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apsan.tistory.com/617
지난 여름 4대강공사로 붕괴된 왜관철교를 기억하시나요?
'호국의 다리'라 불리는 이 왜관철교는 6.25 한국전쟁 발발 61주년인 지난 6월 25일 새벽에 무너졌습니다. 61년 전 한국전쟁으로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미군에 의해서 폭파된 이 다리가 61년 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속도전으로 다시 무너진 것입니다.
왜관철교는 1905년 개통된 붉은 벽돌과 석재로 만들어진 아치형 교각에 근대 철도 다리 중 보기 드문 트러스교이자 한국전쟁의 격전지 상징물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10월 등록문화재 406호로 지정된 근대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 2011년 6월 25일 61년 만에 4대강사업으로 다시 무너진 근대문화유산 왜관철교
그리고 이 근대문화유산 '호국의 다리'는 91년~ 93년과 2007년~2010년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해 안전한 현대적 교량으로 재탄생해 인도교로 이용되면서 칠곡군민과 왜관읍민의 사랑을 받아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4대강사업의 과도한 준설공사로 장마철 강한 물살에 2번 교각이 무너지면서 그 위 상판 2개까지 내려앉아버리며 붕괴된 것입니다.
콘크리트공화국의 엉터리 보수공사
그리고 수개월 후 보수공사가 시작됐습니다. 무너진 2번 교각 주변에 가물막이를 하고 그 위에 다시 교각을 세우는 공사를 하고 있는 것인데, 그 모양새가 참 기가막힙니다. 근대문화유산이라면 그에 준하는 복원 공사를 해야 하는 것이 상식일 것인데, 복원과는 전혀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 복구공사가 한창인 왜관철교
보수해 올라 간 교각의 모양새를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습니다. 붉은 벽돌과 석재로 된 이전의 교각은 온데간데 없고, 그 자리에 콘크리트 교각이 우뚝 서있습니다. 다른 8개의 교각과는 완전히 이질적인 최신형? 콘크리트 교각이 말입니다. 과연 콘크리트공화국다운 모습인가요? 부조화의 극치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원래 교각과 같은 3번 교각의 모습(위)과 무너진 교각을 대신해서 서있는 이질적인 콘크리트 교각(아래)
이렇게 보수할 것이면 차라리 그냥 두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요? 붕괴된 채 보존하면서 4대강 토목사업의 허구성을 알리는 교훈으로라도 삼도록 말입니다.
그러나 전혀 그런 생각이 없는 정부입니다. 4대강사업을 속도전으로 해치운 바로 그 방식으로 근대문화유산의 복원도 속도전으로 해치우려 하고 있는 것입니다.
▲ 붉은 벽돌과 석재로 축조된, 무너진 왜관철교의 2번 교각
문화재보호법 56조에는 이러한 문화재에 보수공사 등의 현상변경을 할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고, 이 법에 따라 보수공사를 했다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문화재청은 도대체 무얼 하는 기관이란 말인가요? 어떻게 이런 식의 보수공사를 하도록 그 책임을 방기한단 말인가요?
손대지 말고 그냥 놔두라
그렇습니다. 속도전에 속도전을 거듭하고 있는 4대강사업이고, 왜관철교는 그 부작용으로 지난 여름 붕괴된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그 근대문화유산의 보수공사마저 속도전으로 해치우고 있는 모습을 통해서 이명박 정부의 조급증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됩니다.
그러나 분명 그 조급증이 화를 부를 것이 뻔합니다. 아닌 게 아니라 2년 만에 완공을 해야 하는 그 조급증에 지금 4대강 곳곳에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댐과 같은 초대형보에서 물이 새고, 보아래 바닥이 주저앉고, 강 주변 농지는 침수되고, 강물이 녹조화 되는 등의 극심한 부작용 일어나고 있습니다.
▲ 지난 여름 한국을 방문한 하천복원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독일의 베른하르트 교수는 교각이 강물의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무너졌기 때문에 왜관철교의 붕괴는 준설공사 탓이라고 밝힌바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 호국의 다리의 보수공사에도 그 부작용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봅니다. 이런 식의 보수공사 자체가 바로 조급한 속도전의 부작용인 것이지요.
그런데 도대체 이런 식으로 근대문화유산을 무시해도 되나요? 이렇게 공사를 할 바엔 차라리 손대지 말고 그냥 놔두라고 막아세우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요? 참으로 한심한 4대강 삽질 정부의 현주소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근대문화유산 왜관철교, 이렇게 보수해도 되나?
2011/12/17 08:03 apsan
4대강공사로 붕괴된 근대문화유산 왜관철교
지난 여름 4대강공사로 붕괴된 왜관철교를 기억하시나요?
'호국의 다리'라 불리는 이 왜관철교는 6.25 한국전쟁 발발 61주년인 지난 6월 25일 새벽에 무너졌습니다. 61년 전 한국전쟁으로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미군에 의해서 폭파된 이 다리가 61년 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속도전으로 다시 무너진 것입니다.
