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043_0070_0010

 

혼춘 온특혁부성(琿春 溫特赫部城)
珲春 温特赫部城

 

 

 
시대 : 고구려, 발해, 요금
유형 : 평지성
형태사항 : 전체 둘레 : 2269m   
 
위치(출토지)
혼춘시 삼가자향 고성촌 (琿春市 三家子鄕 古城村)의 혼춘하(琿春河) 충적평원 끝부분. 팔련성(八連城) 서남쪽 5km 지점
훈춘시 산자즈향 구청촌(珲春市 三家子乡 古城村)
 
 
연대
 
고구려에 축조되어 그 이후에 연용되었다고 보는 견해(리젠차이/李健才, 1985 ; 옌장뤼/严长绿/嚴長綠·양자이린/杨再林/楊再林, 1988 ;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1988 ; 옌장뤼/严长绿/嚴長錄, 1990 ; 정영진, 1990·1999 ; 아즈마 우시오/東潮·다나카 도시아키/田中俊明, 1995 ; 방학봉, 1999·2002 ; 류즈민/刘子敏/劉子敏, 2001 ; 왕몐허우/王绵厚/王綿厚, 2002 ; 왕위랑/王禹浪·왕홍베이/王宏北, 2007 ; 이성제, 2009 ;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양시은, 2012), 
발해-요금시기로 보는 견해(지린성문물지편위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 국가문물국/國家文物局, 1993 ; 양위슈/杨雨舒/楊雨舒, 2011)로 보는 견해가 있음.
 
 
조사내용
 
1900년대 초  도리이 류조/조거용장(鳥居龍藏), 도리이 기이치/조산희일(鳥山喜一), 쓰기오 미카미/삼상차남(三上次男), 사이토 진베/재등심위병(斋藤甚衛兵), 미야케 도시사다/삼택준정(三宅俊定), 시마다 마사로?/도전정랑(島田正郞) 등 
훈춘/혼춘시(珲春/琿春市), 허롱/화룡시(和龙/和龍市), 옌지/연길시(延吉市), 투먼/도문시(图们/圖們市), 롱징/용정시(龙井/龍井市), 둔화/돈화시(敦化市) 등을 조사하면서,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도 함께 조사함.
* 斋 = 斎 재계할 재
 
1972년 5월 초 ~ 1962년 초  리젠차이/이건재(李健才)  
훈춘/혼춘시(珲春/琿春) 경내의 고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함.
 
1979년 길림성문물고고련반(吉林省文物考古練班)  
각 지구(地區)·현(縣)(시/市) 문물(文物)의 간부가 참여한 지린성문물고고연련(吉林省文物考古練班)이 왕칭/왕정汪淸·훈춘/혼춘(珲春/琿春)·롱징/용정(龙井/龍井)·허롱/화룡(和龙/和龍) 경내의 유적에 대한 대규모 고고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도 함께 조사함.
* 문물(文物) : 문화재
 
1983 ~ 1985년  길림성문물국(吉林省文物局)  
지린성문물국(吉林省文物局)이 전체 주(州) 각 현(縣)(시/市) 문물지(文物志) 편찬 계획을 세우고, 1983년~1985년에 걸쳐 전체 주(州)에 대해 문물조사작업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도 조사함.
 
1989년  옌장뤼/엄장록, 정영진
동벽 단면을 발굴하면서 기와를 수습함.
 
1992년  성·주·현연합고고발굴대(省·州·縣聯合考古發掘隊)
琿(春)沙(沱島) 도로를 건설할 때,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의 동벽과 남벽을 절개하였고, 발해시기에 축조되었다는 결론을 내림.
* 샤투다오/사타도(沙沱岛)

 

 
구조특징
 
성내 서남부는 경작지, 동북부는 고성촌(古城村) 주거지로 변모함. 성의 평면은 사다리꼴 혹은 장방형임.
 
