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춘 살기성, 사제성(琿春 薩其城, 沙齊城, 薩奇城)
동북아역사넷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 중국 > 길림성 > 연변조선족자치주(吉林省 延邊朝鮮族自治州) > 혼춘시(琿春市)
 
 
시대 : 고구려, 발해
유형 : 산성 〉 포곡식
형태사항 : 전체 둘레 : 7km   
 
위치(출토지) : 
길림성 혼춘시 양포향 양목림자촌/포자연촌(吉林省 琿春市 楊泡鄕 楊木林子村/泡子沿村) 동남쪽 1.5km 훈춘/혼춘하(珲春琿春河) 하류 삼각 충적평원 동북 가장자리의 남산(南山) 위
지린성 훈춘시 양파오향 양무린즈촌(파오즈옌촌) (吉林省 珲春市 杨泡乡 杨木林子村(泡子沿村))
 
 
연대
 
고구려 혹은 고구려-발해시기로 보는 견해(리젠차이/李健才, 1985 ; 옌장뤼/严长绿/嚴長綠·양자이린/杨再林/楊再林, 1988 ;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1988 ; 쑨진지/孙进己/孫進己·펑용첸/冯永谦/馮永謙, 1989 ; 옌장뤼/嚴長錄, 1990 ; 정영진, 1990·1999 ; 왕몐허우/王绵厚/王綿厚, 1994·2002 ; 펑용첸/馮永謙, 1994 ; 아즈마 우시오/東潮·다나카 도시아키/田中俊明, 1995 ; 방학봉, 1999·2002 ; 웨이춘청/魏存成, 1999·2002·2011 ; 왕위랑/王禹浪·왕홍베이/王宏北, 2007 ; 양시은, 2012 ; 임기환, 2012)와 발해시기로 보는 견해(지린성문물지편위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 국가문물국/國家文物局, 1993)
 
 
조사내용
 
1972년 5월초~1962년초  리젠차이/이건재(李健才)
훈춘/혼춘/珲春/琿春 경내의 고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함.
 
1979년 길림성문물고고련반(吉林省文物考古練班) 
각 지구(地區)·현(縣)(시/市) 문물(文物)의 간부가 참여한 지린성문물고고련반(吉林省文物考古練班)이 왕칭/왕청(汪淸)·훈춘(琿春)·롱징/용정(龙井/龍井)·허롱/화룡(和龙/和龍) 경내의 유적에 대한 대규모 고고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살기성(薩其城)도 함께 조사함.
* 문물(文物) : 문화재
 
1983 ~ 1985년  길림성문물국(吉林省文物局)  
지린성문물국(吉林省文物局)이 전체 주(州) 각 현(縣)(시/市) 문물지(文物志) 편찬 계획을 세우고, 1983년~1985년에 걸쳐 전체 주(州)에 대해 문물조사작업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살기성(薩其城)도 조사함.
 
1988년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1989년  엄장록, 정영진
 
 
구조특징
 
성내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동·서 두 골짜기로 나눌 수 있음. 두 골짜기는 남북으로 뻗다가 북문 안쪽에서 합쳐짐. 성벽 바깥 경사도는 30~40°로 매우 가파름. 평면은 반월형에 가까움.
 
 
역사적 의미
 
고구려 책성(柵城)설(리젠차이/李健才, 1985 ; 류즈민/류자명/刘子敏/劉子敏, 2001 ; 왕몐허우/王綿厚, 2002 ; 임기환, 2012)과 발해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의 목주(穆州) 혹은 하주(賀州) 치소설(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1988)이 있음.
 
훈춘하(琿春河) 유역은 고구려의 동북 진출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위급 상황에는 고구려왕이 피난했던 곳이므로 살기성을 축조하였던 것으로 추정됨(웨이춘청/魏存成, 1999). 살기성은 훈춘하(琿春河) 유역 충적평원의 수륙요충지를 직접 통제하고 인구 밀집지역을 감시할 수 있었음(지린성문물지편의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살기성과 근처 양목림자 유적지를 동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고, 고구려 도성 축조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기도 함(嚴長錄, 1990).
 
 
자연환경
 
산성 주위에는 해발 100~423m인 산들이 있음. 동면은 산봉우리와 접해 있고, 서·북 양 면은 훈춘하(琿春河) 충적평원임. 북쪽으로 3㎞ 떨어진 지점에 훈춘하(琿春河)가 있고, 남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는 개울이 흐름.
 
 
유물정보
 
철제 화살촉이 출토됨. 발해시기의 유물로 보기도 함(양위슈/杨雨舒/楊雨舒/양우서, 2005).
 
지린/길림성 옌벤/연변 일대 성 분포도
 
두만강 하류 일대 성 분포도

 

훈춘/혼춘하 일대 성 분포도
 

훈춘/혼춘시 인근, 훈춘/혼춘하 일대 성 분포도
 

살기성 부근 지형도
 

살기성 지형도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琿春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
· 李健才, 1985, 「琿春渤海古城考」『學習與探索』1985-6
· 嚴長綠·楊再林, 1988, 「延邊地區高句麗-渤海時期紋飾板瓦初探」『博物館硏究』1988-2
· 延邊博物館, 1988, 『延邊文物簡編』, 延邊人民出版社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嚴長錄, 1990, 「연변지구 발해시기의 옛 성터에 관한 고찰」『발해사연구』1, 延邊大學出版社
· 정영진, 1990, 「연변지구의 고구려유적 및 몇 개 문제에 대한 탐구」『한국상고사학보』4
· 吉林師範學院古籍硏究所, 1991, 『琿春史志』, 吉林文史出版社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林直樹, 1994,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靑丘學術論集』5
· 王綿厚,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1994-2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방학봉, 1999, 「高句麗柵城의 위치에 대한 고찰」, 『京畿史學』3
·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정영진, 1999, 「延邊地域의 城郭에 대한 연구」『고구려연구』8
· 趙永軍, 2000, 「渤海中小城址的初步考察」『北方文物』2000-3
· 劉子敏, 2001, 「高句麗疆域沿革考辨」『社會科學戰線』2001-4
· 李健才, 2001, 『東北史地考略』, 吉林文史出版社
· 방학봉, 2002,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迹』, 文物出版社
· 李强·侯莉閩, 2003, 「延邊地區渤海遺存之我見」『北方文物』2003-4
· 楊雨舒, 2005, 「渤海國時期吉林的鐵器述論」『北方文物』2005-3
· 王禹浪·王宏北, 2007,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下), 哈爾濱出版社
· 이성제, 2009, 「高句麗와 渤海의 城郭 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高句麗渤海硏究』34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양시은, 2012,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임기환, 2012,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Posted by civ2
,