왜관철교는 1905년 개통된 붉은 벽돌과 석재로 만들어진 아치형 교각에 근대 철도 다리 중 보기 드문 트러스교이자 한국전쟁의 격전지 상징물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10월 등록문화재 406호로 지정된 근대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 2011년 6월 25일 61년 만에 4대강사업으로 다시 무너진 근대문화유산 왜관철교
그리고 이 근대문화유산 '호국의 다리'는 91년~ 93년과 2007년~2010년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해 안전한 현대적 교량으로 재탄생해 인도교로 이용되면서 칠곡군민과 왜관읍민의 사랑을 받아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4대강사업의 과도한 준설공사로 장마철 강한 물살에 2번 교각이 무너지면서 그 위 상판 2개까지 내려앉아버리며 붕괴된 것입니다.
콘크리트공화국의 엉터리 보수공사
그리고 수개월 후 보수공사가 시작됐습니다. 무너진 2번 교각 주변에 가물막이를 하고 그 위에 다시 교각을 세우는 공사를 하고 있는 것인데, 그 모양새가 참 기가막힙니다. 근대문화유산이라면 그에 준하는 복원 공사를 해야 하는 것이 상식일 것인데, 복원과는 전혀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 복구공사가 한창인 왜관철교
보수해 올라 간 교각의 모양새를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습니다. 붉은 벽돌과 석재로 된 이전의 교각은 온데간데 없고, 그 자리에 콘크리트 교각이 우뚝 서있습니다. 다른 8개의 교각과는 완전히 이질적인 최신형? 콘크리트 교각이 말입니다. 과연 콘크리트공화국다운 모습인가요? 부조화의 극치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원래 교각과 같은 3번 교각의 모습(위)과 무너진 교각을 대신해서 서있는 이질적인 콘크리트 교각(아래)
이렇게 보수할 것이면 차라리 그냥 두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요? 붕괴된 채 보존하면서 4대강 토목사업의 허구성을 알리는 교훈으로라도 삼도록 말입니다.
그러나 전혀 그런 생각이 없는 정부입니다. 4대강사업을 속도전으로 해치운 바로 그 방식으로 근대문화유산의 복원도 속도전으로 해치우려 하고 있는 것입니다.
▲ 붉은 벽돌과 석재로 축조된, 무너진 왜관철교의 2번 교각
문화재보호법 56조에는 이러한 문화재에 보수공사 등의 현상변경을 할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되어 있고, 이 법에 따라 보수공사를 했다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문화재청은 도대체 무얼 하는 기관이란 말인가요? 어떻게 이런 식의 보수공사를 하도록 그 책임을 방기한단 말인가요?
손대지 말고 그냥 놔두라
그렇습니다. 속도전에 속도전을 거듭하고 있는 4대강사업이고, 왜관철교는 그 부작용으로 지난 여름 붕괴된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그 근대문화유산의 보수공사마저 속도전으로 해치우고 있는 모습을 통해서 이명박 정부의 조급증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됩니다.
그러나 분명 그 조급증이 화를 부를 것이 뻔합니다. 아닌 게 아니라 2년 만에 완공을 해야 하는 그 조급증에 지금 4대강 곳곳에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댐과 같은 초대형보에서 물이 새고, 보아래 바닥이 주저앉고, 강 주변 농지는 침수되고, 강물이 녹조화 되는 등의 극심한 부작용 일어나고 있습니다.
▲ 지난 여름 한국을 방문한 하천복원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독일의 베른하르트 교수는 교각이 강물의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무너졌기 때문에 왜관철교의 붕괴는 준설공사 탓이라고 밝힌바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 호국의 다리의 보수공사에도 그 부작용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봅니다. 이런 식의 보수공사 자체가 바로 조급한 속도전의 부작용인 것이지요.
그런데 도대체 이런 식으로 근대문화유산을 무시해도 되나요? 이렇게 공사를 할 바엔 차라리 손대지 말고 그냥 놔두라고 막아세우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닐까요? 참으로 한심한 4대강 삽질 정부의 현주소가 아닐 수 없습니다.
'시사 > 4대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강 공사, 폐기물 매립으로 마무리? - 오마이뉴스 (0) | 2011.12.18 |
---|---|
낙동강 보 설치 뒤 조류 농도 높아졌다 - 오마이뉴스 (0) | 2011.12.18 |
콘크리트바닥까지 뜯겨나간 칠곡보, 너무 위험한 4대강 현장 - apsan (0) | 2011.12.18 |
수돗물 악취, 알고 보면 4대강 사업 때문? - 노컷 (0) | 2011.12.16 |
영양군과 영덕군 주민들이 광화문에 모인 까닭은? - 오마이뉴스 (0) | 201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