 
역사적 의미
 
고구려 책성(柵城)으로 보는 견해(옌장뤼/嚴長綠·양자이린楊再林, 1988 ; 정영진, 1990 ; 방학봉, 1999 ; 임기환, 2012), 발해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의 수주(首州)인 경주(慶州)로 보는 견해(리젠차이/李健才, 1985 ;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1988 ; 양위슈/楊雨舒, 2011)가 있음.
 
온특혁부성의 성벽은 발해 때 다시 쌓은 것이고 고구려시기의 성은 지금보다 컸을 것으로 추정됨. 즉 고구려 평지성의 일부 구간을 조정하고 연용한 것임. 한편 고성 부근에 팔련성 이외에도 발해시기의 성이 있는데, 고구려가 세운 거점이 발해시대에 확대발전해 나갔음을 알 수 있음(방학봉, 1999 ; 동북아역사재단, 2010).
 
온특혁부성은 국내성에서 압록강 중상류의 수로를 따라 혜산에 이른 후, 마천령 산맥을 넘어 길주(吉州)를 거친 다음, 다시 동해안 해안로를 따라 두만강 하구에 이르는 동해로(東海路) 상의 전략적 요충지임(여호규, 2008). 한편 발해 일본도(日本道) 상에 있는 고성으로 추정하기도 함(웨이춘청/위존성/魏存成, 2007).
 
 
자연환경
 
서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 두만강이 흐름. 성의 동·남·북 세 면은 두만강 충적분지와 접하고 있음.

온특부혁성과 두만강 유역 성 위치도 
 

 
두만강 하류 고구려성 분포도
 

훈춘/혼춘하 일대 성 분포도
 

연변 인근 지역 교통로
 

훈춘/혼춘하 일대 성 분포도
 

온특혁부성 위치도 및 온성, 훈춘/혼춘 일대 지도
 
온특혁부성 위치도
 

온특혁부성, 비우성 평면도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琿春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
· 李健才, 1985, 「琿春渤海古城考」『學習與探索』1985-6
· 嚴長綠·楊再林, 1988, 「延邊地區高句麗-渤海時期紋飾板瓦初探」『博物館硏究』1988-2
· 延邊博物館, 1988, 『延邊文物簡編』, 延邊人民出版社
· 嚴長錄, 1990, 「연변지구 발해시기의 옛 성터에 관한 고찰」『발해사연구』1, 延邊大學出版社
· 정영진, 1990, 「연변지구의 고구려유적 및 몇 개 문제에 대한 탐구」『한국상고사학보』4
· 吉林師範學院古籍硏究所, 1991, 『琿春史志』, 吉林文史出版社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방학봉, 1999, 「高句麗柵城의 위치에 대한 고찰」, 『京畿史學』3
· 정영진, 1999, 「延邊地域의 城郭에 대한 연구」『고구려연구』8
· 劉子敏, 2001, 「高句麗疆域沿革考辨」『社會科學戰線』2001-4
· 방학봉, 2002,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李强·侯莉閩, 2003, 「延邊地區渤海遺存之我見」『北方文物』2003-4
· 楊雨舒, 2005, 「渤海國時期吉林的鐵器述論」『北方文物』2005-3
· 백종오, 2006,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주류성출판사
· 王禹浪·王宏北, 2007,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下), 哈爾濱出版社
· 魏存成, 2007, 「渤海政權的對外交通及其遺迹發現」『中國邊疆史地硏究』2007-9
· 여호규, 2008,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성곽과 東海路」『역사문화연구』29
· 이성제, 2009, 「高句麗와 渤海의 城郭 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高句麗渤海硏究』34
· 강현숙, 2010, 「中國 吉林省 集安 東台子遺蹟 再考」『한국고고학보』75집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楊雨舒, 2011, 「渤海國時期與遼金時期的吉林城鎮」『遼寧工程技術大學學報』 2011-5
· 양시은, 2012,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임기환, 2012,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王飛峰, 2013, 『고구려 와당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