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60_0010_0030
대흑산산성; 대화상산성; 대혁산산성
(大黑山山城; 大和尙山城; 大赫山山城)
대흑산산성 위치도
대흑산산성 위성사진
형태사항 : 둘레 약 5㎞
출토지 : 요녕성 대련시 금주구 우의향 팔리촌(遼寧省 大連市 金州區 優誼鄕 八里村)
조사내용
1963 9월30일. 국가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
1988, 1990, 약 20만원을 들여 성벽 복구. 현재 省문물보호단위
구조 특징
해발 663m인 산 정상부에서 서쪽과 남쪽으로 뻗은 산능선상에 성벽을 축조하였기 때문에 굴곡과 기복이 심함. 서남쪽으로 계곡을 감싸고 있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불규칙한 타원형(장방형)을 이룸. 성벽 둘레는 약 5㎞로 모두 16개의 산봉우리를 점하고 있음. 현재 동쪽과 남쪽 성벽이 부분적으로 가장 잘 남아있음.
성벽에 대한 기술내용이 있음. 손덕련(孫德連)의 1990년「卑沙城」의 기술내용. 석영변질암(石英變質岩)으로 축조했고, 성벽 높이 3-5m, 너비 1.5-2m 전후라고 함. 성벽 위에는 1.5m 간격으로 한 변의 길이가 25㎝인 정방형의 돌구멍 확인. 방어용 목책을 설치하던 기둥구멍임.
허명강(許明綱)의 1996년 「大連地區高句麗四座山城略考」의 기술내용. 성벽은 현장에서 채석한 청회색석회암으로 축조했다고 함. 성돌은 크게 가공하지 않고, 협축식으로 축조하여 내부는 흙으로 채움.
왕우랑·왕문일(王禹浪·王文軼)의 2011년 「大連地區的高句麗山城」의 기술내용. 성벽을 모두 현지에서 채석한 성돌로 축조하였다고 함.
성내에는 우물이 2개 확인됨. 서남문 안쪽의 계곡에 적수호(滴水豪)와 음마만(飮馬灣)이 있음. 또한 성내에는 석고사(石鼓寺)가 있는데, 본래 이름은 당왕전(唐王殿)임. 풍영겸(馮永謙)의 1997년「高句麗城址輯要에도 성내에 건물지, 저수지 및 우물 등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음.
전국~수당대의 화폐 저장구덩이가 확인됨. 고구려 시기의 승문, 망격문 붉은색 기와와 연화문 와당이 출토되었음.
역사적 의미
지정학적 위치는 서쪽으로 금주만과 9㎞, 남쪽으로 대련만과 6㎞ 떨어져 있음.
이 성에 대해서는 고구려 비사성 및 군사요충지설이 있음. 산성은 산을 등지고 바다를 마주하고 있는데다가 지세가 험준하기 때문에 수륙의 요충을 방어할 수 있음. 이 산성은 고구려의 비사성(卑沙城)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資治通鑑』에는 비사성을 “사면이 절벽이고 오직 서문만이 오를 수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대흑산산성의 형세와 일치하고 있음. 요동반도 남단에 위치한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수나라와 당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할 때에 반드시 수군을 동원하여 비사성을 둘러싼 전투가 치열하게 벌어졌음. 문헌기록을 보면, 614년(영양왕 25년, 수 大業 10년) 수양제 3차 침입시에 수나라 장군 내호아(來護兒)가 비사성을 공격하였다는 기록이 있음. 또 645년(보장왕 4년, 당 貞觀 19년) 당태종의 침입시에 장량(張亮)이 수군을 이끌고 산동반도의 동래(東萊)로부터 바다를 건너와 비사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남녀 8천명을 포로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음. 이상의 문헌 기록을 통해 볼 때 비사성은 고구려 말기 서남쪽 해안의 군사요충지 였음을 알 수 있음. 비사성은 수와 당의 수군이 산동반도의 내주에서 출발하여 요동반도를 공격하거나 곧장 평양성을 목표로 삼아 동진할 때 꼭 지나가야만 하는 곳이었음. 비사성에서는 발해만과 황해 방면 모두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험준한 지세로 둘러싸여 있어 요동반도 연안로를 이용한 해상교통을 장악하는데 최적의 지점이라고 할 수 있음.
한편, 비사성에서 전망이 좋은 서북쪽의 장대지 부근이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는데, 중국에서는 이 일대에 도로를 개설하고 기존 고구려 성벽을 파괴하여 새롭게 성문을 건설하였음. 또한 거대한 장대를 만들어 사람들이 주변을 둘러볼 수 있도록 하였음. 이러한 건물지들은 학술적인 고증을 거치지 않은 중국식 건물로, 고구려의 옛 풍취는 사실상 사라져 아쉬움이 남음. 다만, 이처럼 험준한 곳에 세워진 비사성이기는 하나 645년 당나라 군사의 야간 기습에 의해 성이 함락되어 8,000여 명의 고구려인이 포로가 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짐.
자연환경
중국 요녕성 대련시 금주구(中國 遼寧省 大連市 金州區) 시가지에서 동북쪽으로 20㎞ 떨어진 우의향 팔리촌(優誼鄕 八里村) 인근의 대흑산에 위치. 서쪽으로 금주만과 9㎞, 남쪽으로 대련만과 6㎞ 떨어져 있음. ‘대화상산성(大和尙山城)’혹은 ‘대혁산산성(大赫山山城)’이라고도 함.
대흑산은 해발 663m. 기복이 심한 산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며 험준한 바위들이 겹겹이 우뚝 솟아 있음.
유물 정보
기와편(瓦片) 1점, 연화문와당(蓮花紋瓦當) 1점
참고문헌
·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釋文匯編』 東北卷, 中央民族學院出版社, 1988
· 孫德連, 「卑沙城」『金州博物館館刊』 1990-1, 1990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哈爾濱出版社, 1994
· 遼寧省文物管理委員會, 『遼寧文物古蹟大觀』, 遼寧大學出版社, 1994
· 李殿福(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文化社, 1994
· 田中俊明, 『高句麗の歷史と遺蹟』, 中央公論社, 1995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 1995-3, 1995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1996
· 許明綱, 「大連地區高句麗四座山城略考」『博物館研究』 1996-1, 1996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高句麗渤海硏究集成』 高句麗 卷(三), 哈爾濱出版社, 1997
· 遼寧省地方志編纂委員會辦公室, 『遼寧省志』 (文物志), 遼寧人民出版社, 2001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합이빈출판사, 2002
· 王禹浪·王文軼, 『遼東半島地區的高句麗山城』, 哈爾濱出版社, 2008
· 王禹浪·王文軼·王宏北, 「遼東半島高句麗山城槪述」『黑龍江民族叢刊』 2010-2, 2010
· 王禹浪·王文軼, 「大連地區的高句麗山城」『哈尔滨學院學報』 2011-6, 2011
· 王禹浪·王文軼, 「丹東地區的高句麗山城」『哈爾濱學院學報』 2012-3, 2012
관련글
비사성 목록 https://tadream.tistory.com/5595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요동성지(高句麗 遼東城址) - 동북아역사넷 (0) | 2019.04.27 |
---|---|
대흑산산성 위성사진 (0) | 2019.04.26 |
비사성(卑沙城) - 동북아역사넷 (0) | 2019.04.26 |
개주시 고려성산성 - 동북아역사넷 (0) | 2019.04.26 |
건안성(建安城) - 동북아역사넷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