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1111202835997?s=tv_news
대선 전 돌연 '국정원 무혐의' 발표..경찰도 수사 타깃
심수미 입력 2017.11.11 20:28
[앵커]
관운을 타고 났다는 그를 결국 구속에까지 이르게 된 결정적인 사건은 MB 정부 시절 전방위적으로 이뤄진 댓글 조작 활동입니다. 이제 이에 대한 검찰의 칼끝은 국정원과 국방부를 넘어 경찰과 청와대 등 권력기관 전체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심수미 기자입니다.
[기자]
18대 대선을 10개월 앞둔 2012년 2월, 국정원은 온라인 댓글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트위터 전담팀을 만들었습니다.
2012년 7월엔 김관진 전 장관은 군 사이버사령부를 늘리며 정치 댓글 활동을 강화했습니다.
대선 직전인 12월 11일, 서울 한 오피스텔에서 국정원 김모 씨의 댓글 활동이 포착됐습니다.
하지만 수사에 나선 경찰은 대선을 사흘 앞둔 2012년 12월 16일 밤 갑자기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중간수사 결과 김 씨의 컴퓨터에서 정치적 댓글 활동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하지만 경찰은 이미 포렌식 작업을 통해 김 씨 컴퓨터에서 삭제됐던 관련 파일을 발견한 상태였습니다.
당시 분석팀이 만든 100여쪽 보고서는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지시로 모두 파기됐습니다.
김 전 청장은 12월 16일 발표 당일 박원동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과 통화한 사실이 드러난 바 있습니다.
이날 해당 보도자료를 작성한 경찰 간부도 국정원 직원과 50차례 이상 전화를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정원은 경찰 보도자료 배포 10여 분 뒤, "정치적 목적으로 정보기관을 악용한 국기 문란사건"이라는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정부의 정치 개입을 수사하는 검찰의 칼끝이 국정원과 국방부에 이어 경찰을 향하고 있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육영재단 어린이집 술시중 여교사 자살? 박근혜는 모르는 일” - 경향 (0) | 2017.11.11 |
---|---|
'군 댓글 공작' 김관진 구속..무너진 '무인 신화' - SBS (0) | 2017.11.11 |
[이슈체크] '관운을 타고난 사나이' 김관진의 몰락 - JTBC (0) | 2017.11.11 |
"대통령이 달라고 해서"..이병호도 '朴 지시' 인정 - SBS (0) | 2017.11.11 |
‘전태일 평전’이 아직도 이적표현물…검찰, 시대착오적 공안수사 - 한겨레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