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7449
[단독] 2조 날린 NARL…“어쩔 수 없이 샀다, 실체 못밝혀”
뉴스K | kukmin2013@gmail.com 승인 2014.11.15 01:02:17 수정 2014.11.15 08:37:39
석유공사가 2조원에서 사서 100분의 1인 200억원에 팔아치운 캐나다 정유기업 날은 막대한 손실이 현실화된 MB 정부 자원외교의 실제 사례입니다.
석유공사가 2009년 날을 인수하기로 할 당시의 이사회 회의록에서 뉴스K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31_5615.jpg)
당시 강영원 사장은 “자신이 없지만 어쩔 수 없이 산다, 실체를 밝힐 수 없는 외부의 도움을 받았다”는 말로 이사들을 설득했습니다.
강신혜 피디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뉴스K가 새정치민주연합 부좌현 의원실을 통해 확인한 2009년 10월 29일 한국석유공사의 이사회 회의록은 MB 정부 해외 자원개발 사업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인 캐나다 하베스트사 인수 건이 승인되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17_5130.jpg)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18_5132.jpg)
회의록 말미에서 강영원 당시 사장은 대규모 인수 사업이 정부의 계획에 따라 진행됐음을 밝힙니다.
[강영원 당시 석유공사 사장(의장)]
“금 현재 그려져 있는 것처럼 이렇게 되어 있는 게 정부의 계획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계획대로 따라가고 있고요.”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19_5132.jpg)
당시 주무 부처 지식경제부의 장관이었던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최근 국회에서 책임론이 불거지자 석유공사의 해외투자는 공사의 자체 판단이었다고 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0_5132.jpg)
이사회 회의록에는 원래의 인수 계약에 하베스트 정유 자회사인 ‘날’을 추가하면서 12억 캐나다 달러, 당시 환율로 1조 6천억원의 거액이 더 들어가게 됐지만 기본적인 사업성도 확인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담겨 있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1_5132.jpg)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2_5132.jpg)
정유회사의 핵심인 리파이닝, 즉 정제 기술이 전무한 석유공사이기 때문에 사장부터 이 부분을 우려한다고 시인했습니다.
강영원 사장은 “정제 전문기술에 대해서는 사실 아킬레스건으로 생각하고 있다. 사실은 자신이 없는 부분인게 어쩔 수 없이 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강영원 당시 석유공사 사장(의장)]
“Refinery(정제공장) 전문기술에 대해서는 저희들도 사실은 좀 아킬레스건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은 자신이 없는 부분인 게 이거를 어쩔 수 없이 살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 됐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3_5132.jpg)
갑작스럽게 정유회사까지 사들이면서 실체를 밝힐 수 없는 외부의 도움을 받았다고도 했습니다.
[강영원 당시 석유공사 사장(의장)]
“Refinery 실사하는 과정에서 저희 인력만 가지고 한 게 아니고요, 지금 이 자리에서 밝히기는 조금 어렵습니다만 전문가들의 지원을 받아서 사실 했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4_5132.jpg)
결국 5년만인 지난 8월 석유공사는 추가 투자액을 포함해 2조원을 쏟아부은 ‘날’을 미국 은행 실버레인지에 100분의 1, 단돈 200억원에 팔았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5_5132.jpg)
묻지마식 해외 투자 결정 방식은 다른 에너지 공기업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우즈베기스탄 수르길 가스전 사업’ 계획을 논의한 2010년 6월 29일 가스공사 이사회에서 주강수 당시 사장은 “사업성은 잘 모르겠지만 감은 좋다”고 말했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30_5526.jpg)
[주강수 당시 가스공사 사장(의장) / 2010년 6월 29일 가스공사 이사회]
“사업성은 지금 잘 모르는데 감은 좋고요”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아직도 많은 것이 불투명하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6_5132.jpg)
결국 1년 뒤, 감에 의존한 투자 결정은 4조 4000억원짜리 대형 계약으로 현실이 됐습니다(2011년 8월 23일).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7_5132.jpg)
한편, 이명박 전 대통령은 최근 측근들과의 회동에서 “나라 경제가 어려운데, 자원외교를 정쟁으로 삼아 안타깝다” “너무 신경쓰지 마라,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고 전해졌습니다.
![](http://news.kukmin.tv/news/photo/201411/7449_37228_5132.jpg)
국민TV뉴스 강신혜입니다.
'시사 > 이명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펀드만 배불린 자원개발펀드…“공신력 이용” - 국민TV (0) | 2014.11.21 |
---|---|
[뉴스혹] 대선이 끝나고 난 뒤 (신혼부부 주택공급 원조는 MB) - 국민TV (0) | 2014.11.21 |
[인터뷰] 광물·가스·석유공사 전·현직 사장 고발한 조수진·조일영 변호사 - 오마이뉴스 (0) | 2014.11.21 |
한전비리 '선물 리스트'에 MB측근들 바글바글 - 뷰스앤뉴스 (0) | 2014.11.21 |
"거리낄 게 없고 당당", MB측근 '자서전' 통한 반격 시사도 - 뷰스앤뉴스 (0) | 201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