이다.

또한 통화는 고구려의 북변(北邊) 경영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었다. 고구려의 북변은 옛 부여(夫餘)의 땅이었다. 4세기 초, 늦어도 전연(前燕) 모용씨(慕容氏)의 부여 침입이 있던 346년에 앞서, 고구려는 부여의 원 중심지였던 현재 길림시(吉林市) 일대를 확보하였다. 기록에는 북부여(北夫餘)로 불리었던 지역이다. 당시의 왕도 국내성(집안)에서 북부여(길림 일대)까지는 통화에서 북상하여 휘발하 유역을 거쳐 북쪽으로 송화강(松花江)을 따라 나아갈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유하현(柳河縣)의 나통산(羅通山) 정상부의 높은 지대에 나통산성이 세워져 일대의 교통을 통제하였다. 



관련글

고구려 성 개관 - 동북아역사넷  https://tadream.tistory.com/32223
고구려 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04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